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oral instruction by Spinoza's Ethics

스피노자 『윤리학』으로 본 도덕과수업

  • Received : 2013.09.25
  • Accepted : 2013.11.08
  • Published : 2013.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article is to understand moral instruction through Ethics written by Spinoza and enable the implications drawn from its understanding to give shape to lesson plans. In his representative book titled Ethics, Spinoza speculates ultimate substance from the metaphysical perspective and converges it into ethics. The ultimate substance, which is a cause of itself, refers to immanent cause of all things that have numerous attributes as essence. All things in nature develop the substance and exchange influence among individuals at the same time. A human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perceives things based on one's beneficialness and assigns moral words of good and evil. However, a human, who is a mode of substance, should escape from morals that are superficial, relative, and objective, in order to realize nature. Becoming a more complete human requires going through moral imagination in reality but going beyond the imagination ultimately. Moral instruction premises the moral imagination of a student who exists as a mode; meanwhile, it is a study to escape from the influence of moral imagination. Good and evil arise from the limitation that an existing human has, but if a life is to preserve the necessity of ultimate substance, moral instruction can be defined as the processes of alleviating the influence that hinders a human's nature from being realized. Giving shape to this processes with the basis on the Spinoza's epistemic argument, moral instructional texts can be composed of stages to form more adequate moral ideas about moral subjects gradually and cumulatively. The moral instruction like this expects moral awareness which is relatively perfect than the present moral imagination. Furthermore,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like this sustained, it is expected that ultimately the limitation arising from sensible perception can be overcome to approach the realization of a human's nature.

본고에서는 스피노자의 "윤리학"을 통해 도덕과수업을 이해하고, 그 이해가 함의하는 바를 수업안으로 구체화한다. 스피노자는 그의 대표적 저서 "윤리학"을 통해 형이상학적 관점에서 궁극적 실체를 사색하고 이를 윤리학으로 수렴한다. 여기서 궁극적 실체는 자기원인으로서 수많은 속성을 본질로 하는 만물의 내재적 원인이다. 자연 속의 만물들은 이 실체를 펼치면서 동시에 개체들 상호 간에 영향을 주고받는다. 이 영향관계 속에 있는 사람은 자신의 유익함에 따라 좋음과 나쁨을 지각하고 선과 악이라는 도덕적 술어를 부여한다. 하지만 실체의 양태인 사람이 본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표상적이며 상대적이며 목적적인 도덕에서 벗어나야 한다. 보다 완전한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이러한 도덕적 표상을 거쳐야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그 표상을 넘어서야 한다. 도덕과수업은 양태로서 실재하는 학생의 도덕적 표상을 전제하지만, 도덕적 표상이라는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한 공부이다. 실재하는 사람이 지닌 한계에서 선악이 발생하지만 실체의 필연성을 보존하는 것이 삶이라면, 도덕과수업은 인간 본성의 실현을 저해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 과정을 스피노자의 인식론적 논의에 터하여, 도덕적 대상에 대한 보다 타당한 도덕적 관념을 점진적으로 그리고 누적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단계로 도덕과 교수텍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도덕과수업은 현재의 도덕적 표상보다 상대적으로 완전한 도덕적 인식을 기대한다. 나아가 이러한 교수학습을 지속하면서 궁극적으로는 감각적 지각에서 비롯된 한계를 극복하여 인간의 본성 실현에 접근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교육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