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고층 프로젝트 양중 계획의 실패 유형별 핵심 리스크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Critical Risk Factors in Failure Cases of Lifting Equipment Plans in High-rise Construction Project

  • 김남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초고층장대교량학과) ;
  • 김예상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 투고 : 2012.12.02
  • 심사 : 2013.04.23
  • 발행 : 2013.07.31

초록

최근 국내 외 대도시를 중심으로, 글로벌 경제 위기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중단되거나 연기되었던 초고층 프로젝트들이 재개되고 있으며, 이를 수주하기 위한 건설사들의 경쟁은 전보다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국내 건설사들이 초고층 건축 분야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체 프로젝트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요소인 양중계획의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지만, 여전히 개인적 경험에 의존하여 작성 된, 양중계획의 오류로 인한, 현장 전체의 공기 지연 및 원가 관리 실패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중계획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현행 양중계획 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계획 요소에 따라 실패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각 실패 유형이 전체 프로젝트의 공정, 원가, 안전관리에 미치는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양중 장비별 세부 리스크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FMEA 기법을 적용하여 초고층 프로젝트 양중계획의 핵심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였다.

Recently, not only around Korea but also other countries shows a pattern of arising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which was delayed or aborted during global economic crises and recession. Although the market starts to stretch, It is getting competitive to win a contract in high-rise construction project between contractors due to lack of competitive advantage especially to Korea contractors. To get that, Korean contractors needs lifting equipment plan. But currently, they depend on the empirical methods and that cause schedule delay, not controlled cost management problem.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improve the accuracy of Lifting plan by analyzing the current issues of Lifting plan system and deducing the types of failures with planning factors, as well as analyzing the impact on schedule and cost control and safety management by each failure mode. Also, by analyzing detail risk factors per Lifting Equipment with FMEA, to infer the critical risk factor on high-rise construction projec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문수 (2010). "초고층 건축공사 시공계획 수립 방안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석사학위 논문, pp. 22-27
  2. 김병용.김예상 (2012). "건설사업관리자 관점에서의 주요 사업비 초과 리스크 요인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3권 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47-155 https://doi.org/10.6106/KJCEM.2012.13.2.147
  3. 김선국.한갑규 (2008). "건설 리프트의 적정 대수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8권 제3호, p. 119 https://doi.org/10.5345/JKIC.2008.8.3.119
  4. 김윤성 (2002). "건설업에서의 시공 FMEA 적용 방안 연구".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71-274
  5. 김정진 (2005). 초고층 건축공사의 양중계획 시스템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 논문, p. 11
  6. 박은경 (2009). "초고층 건설공사의 건설용 리프트 양중계획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pp. 33-36
  7. 박태룡 (2011). "초고층 커튼월 공사의 양중장비선정을 위한 체크리스크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주택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77
  8. 신윤석 (2011). "초고층 건축공사를 위한 건설 리프트 양중계획 시스템 개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27권 11호, p. 229
  9. 이현철.신석배.홍주현.고성석 (2009). "VE기반 공동주택 개발사업 리스크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0권 4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8-19
  10. 조지훈.조흥구 (2009). "프로젝트 공사기간과 연계된 극 초고층 타워크레인 최적화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9권 6호, p. 132
  11. 홍영탁 (2004). "FMEA를 이용한 초고층 건축시공의 공기영향요인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0권 10호, pp. 183-188
  12. C. M. Tam, Arthur W. T. Leung and D. K. Liu (2002). "Nonlinear for Predicting Hoisting Times of Tower Cranes",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January, p. 76
  13. Robin E McDermott (2009). "The Basic of FMEA". pp. 6-8

피인용 문헌

  1. Barriers of CM Performance during Construction Stage in Public CM Projects vol.30, pp.8, 2014, https://doi.org/10.5659/JAIK_SC.2014.30.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