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anterior and posterior corneal spherical aberration with age in the korean

한국 성인의 연령에 따른 각막 전후면 구면수차에 관한 분석

  • 송윤영 (제주관광대학교 안경광학과) ;
  • 정미아 (극동대학교 안경광학과) ;
  • 강인산 (제주관광대학교 안경광학과) ;
  • 최지영 (제주관광대학교 안경광학과)
  • Received : 2012.11.11
  • Accepted : 2012.11.30
  • Published : 2013.01.31

Abstract

We have investigated the variation of spherical aberration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surface in a Korean sample population with various age between 20 to 71 years old. We used Pentacam (Oculus Inc., Germany) to measure the corneal radius, asphericity, and spherical aberration of 290 patients with normal cornea.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rneal anterior radius and spherical aberration(r = -0.22, p<0.0001), a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rneal posterior radius and spherical aberration(r=-0.27, p < 0.0001).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nterior asphericity and spherical aberration(r = 0.24, p < 0.0001), however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osterior asphericity and spherical aberration(r = -0.17, p=0.00288).The average of anterior spherical aberration and posterior spherical aberration was $0.482{\pm}0.099{\mu}m$ and $-0.098{\pm}0.029{\mu}m$. The average of spherical aberration was $0.385{\pm}0.097{\mu}m$.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nterior spherical aberration and age(r = 0.227, p<0.0001), a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osterior aberration and age(r = 0.349, p<0.0001). It is considered that this data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furture stud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vision of modern human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pherical aberration of cornea wa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optical part of the Korean's eye.

20~71세 성인을 연령에 따라 5군으로 분류하여 연령에 의한 정상 한국인의 각막 전후면 수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사람 가운데 전신질환이나 안질환이 없으며, 굴절이상 수술을 포함하여 안과 관련 수술병력이 없는 성인 290안을 대상으로 Pentacam 을 사용하여 각막곡률반경, 비구면도, 각막 구면수차를 측정하였다. 전체 대상군의 평균 전면 곡률반경과 구면수차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r = -0.22, p < 0.0001), 평균 후면 곡률반경과 구면수차 사이 또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 = -0.27, p < 0.0001). 또한, 평균 전면 비구면도와 구면수차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r = 0.24, p < 0.0001), 평균 후면 비구면도와 구면수차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 = -0.17, p = 0.00288) 전체 대상군의 전면 구면수차의 평균 값은 $0.482{\pm}0.099{\mu}m$, 후면 구면수차의 평균값은 $-0.098{\pm}0.029{\mu}m$이고, 전체 구면수차의 평균값은 $0.385{\pm}0.097{\mu}m$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구면수차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면수차는 연령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 = 0.227, p<0.0001)를 보였고, 후면 또한 연령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 = 0.349, p<0.0001)를 나타났다. 한국 정상인의 각막 구면수차 분석을 통하여 한국 정상인 눈의 광학적 부분의 더 나은 이해를 제시하였으며, 현대인의 시력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