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monstrating Critical Issues and Finding New Directions in Art Education for Gifted Learners

미술영재교육 쟁점 분석을 통한 방향 모색 - A 예술고등학교의 사례에 기초하여 -

  • Received : 2013.04.18
  • Accepted : 2013.06.24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While many research focused learners as those who excel in mathematics or science, the identification of learners with potential or demonstrated talent in visual art has also been the meaningful research topic. Since these learners exhibit high performance capability in intellectual, creative and artistic areas, they require services or programs not ordinarily provided by the schools. This research tried to clarify what high performance means when speaking of learners with outstanding talent in the visual arts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Also, this research introduced the recent trends in the field of art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order to demonstrate critical issues and find new directions in art education for gifted learners, this research conducted the survey, and this survey target group was arts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survey analysis, this research conducted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focal participants including the teachers and an artist. Interviewees generated many meaningful issues, and interview analysis reconceptualized art education for gifted learners as following. 1) Gifted education should consider learners' excellence, equity, troubles, and struggles that often go unnoticed. 2) We should reform the criteria, standards, and strategies in finding art gifted learners. 3) In order to facilitate meaningful and creative art educatio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change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exam. 4) The goal of gifted art education is not only raising the world-class artists. 5) Meaningful art education for gifted learners is i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including group dynamics, parents influence, and teachers.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되면서 법적인 지원으로 탄력을 받기 시작하면서 현재 우리나라는 미술영재교육의 양적인 팽창이 가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시점에서 미술영재교육의 본질적 목표를 재구성하고 새로운 방향성을 탐색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영재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현황에 대하여 기술한 후 미술적 소양과 흥미와 잠재력을 지닌 학생들이 모여 있는 A예술고등학교의 사례를 통해 미술영재교육의 가치를 논의하고, 미술영재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본 사례연구는 설문을 통한 수요자의 요구분석을 통해 재능 있는 학생을 위한 미술심화교육의 쟁점을 분석한 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쟁점을 심화 발전시켜 미술영재교육의 가치와 방향성을 재구성하였다. 그 결과, 미술영재교육의 방향은 개인의 자아실현과 국가 사회의 발전도모라는 두 가지 프레임을 가지고 시행되고 있으며, 이 둘의 관점의 차이를 이해하고 조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수요자에게 개별화 시킬 수 있는 미술 영재교육의 실행타당성을 국가적 정책, 교사, 그리고 학부모의 입장을 수렴하여 장기적이며 질적으로 신중히 검토하여 학생의 개인적 자아성취와 국가차원이 미래인재양성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질적이며 미래지향적인 미술영재교육으로 진행시켜야 한다. 영재의 선발과정에서의 산술적 평가와 양적 팽창이 아닌 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한 본질적 접근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주희 (2012). 시각예술성의 재개념화: 미술교육의 흐름에 비추어 본 시각예술영재성의 의미 변화 고찰.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 김정희, 강병직 (2011). 미술영재교육학. 서울: 학지사.
  3. 김혜선 (2004). 미술영재교육 실태조사 연구: 미술 영재학급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미술교육논총, 18(3). 81-102.
  4. 류재만, 김정희, 전성수, 박지숙, 강병직 (2011). 미술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파주: 교육과학사.
  5. 우주희 (2002). 미술영재 교육과정 모형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6. 한국교육개발원 (2010). 예술영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CR 2010-8.
  7. 한국예술영재학회 (2006). 영재교육의 방법. 서울: 미진사.
  8. Clark, G., & Zimmerman, E. (2004). Teaching talented and art students: Principles and practice. NY: Teachers College Press.
  9. Hurwitz, A. (1983). The gifted and talented in art: A guide to program planning. Worcester: Davis Publications, Inc.
  10. Lowenfeld, V., & Brittain, W. L. (1987). Creative and mental growth. NJ: Prentice Hall.
  11. Milbrath, C. (1998). Patterns of artistic development in children: Comparative studies of talent.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Pariser, D. (1997). Graphic development in artistically exceptional children. In A. Kindler (Ed.). Child development in art (pp. 115-131). Reston, VA: NAEA.
  13. Stake, R.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4. Spradley, J. P. (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NY: Holt
  15. Strauss, A. (1987).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Wilson, H. E. (2006). Differentiation in the art room. NAGC Conference material. retrieved from http://hopeewilson.com/attachments/File/NAGCDiffand ArtHandOut.pdf.
  17. Winner, E. (1996). Gifted children: Myths and realities. NY: Basic 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