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On-line Q&A Cases regarding Landscape Trees Management - Focused on Online Consultation Board at Tree Diagnostic Center -

조경수 관리에 관한 온라인 질의응답 사례 분석 - 수목진단센터 온라인 상담 사례를 대상으로 -

  • 임병을 (세종도시수목연구소) ;
  • 이세희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Received : 2012.12.13
  • Accepted : 2013.02.24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e persons in charge of management request diagnosis and prescription to tree hospitals in order to get consultation about the problems like blight that occur in landscape tree manage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at the main problems and questions raised by landscape gardeners are and those concerned in landscape tree management. This is done by investigating landscape tree-related questions and answers uploaded on the online consultation boards of the plant diagnostic centers approved in Korea including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Plant Clinic, th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lant Hospital, and the Kangwon Diagnostic Center. As a result, those concerned in landscape occupied the most as 81.4% among the questioners. However, only 11.5% did explain the plant management history or surrounding environment, which is essential for landscape tree diagnosis when asking questions. This shows that those concerned in landscape lack basic knowledge or interest about plant diagnosis. Among 263 questions about landscape trees, questions about physiological damage included 94 cases that were the most taking up 35.8%. Moreover, the next were damage by insects and damage by disease in order. It is thought tha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hysiological problems that occur by various sorts of stress and with no signs, they tend to request diagnosis or prescription the most. The most frequent reasons for physiological damage are water stress and temperature stress. About damage by disease, there exist many types of diseases, and there are many complex damages accompanied by physiological causes. About damage by insects, the most common include damage by moths. In consideration of this result, universities or technician training centers should provide education for landscape tree management so that landscape technicians and students can acquire essential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landscape tree management and increase their interest in it.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found learning opportunities for plant physiology, and the technicians should make efforts themselves. In addition, it is needed to build organizations to which they can ask technical questions about landscape planting and management in order to understand landscape industry in general and the actual status of landscape planting technique and the actual field. Moreover, to elevate systemicity and expertise in the area of landscape tree management not yet equipped with the foundation, it is needed to cultivate the technicians intensively and conduct research by those concerned both in academic and industrial circles.

조경수 관리시 발생하는 병충해 등의 문제에 대한 자문을 받기 위하여 관리 담당자는 나무병원에 진단 및 처방을 의뢰하고 있는데,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목진단센터로 인증된 서울대학교 식물병원, 충북대학교 식물종합병원 및 강원대학교 수목진단센터의 온라인 상담게시판에 등록된 조경수 관련 질의와 답변을 검토하여 조경관리자 및 관계자들이 주로 질의하는 조경수 관리상의 문제와 의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질의자 중에 조경관계자가 81.4%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나, 질의시 조경수 진단에 필수적인 수목관리 이력 및 주변환경 설명을 한 경우가 11.5%에 불과할 정도로 조경관계자들이 수목진단에 관한 기초적 지식이나 관심이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조경수 관련 질의 263건 중 생리피해 질의가 94건, 35.8%로 가장 많은 건수를 나타냈다. 이어서 충해, 병해 순이었다. 표징이 없고 다양한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생리적 문제의 특성상 진단 및 처방의뢰를 가장 많이 하게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생리피해의 원인으로는 수분스트레스와 온도스트레스가 가장 많은 편이었으며, 병해는 그 병의 종류가 다양하였고, 생리적 원인이 수반되는 복합피해도 많은 편이었다. 충해는 나방류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할 때, 조경 기술자와 학생이 조경수 관리의 필수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관심도를 고취할 수 있도록 대학이나 기술자 교육기관에서 조경수 관리교육을 반드시 실시하여야 하며, 특히 수목 생리에 대한 심도있는 학습 기회 제공과 기술자 스스로의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조경업에 대한 이해와 조경식재 기술 및 현장의 실정을 이해하는 조경식재 및 관리에 대해 전문적으로 자문할 수 있는 기관의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아직 기반이 갖추어지지 않은 조경수 관리분야의 체계성과 전문성 도모를 위해 집중적인 기술자 육성과 학계와 업계 등 관계자들의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전유(2005) 나무병원의 현황 및 운영실태. 수목보호 10: 7-16.
  2. 김용국, 한소영, 조경진(2011) 민․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조성 및 관리 방식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9(3): 83-97.
  3. 민병로, 최진호, 이규승, 김웅, 이대원(2011) 과수및가로수병해충방제를 위한 중소형 살포기의 성능실험 및 영상처리를 이용한 분석.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0(2): 101-108.
  4. 송유한(1998) Internet을 활용한 병해충 발생예찰.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3: 415-445.
  5. 오충현, 이경재(1993) 도시녹지의 생태학적 조성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1(1): 125-137.
  6. 이경준, 이승제(2006) 조경수 식재관리기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178.
  7. 임은천, 김제준, 신창선, 이정훈(2007) 토양 및 환경 센서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병해충 예측 관리 시스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681-684.
  8. 임은천, 신창선, 심춘보(2007)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병해충 예측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12(3): 27-35.
  9. 조우(2002) 도시자연공원의 식생구조에 따른 관리방안: 인천광역시 월미공원의 사례. 한국조경학회지 30(1): 61-749.
  10. 한봉호, 이경재(2001) 생태적 특성에 따른 산림녹지의 관리방안 : 부천시의 사례. 한국조경학회지 29(1): 51-66.
  11. Harris, Richard Wilson(2004) Arboriculture : Integrated Management of Landscape Trees, Shrubs and Vines. Prentice Hall.
  12. http://www.kma.go.kr/weather/observation/currentweather.jsp
  13. http://www.la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