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Problems of Mathematics Textbooks in regards of the Types of Abductions to be used to solve

교과서 문제해결에 포함된 가추의 유형 - 중학교 2학년과 3학년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3.07.07
  • Accepted : 2013.08.19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is research assumes that abduction is so important as much as all the creative plausible reasoning to be based upon. We expect it to be deeply appreciated and be taught positively in school mathematics. We are noticing that every problem solving process must contain some steps of abduction and thus, we believe that those who are afraid of abduction cannot solve any newly faced problem. Upon these thoughts, we are looking into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to see that how strongly various abductions are emphasized to solve problems in it. We modified types of abduction those were suggested by Eco(1983) or by Bettina Pedemonte, David Reid (2011) and investigated those books to see if, we may regard, various types of abduction be intended to be used to solve their problems. As a result of it, we found that more than 92% of the problems were not supposed to use creative abduction necessarily to solve it. And we interpret this as most authors of the textbooks have emphasis more on the capturing and understanding of basic knowledge of school mathematics rather than the creative reasoning through them. And we believe this need innovation, otherwise strong debates are necessary among the professionals of it.

본 연구는 가추(abduction)를 창의적 개연추론의 핵심이라고 생각하여 학교수학에서도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적극적으로 지도되기를 기대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수학의 모든 문제해결에서 가추가 사용될 수밖에 없음에 유의하여, 중학교 수학교과서의 문제들이 얼마나 가추의 활용을 다양하게 강조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Eco(1983)와 Pedemonte & Reid(2011) 등이 제안한 가추의 유형과 거의 유사하지만 분류가 더 선명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분류 틀을 수정하여 재구성하였다. 또 그에 따라 우리나라 교과서의 문항들에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떤 유형의 가추들이 사용되는 지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확정적-선택형 문항이 약 64%, 가변적-선택형 문항이 약 28%로서 선택형만 약 92%나 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창작형 또는 혼합형은 모두 8%에 불과함을 알 수 있었다. 새로운 개념, 원리, 법칙을 배울 때 접하는 최초의 교재가 교과서라는 점을 고려할 때, 교과서는 창의력 계발보다 먼저 이들 원리, 개념, 법칙을 모방적으로 습득하는 데 초점이 놓여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있다. 그러나 창의력 계발이 21세기 교육의 중심과제임을 고려할 때 창작형 가추가 불과 8%의 문항에서만 요구되는 것은 너무 적은 것은 아닌지 함께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연구자의 주장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