DOI QR코드

DOI QR Code

농촌관광마을 육성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The Economic Impact Analysis of Rural Tourism Development Projects

  • Son, Eun-Ho (Faculty of Regional Development,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Park, Duk-Byeong (Faculty of Regional Development,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Yoon, Jun-Sang (Faculty of Regional Development,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4.08.10
  • 심사 : 2014.09.20
  • 발행 : 2014.09.30

초록

산업연관분석은 현재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소득과 고용의 측면에서 지역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농촌관광마을 육성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은행(2011)에서 작성한 산업연관표(2009)를 이용하여 농촌관광의 생산, 소득, 고용, 부가가치 승수를 도출하였다. 산업연관모형에 의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결과, 2011년 농촌관광개발로 인한 직간접 및 유발 생산파급액은 1조 3,872억 원, 소득파급액은 2,872억 원, 부가가치파급액은 2,754억 원, 고용자는 41,127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식점업의 생산과 고용승수는 타 산업에 비하여 높은 반면, 소득 및 부가가치승수는 타 산업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식점업이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 고용창출효과가 높은 산업이라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Input-output(I-O) analysis is now widely used to examine the economic impact of tourism. The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impact of agri-tourism development project on local development in terms of income and employment. Based on the I-O transactions tables developed by Bank of Korea (2011), rural tourism related sectoral multipliers were derived with respect to output, income, employment, and value-added tax. The results of the I-O model indicate that in 2011, rural tourism development generated 1,387 billion Won of output impact, 287 billion Won of income impact, 275 billion Won of value-added impact, and 41,127 full-time jobs, respectively throughout direct, indirect, and induced effects. In particular, the restaurant sector had relative higher output and employment multipliers a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whereas they had lower multipliers of income and value-added than any other industries. The findings imply that the restaurant sector was relatively labor-intensive industry, generating high impact of employment effec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규호. (1997). 관광산업의 지역경제적 효과분석: 경주지역에 대한 지역산업 연관모형의 적용.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규호, & 김사헌. (1998). 지역산업연관모형의 의한 관광산업의 경제적 효과분석: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22(1), 151-171.
  3. 김남조. (1998). 산업연관분석에서 산업통합 방법에 의한 관공승수의 비교분석. 관광학연구, 21(1), 172-188.
  4. 김성섭, & 이강욱. (2002). 국제회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관광학연구, 25(4), 109-126.
  5. 김한주, & 이충기. (2007).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부산국제영화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관광.레저연구, 19(4), 7-26.
  6. 농림축산식품부. (2011). 2011년 업무자료.
  7. 송학준, 이충기, &.문지효. (2012). IRIO 모델을 이용한 전통시장 활성화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관광연구, 27(1), 175-193.
  8. 이충기. (1999). 2002 World Cup 개최에 따른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관광학연구, 22(3), 73-92.
  9. 이충기. (2003). 월드컵 외국인방문객의 실제 관광지출액 추정과 그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관광학연구, 26(4), 11-26.
  10. 이충기. (2008). 조사법과 비조사법간 지역산업연관모델의 비교연구. 관광연구, 23(2), 63-78.
  11. 이충기. (2009). 강원도 리조트카지노의 강원지역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와 영향력 분석: 조사기법에 의한 지역산업연관분석모델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24(2), 145-158.
  12. 이충기, & 박창규. (1996). 한국카지노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연관모델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19(2), 27-45.
  13. 이충기, 서태양, & 박종구. (2008). 2007경주세계문화엑스포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직접조사에 의한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24(2), 237-255.
  14. 이충기, 유지윤, & 임은순. (2009). 우리나라 한방의료관광에 대한 수요예측 및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관광학연구, 33(6), 55-74.
  15. 이충기, & 이강욱. (2010). 강원랜드 카지노리조트 개발로 인한 강원지역과 타 지역에 미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관광학연구, 34(4), 109-126.
  16. 이충기, 이진형, & 송학준. (2007).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철새관광축제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관광.레저연구, 19(2), 19-34.
  17. 이충기, & 최영준. (2011).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보령머드축제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관광연구, 25(5), 83-100.
  18. 한국은행. (2011). 2009년 산업연관표. 서울: 정부간행물.
