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구면도

Search Result 47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비구면 광학계의 제작과 응용

  • 정진호;전영세
    • The Optical Journal
    • /
    • v.12 no.3 s.67
    • /
    • pp.45-53
    • /
    • 2000
  • 각종 비구면 렌즈를 개발해 첨단장비로 생산하고 있는 서울광학산업㈜이 진행하고 있는 비구면 광학계 제작에 대한 내용이다. 비구면렌즈의 개념과 제작 방법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DOAS(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meter)용 광학계, CTR노광계. 콜리메이션 방식 노광계와 같은 서울광학사업㈜의 비구면 응용제품에 대해서 설명했다. 직접 보유하고 있는 비구면렌즈 제작 관련 장비도 소개한다. 서울광학산업㈜ 연구소 정진호

  • PDF

초정밀 비구면의의 설계, 측정 및 가공의 비용절감을 지원하는 새로운 비구면 표현식 Q Polynomials의 소개

  • Sin, Ji-Sik
    • The Optical Journal
    • /
    • s.150
    • /
    • pp.31-41
    • /
    • 2014
  • 현재까지 많은 업체에서 사용되는 비구면 표현식의 단점을 해결하여 직관적이며 예측가능한 면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비구면 표현식, 일명 Q Polynomials (또는 Forbes Polynomials, Q-type Polynomials)을 소개한다. Q Polynomials은 기존 quadratic polynomial을 이용한 표현식과 달리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유일한 함수 Qm를 기본으로 하는 다항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계수는 하나의 비구면에 대해 유일한 계수다. 각 항의 함수의 모양이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계수들의 크기를 살펴보면 비구면도, 측정 가능성, 가공 및 생산 가능성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 따라서 비구면 설계 시점에서부터 시험/검사, 생산이 실질적으로 가능한 비구면 광학요소인지가 판정되므로 설계시부터 설계자, 시험/검사자, 생산자 사이의 합의가 이루어지는 것과 같다. 따라서 생산성과 간섭계 측정을 이용한 초정밀 비구면를 제조할 수 있는 결과에 이르게 된다. 이미 도입한 여러 업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고 있다. Q polynomials은 기존에 현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광학 설계 프로그램에도 적용되어 사용 가능하다.

  • PDF

비구면의 시대 도래

  • 한국광학기기협회
    • The Optical Journal
    • /
    • s.91
    • /
    • pp.72-75
    • /
    • 2004
  • 비구면의 사용으로 광학 설계자들은 최소의 렌즈로 보다 고성능의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고정밀 비구면 렌즈는 제작이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특별한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전통적인 가공 방법과 비교하여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자기유동연마(magnetorheolpgical finishing)라는 새로운 비구면 가공기술이 개발되었다. 이 기술은 비구면의 장점을 더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첨단의 정밀

  • PDF

3. 최신 기술 동향 - 비구면 렌즈, 회절광학소자 동향

  • 이종웅
    • The Optical Journal
    • /
    • v.13 no.1 s.71
    • /
    • pp.39-42
    • /
    • 2001
  • 국내 광학산업계에서 결상광학계에 대한 기술은 구면 광학계를 위주로 하고 있고, 소형 플라스틱 렌즈분야에서 비구면의 활용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앞으로 고성능 결상광학계를 중심으로 유리 비구면 렌즈의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유리비구면 렌즈의 성형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비구면 플라스틱렌즈의 경우 비구면의 면정도를 0.1$\mu$m 수준으로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해 탐침법에 의한 기계적 형상측정에서 간섭계를 이용하는 정밀한

  • PDF

Study on design and measurement of aspheric (비구면의 설계와 측정)

  • Park, Dong Hwa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0 no.2
    • /
    • pp.133-138
    • /
    • 2005
  • As Aspheric lenses have producted to development for disadvantage of spherical lenses, the purpose of use on aspheric lenses is in improvement of the imaging quality and decrement of the number of lenses used, they are used for lessen the mass and volume in optical science. The skills to produce optical data and the aspheric are seen as high technology today. The optical science which is composed of aspheric provides broadening view of things and high efficiency. In addition, it provides many advantages such as providing image and reducing the weight. Now, I study with techniques of processing and measuring aspheric to satisfy the necessity of increasing in aspheric data. Furthermore. I emphasize that the techniques of producing, measuring, and evaluating in the aspheric lenses have constantly developing today.

