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ues and Utilization Measures of Stone Walls in Jeju Island as Place Assets

장소자산으로서 제주 돌담의 가치와 활용방안

  • Jeong, Kwang-Joong (Departmen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
  • Kang, Seong-Gi (Jeju National University, Wollang Elementary School)
  • 정광중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초등사회과교육전공) ;
  • 강성기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월랑초등학교)
  • Received : 2013.02.05
  • Accepted : 2013.02.18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values and utilization measures of the stone walls in Jeju Island as place assets. The discussion on this subject may serve as a breakthrough to resolve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stone walls in Jeju Island have been focused on for their potential value not for their practical value as place assets. Moreover, specific measures to utilize Jeju stone walls may become a vehicle to seek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region. This study discussed the types, functions and values of the stone walls in Jeju Island as place assets and suggested practical measures to use the structures based on their regional distribution. The in-depth discussions largely concluded that there might be five values and seven utilization measures with regard to the Jeju stone wal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new indicator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of Jeju Island.

본 연구의 목적은 장소자산으로서 제주 돌담의 가치와 더불어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논의는 그 동안 제주 돌담이 장소자산으로서 본질적인 가치가 부각되지 않고, 잠재적 가치만을 주장해온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돌파구가 될 수 있다. 더불어 제주 돌담의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통하여 제주의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모색하는 방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소자산으로 제주 돌담의 종류와 기능 및 가치를 논의한 후 제주 돌담의 지역별 분포현황을 토대로 현실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심층적으로 논의한 결과, 제주 돌담의 가치는 크게 다섯 가지를 부각시킬 수 있었고, 구체적인 활용방안에서는 일곱 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는 앞으로 제주 지역발전의 새로운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