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민간자율 영화등급분류제도 도입방안

Establishing Plan for Non-governmental Film Classification System

  • 투고 : 2014.09.25
  • 심사 : 2014.11.17
  • 발행 : 2014.12.28

초록

미국과 일본이 민간자율의 등급분류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것과 달리 프랑스와 우리나라는 공공기관이 이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제한상영관이 없는 제한상영가 등급의 문제점, 방송을 비롯한 매체들은 영화와 달리 사전심의를 받지 않는다는 점, 비용부담의 문제 등을 감안할 때 우리의 제도는 개선이 필요하고, 대안 중 하나가 등급분류기관을 민간자율로 전환하는 것이다. 민간자율의 등급분류제도 도입방법은 메이저 영화사들이 중심이 되어 등급분류협회를 설립하고 그 산하에 등급분류위원회를 두되 위원회 운영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정부는 저예산 예술영화의 심의료를 지원하고 청소년보호단체 등이 공정한 심의과정과 결과 준수를 감시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영화산업이 등급분류제도의 민간자율화에 적극 나서지 않는 다는 사실이 가장 큰 걸림돌이지만, 표현의 자유 신장을 위해 합리적 방안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Whil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have non-government film rating system, Korea and France are still maintaining governmental control process. But the restrict showing rate in Korea does possibly violate the Constitution with no theatre for the movies of that rate right now. No other visual media including broadcasting have any outer classification process before their showing. So we need to improve our system by replacing it with non-governmental system. To establish independent non-government rating system, first of all, the major companies of film industry should get together to set up Korean Classification and Rating Association, to support the Film Rating Boar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board operates independently. Government can support art cinemas financially with rating fee. Juvenile protection groups have to keep watch on the process of the board going fairly as well. The chief obstacle for non-governmental rating system is the fact that major companies don't want to get it. But continuing efforts to find any rational way is worthy enough.

키워드

참고문헌

  1. Tino Balio, The American Film Industry,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5.
  2. http://www.eirin.jp/english
  3.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77620
  4. 황창근, "영화등급분류제도의 개선방향-제한상영가 등급을 중심으로-", 세계헌법연구, 제14권, 제3호, pp.522-523, 2008.
  5. 박창석, "영화에 대한 공법적 규제-제한상영가 영화를 중심으로-", 공법학연구, 제14권, 제2호, pp.27-38, 2013.
  6. 이찬희, 영화등급분류제도와 표현의 자유,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석사논문, 2011.
  7. 조광희, "제한상영가 제도에 대한 헌법불합치결정과 등급분류제도의 정비", 미디어융합시대 문화콘텐츠 진흥정책의 새로운 방향 자료집, 2008.
  8. 정일헌, 영상물 자율심의제 도입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9. 헌법재판소 판례, "93헌가13, 91헌바10(병합)", 1996.10.4.
  10. 김태희, "프랑스의 'X등급'영화 심의제도", 프랑스학연구, 제51집, p.262, 2010.
  11.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77620
  12. 헌법재판소 판례, "2000헌가9", 2001.8.30.
  13. 정일헌, 영상물 자율심의제 도입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65, 2010.
  14. http://www.korea.kr/policy/pressReleaseView.do?newsId=155968284
  15. 정일헌, 영상물 자율심의제 도입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p.65-66, 2010.
  16. Gorham Kindem, The American Movie Industry,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82.
  17. http://natoonline.org/data/us-movie-screens
  18. http://filmratings.com/downloads/rating_rules.pdf
  19. http://www.eirin.jp/english
  20. 이찬희, 영화등급분류제도와 표현의 자유,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석사논문, pp.78-92,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