  • PDF

비구면렌즈 모델링 및 CAM적용에 관한 연구

  • 김수용;김민주;이승수;박재현;서용권;전언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40-24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광학 기기 전반에 사용되고 있는 비구면 렌즈(aspheric lens)의 모델링과 제작 및 검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구면 렌즈는 볼록렌즈, 오목렌즈와 달리 비구면을 사용함으로써, 사물의 원근에 관계없이 하나의 초점에 상을 맺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모델링 정보는 공개되지 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식을 오일러 법(Euler method)을 적용하여 비구면 렌즈의 기하학적 형상을 모델링하였다.(중략)

  • PDF

Fabrication of a Polishing Machine for 1 m Diameter Aspheric Surface (구경 1 m 정밀 비구면 연마기 제작)

  • 이원용;임동건;이재협;이회윤;송재봉;이윤우;이인원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36-37
    • /
    • 2002
  • 위성용 천문 망원경의 개발에 있어 광학계는 대구경화되고 회절한계능의 품질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는 위성용 카메라를 위한 지름 1 m 의 비구면 거울의 제작기술을 확보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현재 지름 600 mm 의 비구면 연마기를 확보하여 테스트 중에 있으며, 지름 1m 비구면 가공을 위한 연마기를 제작 중에 있다. 비구면 가공을 위해서는 측정기술 또한 중요하다. (중략)

  • PDF

ASPHERIC LENS 금형개발

  • 김부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04a
    • /
    • pp.43-47
    • /
    • 1992
  • 물체공간의 한점에서 출발하여 광학계에 입사한 광속은 전부 상공간의 한점에서 집속되고 물체공간의 점 과 상공간의 점은 1:1로 대응해야 하나 현실의 광학계는 필히 수차가 존재하기때문에 이상 결상을 맺지 못다. 이러한 원인으로 생기는 수차를 통상의 방법으로 제거 할 수 없을때 비구면 LENS를 사용한다. 비구 면 LENS는 축대칭성을 갖고 단면형상이 다항식으로 표현되는 곡면을 갖는 LENS로 종래의 구면체로 구성 된 광학계에서 보정될 수 없었던 수차를 근본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비구면 LENS를 사용하므로써 화질 의 향상을 기할 수 있고 LENS 매수를 줄임으로써 LENS계 전체의 COMPACT 화, COST DOWN, 중량경감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지금까지 이러한 장점이 있는 비구면 LENS가 사용되지 못했던 것은 설계기술보다는 생산기 술에 있었는데, 최근 비구면 LENS 가공이가능한 기계와 LASER를 이용한 측정기술, MOLD MASTER에 의한 사출기술이 발전함에따라 PLASTIC LENS의 양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고에서는 신 제품 개발능력 확보와 제품경쟁력 향상을 목적으로 개발한 비구면 LENS 금형의 초정밀가공 정도 (비구면 가공정도 : FORM ERROR 0.2 .mu. m 이하) 달성방법과 측정평가에 대해 논했다.

업계기고 - Variable Optical Null(VON$^{TM}$)을 이용한 비구면 정밀광학측정 분야에서의 최근 동향

  • Sin, Ji-Sik
    • The Optical Journal
    • /
    • s.143
    • /
    • pp.46-53
    • /
    • 2013
  • 비구면 광학요소는 광학계에 중요한 이점을 제공하는 반면 정밀한 측정에 제한이 많기에 정밀한 비구면의 생산이 어려운 광학 요소이다. 수년 전 부분 구경 스티칭 방법(Subaperture Stitching Interferometry, 이하 SSI$^{(R)}$)의 개발과 이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장비(SSI-A$^{(R)}$)의 도입으로 비구면 형상오차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많은 비구면들이 기존의 SSI-A의 영역에 포함되지만 이에 더 나아가 VONTM(Variable Optical Null)을 도입하면 기존의 측정 영역인 비구면도(best fit sphere에서) $100{\sim}200{\lambda}$대에서 약 $1000{\lambda}$까지 확장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지난 2012년 10월 23일 진행된 QED의 기술강연회에서 발표된 내용 중 VONTM의 원리와 이를 이용한 SSI$^{(R)}$ 기술이 도입된 장치인 ASI$^{(R)}$(Aspheric Stitching Interferometer)의 측정결과를 그 동안 각종 학회 등에서 발표된 자료들을 통하여 소개하도록 하겠다.

  • PDF

Interferometric Testing of Fast CNC machined Aspheric Surface (CNC 가공된 급속한 비구면의 간섭계 검사)

  • 김광중;백성훈;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2a
    • /
    • pp.216-217
    • /
    • 2000
  • 영상매체의 발달은 고성능의 정밀한 광학소자의 발전을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광학소자는 제작의 용이함 때문에 주로 구면소자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구면소자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구면수차, 왜곡수차, 비점수차 등의 요인을 극소화하고 광학소자의 소형, 경량화를 위하여 비구면 광학소자의 사용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비구면 가공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비구면광학소자는 제작과정의 어려움과 더불어 품질평가의 어려움이 있다. 특히 급속한 기울기를 가진 면의 측정은 3차원측정기에 의한 방법이나 간섭계를 사용한 단순한 null optics 검사로는 정확도와 실험의 한계가 있다. 비구면 광학소자의 평가방법으로는 간섭계를 사용하여 기준파면과 대상파면을 비교하는 일반적인 null testing과 최근에는 CGH(computer generated hologram)로 재생된 비구면파면과 대상파면을 비교하는 방법도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검사방법으로는 검사가 어려운 급속한 기울기를 가진 포물면(parabolic surface)에 대한 하나의 검사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