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mprovement and Change Properties of Landscape Construction Standard Specification - Focused on Planting -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변화특성과 개선방향 연구 - 식재공사를 중심으로 -

  • Yu, Joo-E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The University of Seoul) ;
  • Jun, Jin-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The University of Seoul) ;
  • Lee, Sang-Su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University of Seoul)
  • 유주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전진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이상석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2.10.29
  • Accepted : 2013.02.25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classification system, technique methods, quality levels of periodic amendment characteristics in planting of standard specification. Through analyzing the above and comparing with foreign case study, this study suggests the improvement directions. The results improvement directions are as follows. 1. Many kinds of new construction were set up through the amendments of Landscape Standard Specification, but there are still needs to combine some construction categories because of mismatches between upper and lower categories. 2. Although the Landscape Standard Specification was revised to be more concrete, the contents there remains an ambiguous expression. So, standard specification is needed to revise a depth of earth ball or strength of support materials and quantify collect period of topsoil and application time. In addition, standards about following supervisor's instruction should be more detailed or deleted. 3. The standard specification has not been specified despite enactment and amendments reflecting the periodical paradigm and the needs of users, so it is still needed to revise. In addition, quality levels, planting periods, size of earth ball and performance criteria of tree materials are needed to revise. Each specific classification and construction methods were made by amendments of standard specification, but some standards are not clear and concrete. Therefore, the standard specification is needed to revise the classification system, technique methods, and problem deduction of quality levels and proposal of improvement. This study will be reference material when Landscape Standard Specification is revised.

본 연구는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식재공사의 분류체계, 기술방식, 품질기준의 개정시기별 변화특성을 분석하고, 국외 사례와의 비교를 통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개정을 통해 다양한 세부공종이 신설 수정되었으나 상 하위분류가 맞지 않아 시방내용이 상충되고 있으므로 비슷한 공사끼리의 재분류가 필요하다. 2. 시방서 내용을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한 기술방식으로 수정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구체성이 떨어지는 애매모호한 표현과 용어로 유지되고 있는 굴취시 뿌리분의 깊이, 지주재 강도에 관한 내용은 수정이 필요하다. 또한 표토의 채취시기, 약제 살포시기 등은 계량화될 필요가 있으며, 시방규정의 공정성을 고려하여 감독자의 지시에 따르도록 작성된 기준은 수정되어야 한다. 3. 시대적 패러다임과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품질기준이 제 개정되었으나 구체적이지 않아 수정이 필요하며, 관련 기준들의 국외 사례를 참고하여 수목재료의 품질수준, 식재적기, 굴취시 뿌리분의 크기, 성능기준 등을 개선해야 한다. 개정을 통해 식재공사의 세부공종별 재료 및 시공방법에 대한 내용은 갖춰졌다. 그러나 구체성이 떨어지고 명확하지 않은 기준들로 시방서의 현장 활용을 저해하고 있다. 이에 표준시방서의 분류체계, 기술방식, 품질기준의 문제점 도출과 개선방향의 제시가 필요하며, 이는 향후 표준시방서 개정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재동, 김태송, 박찬혁(1998) 건설사업 관리제도 활성화 연구(I): 시방서.설계기준 등 건설공사기준 국제화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보고서.
  2. 구재동, 김태송, 진경호, 이민우(2003) 시방서 작성 실무 매뉴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보고서.
  3. 국토교통성(2011) 공원녹지공사 공통사양서.
  4. 건설교통부(1987)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5. 건설교통부(1996)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6. 건설교통부(2003) 국토해양부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7. 건설교통부(2008) 국토해양부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8. 김예상, 김종훈, 권오경(2005) 미국의 설계 경쟁력 어디에서 오나?. 서울: 보문당.
  9. 우영섭(2001) 조경공사에 공종분류의 개선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상석(2012) 조경공사 선진화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 보고서.
  11. 이종헌, 김종인, 김성원, 김규창(2009)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의 신뢰성 수준의 변화,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2009(10): 2377-2380.
  12. 이준철(1983) 조경시공에 있어서 시방서의 적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식재공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호금(2010) 시방서 분류체계 비교연구: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서울시 전문시방서 및 LH공사 전문시방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심종섭, 오홍섭(1999)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의 변천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공학기술논문집 8(1): 149-156.
  15. 최기수(2002) 조경실무 30년의 리뷰, 그리고 제언. 한국조경학회.
  16. 현명훈, 김창덕(1999) 건축표준시방서의 서술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술식으로 작성된 기술시방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15(6): 131-140.
  17. AIA(2010) MASTERSPEC(Full leng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