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ggestions on Efficient Cost Management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 Focused on Total Project Cost Management System-

공공건설사업 사업비 관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총사업비관리제도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2.08.29
  • Accepted : 2013.01.03
  • Published : 2013.05.31

Abstract

Total Project Cost Management System(TPCMS) was introduced with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ost control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 in 1994. In this paper, general perception of participants of the public construction project on the TPCMS was examined, and the problems in implementing the TPCMS was figured out through expert interviews and survey. Then better ways to implement the system were drawn based on the problems. To effectively manage the cost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 basically project cost should be estimated accurately in planning stage and managed based on it to have a project complete within the budget. In addition, the cost need to be managed in more systematic ways in term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the autonomy in managing the project cost given to the project owner needs to be expanded. Most of all, proper budget should be provided to prevent a project from delay through setting the priority of projects and proper budget allocation based on the priority.

정부 재정지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도입된 총사업비관리제도는 그간 대형 신규 공공투자사업 추진 시 적정한 절차를 순차적으로 거치도록 의무화하고, 총사업비 증가율을 억제하는 등 일부 성과가 있었다. 도입 18년이 지난 시점에서 공공건설사업의 사업비 관리의 근간이 되는 총사업비관리제도에 대한 적용 실태 및 제반 운영에 대한 사업참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설문을 통하여 운영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기본적으로 공공건설사업의 사업비 관리는 사업 초기 단계에 예산을 정확히 산정하고, 후속 단계에서 이를 지키려는 노력을 시행하며, 확정된 예산에 가장 부합하는 사업의 가치 확보라는 개념에 입각해서 계획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공공건설사업의 총사업비관리의 체계화하고, 담당자의 전문성을 제고하는 한편 발주처의 자율성을 확대하여야한다. 무엇보다도 총사업비관리 대상사업의 적기 준공을 유도하여 사업기간 지연으로 인한 총사업비의 증액을 방지 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1993). "공공 건설사업 효율화 종합대책"
  2. 김상 범.이정대.조지훈 (2008). "계속비 사업 확대로 인한 공공건설사업 파급효과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9권 3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53-163
  3. 국토해양부 (2010). "총사업비관리 지침"
  4. 국회예산정책처 (2009). "총사업비관리제도 평가"
  5. 기획재정부 "보도자료"2010. 9.15
  6. 신동아 (2011). "정권-국회-지자체 야합 비효율 국책사업 열전", 1월호, pp. 259-265
  7. 이상호 (2005). "총사업비 관리제도의 실태와 문제점-해외사례를 중심으로" 건설경제 44권, pp. 52-62
  8. 정기창.이재섭.박양호 (2012). "공사기간 연장에 따른 추가간접비 사전합의 제도 도입 방안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13권 6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33-44 https://doi.org/10.6106/KJCEM.2012.13.6.033
  9. 제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2008). "예산 낭비사례 분석을 통한 예산절감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