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귀농인의 사회·경제 활동과 함의

A Qualitative Inquiry on the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by Immigrant Farm Households

  • 투고 : 2014.08.09
  • 심사 : 2014.09.20
  • 발행 : 2014.09.30

초록

이 연구에서는 귀농인이 농촌 지역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사회 경제 활동을 고찰하였다. 2006년 이후 발표된 것들 가운데 귀농인을 대상으로 한 면담 조사 내용을 인용하고 있는 연구물 8편을 분석하였다. 귀농인의 경제 활동을 농업생산 활동, 농산물 가공 및 농촌관광 등 농업 연관 농외소득활동, 농업과 무관한 겸업활동 등으로 분류하였다. 사회 활동을 자원봉사 활동, 지역사회 조직 활동, 학습 활동, 문화여가 활동, 지역 공동체 안에서 주민과의 일상적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일상적 상호작용 등으로 분류하였다. 그런 활동들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지, 귀농인들은 그것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를 고찰하였다.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귀농 가의 농업 경영 규모는 대부분 소농이므로 귀농 가구의 다각적 경제활동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귀농 가구의 다각적 경제활동은 농촌 지역사회의 경제적 지속가능성에도 기여할 것이다. 셋째, 귀농인의 경제 활동은 가구의 생계전략뿐만 아니라 자조적 지역사회 발전 전략이라는 차원에서도 의미 있는 활동이다. 넷째, 귀농인의 지역사회 참여는 농촌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증진에 기여하는 활동이지만 단기간에 활발하게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다섯째, 여성 귀농인의 지역사회 참여 및 사회연결망 편입은 중요한 정책 과제이다.

