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거시경제모형을 이용한 해외석유가스개발사업의 경제적 효과 추정 연구

Estimation of Economic Effects on Overseas Oil and Gas E&P by Macroeconomic Model of Korea

  • 김지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전략실 자원경제팀) ;
  • 정우진 (에너지경제연구원 자원개발전략연구실) ;
  • 김윤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전공)
  • Kim, Ji-Whan (R&D Strategy Offic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Chung, Woo Jin (Resources Development Research Division,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
  • Kim, Yoon Kyung (Department of Economics, Ewha Womans University)
  • 투고 : 2013.11.15
  • 심사 : 2014.03.14
  • 발행 : 2014.03.30

초록

경제구조를 표현하는 식들로 구성된 모형을 이용하여 도출되는 정량적 분석결과는 성과의 크기를 제시하므로 정책을 평가할 때에 유용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외석유 가스개발사업의 국민경제에 대한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해외석유 가스개발사업을 반영한 거시경제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외석유 가스개발사업으로부터의 회수액이 GDP, 경상수지, 실업률, 소비자물가, 환율 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해외석유 가스개발 사업의 회수액은 우리나라 기업이 해외석유 가스개발사업에 참여하여 획득한 석유 또는 가스를 달러 형태로 금액화한 것이다. 해외석유 가스개발사업을 반영한 거시경제모형은 한국은행의 모형(1997, 2004, 2012)을 이용하여 구축하였으며, 개별 행태방정식의 통계적 적합성과 historical simulation을 통해 모형 전체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시간이 경과하면서 해외석유 가스개발사업 회수액의 규모가 커지면서 우리 나라의 거시경제 변수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도 커졌다. 변수별로 보면 해외석유 가스개발사업은 경상수지, 실질 GDP, 실업률에 대해서 긍정적인 효과를 유도하였다. 이에 비해서 소비자물가에 대해서는 상승하는, 그리고 환율에 대해서는 하락(원화가치의 평가절상)하는 효과를 보였다. 매해마다 효과의 크기는 다르지만, 2011년 기준으로 해외석유 가스개발사업 회수액은 경상수지를 2.226%, 실질 GDP를 0.401% 증가시키고, 실업률을 0.489%p 감소시켰다. 소비자물가는 0.101% 증가시키고, 원/달러환율은 0.379% 낮추었다.

In general, quantity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using model shows how much big performance policy has. Therefore this is useful to evaluate a policy. This paper composed macro economic model based on Bank of Korea's quarterly model and annual model, that estimates performance of overseas oil and gas development project to Korean economy in aspect of quantity. In this model, we estimated each effect in real GDP, current account, unemployment rate, CPI and exchange rate carried by recovered amount from overseas oil and gas development project. The recovered amount was evaluated in currency coming from oil and gas acquired from overseas oil and gas development project. Macro economic model of this paper benchmarked macro model composed by Bank of Korea(1997, 2004, 2012). We reviewed model robustness using statistical suitability of each equation and historical simulation for from 1994 to 2011. The recovered amount of overseas oil and gas development project has positive effect in every macro economic index except CPI and exchange rate. Economic effect to macro economic index become bigger with time because the recovered amount of overseas oil and gas development project are increasing until now. Although empirical results of economic effects in every year from the recovered amount of overseas oil and gas development project are different, as of 2011,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recovered amount of overseas oil and gas development project increase 2.226% and 0.401% in current account and real GDP respectively. And it also decrease 0.489%p in unemployment rate. Exchange rate to US dollars also decrease in amount of 0.379%.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양우. 이긍희 (1997), "연간거시계량경제모형-BOKAM97", 한국경제의 계량경제모형, pp. 181-227.
  2. 김윤경․ 김지효 (2013), "해외석유가스개발사업에 대한 성공불융자의 지원효과 분석 연구", 에너지경제연구, 12(2), pp. 119-145.
  3. 김진형 (2011), 석유자주개발 목표율 달성을 위한 정부지원금의 적정 규모 연구, 자원.환경경제연구, 20(4), pp. 859-884.
  4. 배성종․ 박성우 (2012), "유가변동요인이 산업생산에 미치는 영향", 조사통계월보, 2012. 12, pp. 16-65, 한국은행.
  5. 손민규․ 김대용․ 황상필 (2013), 한국은행 분기거시계량모형(BOK12) 재정모형 구축 결과, 조사통계월보, 2013. 6, 한국은행.
  6. 산업통상자원부 (2012), 해외자원개발 분기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
  7. 신석하 (2005), 거시계량모형을 이용한 외생적 요인의 경제파급효과 분석, 정책연구시리즈 2005-14, 2005. 12, 한국개발연구원(KDI).
  8.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에너지통계연보, 에너지경제연구원.
  9. 정우진 외 (2013), 해외자원개발의 국내경제.산업효과분석, 기본연구보고서, 13-25, 에너지경제연구원.
  10. 한국개발연구원 (2001), 공공투자지출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분석, 한국개발연구원(KDI).
  11. 한국은행 (2000), 한국경제의 계량경제모형, 한국은행.
  12. 한국은행 (2005), 한국은행 분기 거시계량경제모형의 재구축, 보도자료, 2005년 6월 2일자.
  13. 한국은행 (2006), "한국은행거시계량투입산출모형", Monthly Bulletin, 2006년 9월호, pp. 23-127, 한국은행.
  14. 한국은행 (2013), "한국은행분기거시계량모형(BOK12) 재정모형 구축 결과", Monthly Bulletin, 2013년 6월호, pp. 14-34, 한국은행.
  15. 황상필․ 문소상․ 윤석현․ 최영일 (2005), 한국은행 분기 거시계량모형의 재구축, 조사 통계월보, 2005. 5, 한국은행.
  16. Hamilton, J. D. (2003), "What is an oil shock?", Journal of Econometrics 113, pp.363-398. https://doi.org/10.1016/S0304-4076(02)00207-5
  17. Jorgenson, D. W., "Capital Theory and Investment Behavior". American Economic Review 53(2), 1963, pp. 247-259. JSTOR 1823868.
  18. Koike, M., G. Mogi, and W. H. Albedaiwi (2008), Overseas oil-development policy of resource-poor countries: A case study from Japan, Energy Policy 36, pp. 1764-1775. https://doi.org/10.1016/j.enpol.2008.01.037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Estimation of Economic Effects on Mining Products Import Substitution Using Macroeconometric Input-Output Model vol.47, pp.3, 2014, https://doi.org/10.9719/EEG.2014.47.3.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