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Values of Individual Services of an Arboretum using the CE Method - Focused on Gyeongnam Arboretum -

CE 기법을 적용한 수목원의 편익제공 가치 추정 연구 - 경남수목원을 대상으로 -

  • Kang, Kee-Rae (Institute of Comprehensive Bio Industrial, Pusan National University)
  • 강기래 (부산대학교 생명산업융합연구원)
  • Received : 2012.12.31
  • Accepted : 2013.02.25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sizes of effective values, which users recognize, according to the kind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ervices provided by an arboretum, by estimating them in monetary values. As an analysis tool for this purpose, the CE(Choice Experiments) method, which is able to estimate effective value's size depending on each variable, was employed. For drawing up profiles for estimation of the values of individual services, 25 profiles were extracted using the orthogonal design of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and questions of 75 pairs were created not to make each of the profiles overlapped. Then, each user was given three questions at five sets each and 3,510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the result, in relation to the attribute, 'The kinds of trees should be diversified 50% more than now.', firstly, users showed the biggest willingness to pay, based on the present level, and expressed intentions to pay 7,956 won, additionally. Secondly, the value of the path design that was unique than the present road design was estimated in 6,025 won, and when individual attendants guided visitors in the arboretum, they expressed intentions to pay nearly three times more expenses than when they were guided as a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users in the Gyeongnam Arboretum recognized the highest effective values towards the collection and display of trees that are arboretum's original functions, and it was followed by the unique road design to observe a variety of dense trees well. This research could be useful in comparing or measuring particular effective values of users that central operators of arboretums want to know. Moreover, it would be suggested as an advanced research for providing basic data about value estimation of individual environmental goods not only in arboretums, but also in other fields.

본 연구는 수목원이 제공하는 물리적, 심리적인 서비스를 그 종류에 따라 이용객이 인식하는 효용가치를 화폐액으로 추산하여 그 크기를 비교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목적을 위한 분석의 도구는 각각의 변수에 따른 효용가치의 크기를 추산해 낼 수 있는 CE(Choice Experiments) 기법을 이용하였다. 개별서비스의 가치추정을 위한 프로파일의 작성은 SPSS 통계패키지의 직교설계를 이용하여 25개의 프로파일을 추출하여 각각의 프로파일이 중복되지 않도록 75쌍의 질문 항을 만들어 1인당 5세트씩, 3개의 문항을 질문하여 3,510개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현재의 수준을 기준으로 한 이용객의 지불의사액이 가장 큰 속성은 '현재보다 수목의 종류를 50% 더 다양하게'하는 속성이 7,956원의 추가적 지불의사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두 번째가 현재의 원로 디자인보다 매우 독특한 원로디자인의 가치가 6,025원으로 나타났으며, 수목원 관람 시 개인 안내원이 가이드를 해 주는 것이 단체로 안내해 주는 것보다 약 3배 정도 더 많은 추가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경남수목원의 이용객들이 가치를 높게 인식하는 것은 수목원 본래의 기능인 수목의 수집과 전시기능에 가장 높은 효용가치를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다음으로 다양하고 울창한 수목을 잘 관찰할 수 있는 독특한 원로의 디자인에 그 가치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수목원 운영주체에서 알고자 하는 이용객의 특정한 효용의 가치를 비교 또는 측정해 보고자 할 경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목원뿐만 아니라 타분야의 개별 환경재의 가치추정에 대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위한 선행연구의 개념으로 제시되어질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래(2010) 강기래(2010) 자연휴양림 보존가치 측정을 위한 조건부가치측정법(CVM) 추정액 비교. 한국조경학회지 38(2): 25-36.
  2. 강기래, 하성근, 이기철(2011) 가상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한 경남수목원의 환경가치추정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9(1): 46-55.
  3. 강기래(2012) 대구수목원 이용객 만족모델을 통한 운영방안 연구. 한국임학회지 101(1): 36-45.
  4. 국립수목원(2004) 수목원 운영전문화를 위한 워크샵 자료.
  5. 나정화(2000) Hemeroby 등급을 적용한 수목원 조성 전후의 자연성평가;대곡수목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1): 62-69.
  6. 노형진. 2001. 한글spss10.0에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서울: 형설출판사.
  7. 박주헌(2000) 환경경제학. 서울: 경문사.
  8. 백동렬, 정용문, 변재상(2003) 충남금강수목원의 이용실태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6(6): 14-24.
  9. 이창복(1972) 수목원. 산림 77(0): 24-27.
  10. 이총규, 구관효, 황용우, 윤석락, 김종갑(2007) 경상남도 수목원 내 수목의 가해해충 분포. 농업생명과학연구 40(3): 47-54.
  11. 임양재, 조무연(1977) 홍릉수목원수종의 개화기에 관하여. 한국생태학회지 1(1): 17-43.
  12. 임연진, 배준규, 주진순, 김현중(2005) 국립수목원 방문객의 이용행태 및 만족도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2): 21-27.
  13. 조우, 장종수, 민성환, 오강임(2003) 인천광역시 수목원 조성기본계획. 한국조경학회지 31(5): 96-107.
  14. 하성근(2007)수목원 기능별 지표의 중요도와 특성화 방안.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홍성권, 김재현, 김용하, 김성진, 장호찬, 이석호, 태유리(2010) 신택실험법을 이용한 수목원의 경제가치 추정. 한국임학회지 99(4): 517-527.
  16. Haab, T. C. and K. E. McConnell(2002) Valuing Environmental and Natural Resources: The Economics of Non-Market Valuation, Edward Elgar.
  17. Hanemann, W. M. (1984) 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1(3): 1057-1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