Immigrant farmers work in various social and economic fields of activity, settling in their rural community. In this study, I inquired into the way of acting of immigrant farmers, based on the texts which were made in the precedent studies. The texts were transcriptions that were made by interviews with immigrant farmers. I classified immigrant farmers' activities into 8 groups that were related to; farming, nonfarm business, off-farm business, volunteering, participating in community organization, lifelong learning, leisure and social interaction in everyday life. And, I tried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ose activities. The implications from this analysis are as followings: 1) most of immigrant farmers have small family farm so that they need nonfarm or off-farm jobs, 2) pluri-acivities of immigrant farm households can contribute to their community's economic viability, 3) their economic activities should be observed carefully in the perspective of self-help approach in community development as well as farm households' livelihood strategy, 4) immigrant farmers have many difficulties to participate in community, nevertheless community participation will improve the social capital, 5) gender-sensitive policy should be develop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대구, 김경남, 김민수, 이응, & 변규식. (2006). 최근 귀농실태와 지원대책방안 연구. 농림부.
  2. 김영민. (1996). 컨텍스트로, 패턴으로. 문학과지성사.
  3. 김영민. (2011). 세속의 어긋남과 어긋냄의 인문학. 글항아리.
  4. 김정섭. (2005). 고추 재배 농가들의 영농양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정섭. (2009).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농촌 지방자치단체의 과제. 농촌지도와 개발, 16(3), 533-557.
  6. 김정섭. (2013). 농촌 지역사회의 자율성과 협동조합: 홍동면 사례 연구. 농촌사회, 23(2), 173-223.
  7. 김정섭, & 김광수. (2011). 귀농.귀촌 동향과 지역의 대응 방안. 농업전망 2011: 농업.농촌과 농식품산업 - 새로운 시장과 기회, 268-29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김정섭, 성주인, 마상진, &임지은. (2012). 귀농.귀촌 정책 및 교육 체계화 방안.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9. 마상진, & 김강호. (2010). 신규 취농 진입장애 요인과 영농 성과의 구조적 관계. 농촌경제, 33(4), 1-18.
  10. 박문호, 김정섭, & 허주녕. (2008). 농어촌 뉴타운 공동체 조성.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 박성정, 이선주, 진명숙, & 장희영. (2012). 귀농.귀촌 여성의 농촌 정착 및 사회참여 지원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2. 박신규, 조경욱, & 조아영. (2013). 귀농.귀촌 여성의 전북지역 정착방안 연구. 전북발전연구원.
  13. 성지혜. (2013). 귀농한 가족, 귀농하지 않은 여성: 청도군 귀농가족의 적응과정에 대한 여성주의적 연구. 농촌사회, 23(2), 92-138.
  14. 송인하. (2013). 생태가치 귀농인의 농촌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경제목적 귀농인과의 비교.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악셀 호네트. (2006). 물화: 인정이론적 탐구. 강병호 옮김. 나남출판.
  16. 이정화, & 김백수. (2012). 귀농.귀촌인의 현장실습 교육 운영전략 개발. 농촌진흥청역량개발과.
  17. 이지훈. (1993). 사회과학의 메타분석방법론. 충북대학교 출판부.
  18. 조은정, & 문정환. (2011). 충남 농촌 주민의 생활상 연구: 수도작 평야지역 1개 마을을 중심으로. 충남발전연구원.
  19. 진양명숙. (2008). 젊은 도시민의 농촌 이주의 양상과 성격: 전라북도 진안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16(4), 105-131.
  20. 통계청, & 농림축산식품부. (2014). 2013년 귀농.귀촌인 통계 보도자료(2014년 3월 20일자).
  21. 피에르 부르디외. (1995a).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최종철 옮김. 새물결.
  22. 피에르 부르디외. (1995b). 자본주의의 아비투스: 알제리의 모순. 최종철 옮김. 동문선.
  23. Cohen, J. (1960). A coefficient of agreement for nominal scal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0, 37-48. https://doi.org/10.1177/001316446002000104
  24. Commandeur, M. (2003). Styles of Pig Farming: A Techno-Sociological Inquiry of Processes and Constructions in Twente and The Achterhoek. Ph.D. Thesis, Wageningen University.
  25. Kuzel, A. J. (1992). Sampling in qualitative inquiry. In B. F. Crabtree & W. L. Miller(Eds.), Doing qualitative research(pp.31-44), Research Methods for Primary Care Series, Vol.3. CA: Sage.
  26. Miles, M. & Huberman. A.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London: Sage.
  27. Patton. M.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CA: Sage.
  28. Ryan, G.W. & Bernard. H.R. (2000).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methods. In N. K. Denzin & Y. S. Lincoln(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769-802). CA: Sage.
  29. Van der Ploeg, J. D. (1994). Styles of Farming: an Introductory Note on Concepts and Methodology. In N. Long & J. D. Van der Ploeg(Eds.), BORN FROM WITHIN: Practice and Perspectives of Endogenous Rural Development(pp.7-27). Assen: Van Gorcum.
  30. Ventura, F. & Van der Meulen, H. (1994). Transformation and Consumption of High-Quality Meat: the Case of Chianina Meat in Umbria, Italy. In N. Long & J. D. Van der Ploeg(Eds.), BORN FROM WITHIN: Practice and Perspectives of Endogenous Rural Development(pp.128-159). Assen: Van Gorcum.
  31. Whatmore, S. (1994). Farm Household Strategies and Styles of Farming: Assessing the Utility of Farm Typologies. In N. Long & J. D. Van der Ploeg(Eds.), BORN FROM WITHIN: Practice and Perspectives of Endogenous Rural Development(pp.31-37). Assen: Van Gorcum.

피인용 문헌

  1. 일본의 청년 신규 취농 지원 정책과 시사점 vol.23, pp.2, 2014, https://doi.org/10.12653/jecd.2016.23.2.0115
  2. 귀농·귀촌 인구 전망과 정책 방향 vol.24, pp.1, 2014, https://doi.org/10.12653/jecd.2017.24.1.0033
  3. 농촌 주민의 지역사회 만족 영향요인 vol.25, pp.1, 2014, https://doi.org/10.12653/jecd.2018.25.1.0015
  4. 청년 농업인 지원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사례 - vol.25, pp.3, 2014, https://doi.org/10.12653/jecd.2018.25.3.0161
  5. Life Satisfaction of Urban-to-Rural Migrants in South Korea - Income vs. Nature - vol.25, pp.4,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9.25.4.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