  19. 최승묵, & 김남조. (2002). 관광비와 다지역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관광산업의 지역간 연관분석. 관광학연구, 25(4), 143-160.
  20. Andrew, B. P. (1997). Tourism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of Cornwall. Annals of Tourism Research, 24(3), 721-735. https://doi.org/10.1016/S0160-7383(97)00026-1
  21. Archer, B. H. (1982). The value of multiplier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Tourism Management, 3, 236-241. https://doi.org/10.1016/0261-5177(82)90044-9
  22. Briassoulis, H. (1991). Methodological issues: Tourism input-output analysis. Annals of Tourism Research, 18, 485-494. https://doi.org/10.1016/0160-7383(91)90054-F
  23. Blaine, T, W. (1993). Input-output analysis: Applications to the assessment of the economic impact of tourism. In VNR's encyclopedia of hospitality and tourism, edited by Mahmood Khan, Michael Olsen, and Turgut Var, NY: Van Nostrand Reinhold. 663-670.
  24. Contini, C., Scarpellini, P., & Polidori, R. (2009). Agri-tourism and rural development: The low-valdelsa case, Italy. Tourism Review, 64(4), 27-36. https://doi.org/10.1108/16605370911004557
  25. Fletcher, J. E. (1989). Input-output analysis and tourism impact studies. Annals of Tourism Research, 16(4), 514-529. https://doi.org/10.1016/0160-7383(89)90006-6
  26. Fleischer, A., & Freeman, D. (1997). Multi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4(4), 998-1001. https://doi.org/10.1016/S0160-7383(97)00039-X
  27. Fleischer, A., & Tchetchik, A. (2005). Does rural tourism benefit from agriculture. Tourism Management, 26, 493-501. https://doi.org/10.1016/j.tourman.2003.10.003
  28. Hall, D., Roberts, L., & Mitchell, M. (2003). New directions in rural tourism. Burlington, VT: Ashgate. 115-133.
  29. Heng, T. M., & Low, L. (1990). Economic impact of tourism in Singapore. Annals of Tourism Research, 17(2), 249-269.
  30. Hurly, A., Arhcer, B., & Fletcher, J .(1994). The economic impact of european community grants for tourism in republic of Island. Tourism Management, 15(3), 203-211. https://doi.org/10.1016/0261-5177(94)90106-6
  31. Jones, C., & Munday, M. (2004). Evaluating the economic benefits from tourism spending through input output frameworks: Issues and cases. Local Economy, 19, 117-133. https://doi.org/10.1080/0269094042000203063
  32. Kottke, M. (1988). Estimating economic impacts of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15(1), 122-133. https://doi.org/10.1016/0160-7383(88)90075-8
  33. Lee, C, K., & Taylor, T. (2005). Critical reflections on the economic impact assessment of a mega-event: The case of 2002 FIFA World Cup. Tourism Management, 26(4), 595-603. https://doi.org/10.1016/j.tourman.2004.03.002
  34. Leones, J. (1995). Tourism trends and rural economic impacts. Consumer Profiles & Tourism Trends. Tucson, AZ: The University of Arizona.
  35. Leontief, W.(1966). Input-output economic. NY: Oxford University.
  36. Page, S.J., & Getz, D. (1997a). The business of rural tourism: International perspectives. London: International Thomson Business Press.
  37. Ruiz, A. L. (1985). Tourism and the economy of Puerto Rico: An input-output approach. Tourism Management, 6(1), 61-65. https://doi.org/10.1016/0261-5177(85)90057-3
  38. Slee, B., Farr, H., & Snowdon, P. (1997). The economic impact of alternative types of rural tourism.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48(2), 179-192. https://doi.org/10.1111/j.1477-9552.1997.tb01144.x
  39. Smith, S. (1988). Defining tourism: A supply-side view. Annals of Tourism Research, 15(2), 179-190. https://doi.org/10.1016/0160-7383(88)90081-3
  40. Tyrrell, T. J., & Johnston, R. J. (2006). The economic impacts of tourism: A special issue. Journal of Travel Research, 45, 3-7. https://doi.org/10.1177/0047287506288876
  41. Vaughan, D. R., Farr, H., & Slee, R. W. (2000). Estimating and interpreting the local economic benefits of visitor spending: An explanation. Leisure Studies, 19, 95-118. https://doi.org/10.1080/026143600374789

피인용 문헌

  1. 지역 문화콘텐츠의 물리적 홍보 파급효과 분석 -특화거리를 중심으로- vol.16, pp.3,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033
  2. 지역 문화콘텐츠의 물리적 홍보 파급효과 분석 -특화거리를 중심으로- vol.16, pp.3,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033
  3. 농촌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vol.23, pp.3, 2014, https://doi.org/10.12653/jecd.2016.23.3.0285
  4.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음식점 금연 정책의 경제적 효과 분석 vol.23, pp.5, 2014, https://doi.org/10.20878/cshr.2017.23.5.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