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Scientific Reasoning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Discourses

초등 과학 수업 담화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추론 탐색

  • Received : 2012.11.21
  • Accepted : 2013.01.24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scientific reasoning that students and their teachers constructed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discourses in terms of basic reasoning types; deduction, induction, and abduction. For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13 classes of 4th grade science activities during a period of three months and analyzed three types of scientific reasoning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discourses. We found that deduction (one discourse segment), induction (one discourse segment), and deduction-abduction (two discourse segments) were presented in the discourses. They showed that: first, scientific reasoning proceeded explicitly or implicitly in elementary science discourses; second, the students and their teachers have potentials to increase the quality of reasoning depending on their inter-subjectivity; and last, the students' background knowledge were very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their reasoning. Implication and remarks on science education and research were presented based on this results as well.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추론의 기본 논리 전개가 연역, 귀납, 귀추라는 관점을 토대로 초등과학 수업 담화에서 교사와 학생이 만들어가는 과학적 추론의 흐름의 양상을 탐색하였다. 3달에 걸친 13차시의 초등학교 4학년 활동 중심의 과학 수업 담화를 주 자료원으로 하여 과학적 추론의 흐름의 양상을 분석 및 해석한 결과, 총 3개의 과학적 추론의 양상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로서, 연역적 추론(담화 단편 1개), 귀납적 추론(담화 단편 1개), 귀추적 추론(귀추-연역적 추론, 담화 단편 2개)이 질적으로 해석되어 제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과학 담화에서 추론이 명시적이고 암시적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 교사와 학생의 상호주관성의 형성에 따라 추론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학생의 추론 전개에서 추론 내용에 대한 배경 지식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학 교육 및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주, 정진수, 박용복, 강민정 (2003).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 귀납적, 귀추적, 연역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15-228.
  2. 권현정(2003). 중학교 과학실험실 수업에서의 교사 학생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찬종, 신명경, 이선경(2010). 비형식 과학학습의 이해. 서울: 북스힐.
  4. 박종원(2000). 학생의 과학적 설명가설의 생성과정 분석-과학적 가설의 정의와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67-679.
  5. 박종윤, 정인화, 남정희, 최경희, 최병순(2006).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질문과 피드백을 활용한 교사-학생 상호작용 강화 수업 전략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39-245.
  6. 유은정, 고윤정, 이선경, 김찬종(2006). 과학수업에서 초임교사의 수업담화와 내러티브 특징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3(2), 101-127.
  7. 이규호, 권병두(2010). 지구과학적 현상의 특성을 고려한 추론 중심 탐구수업 모형 제안. 한국지과학교육학회지, 31(2), 185-202.
  8. 이옥희(2004).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이혜정, 양일호, 서형두, 정재구(2005). 초등학교 6학년 과학 수업의 사회적 참여구조 유형. 초등과학교육, 24(2), 123-129.
  10. 최경희, 박종윤, 최병순, 남정희, 최경순, 이기순 (2004).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039-1048.
  11. Anderson, J, R. (2005). Cognitive psychology and its implications(6th ed.). New York: Worth Publishers.
  12. Chalmers, A. (1985). 현대의 과학철학 (신일철, 신중섭 역). 서울: 서광사. (원서 1982년 발행)
  13. Flach, P. A. & Kakas, A. C. (2000). Abductive and inductive reasoning: Background and issues. In P. A. Flach & A. C. Kakas (eds.). Abduction and induction: Essays on their relation and integration (pp.1-27). Dordrecht/Boston/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14. Gustason, W. (1994). Reasoning from Evidence: Inductive Logic. New York: Macmillan College Publishers.
  15. Hanson, N. R. (1958). Patterns of discovery.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Hanson, N. R. (1971). Observation and explanation: A guide to philosophy of science. London, UK: George Allen & Unwin.
  17. Hammer, D., Russ, R., Mikeska J., & Scherr, R. (2008). Identifying inquiry and conceptualizing students'abilities. In R. A. Duschl & R. E. Grandy (eds.). Teaching Scientific Inquiry (pp. 138-156), The Netherlands: Sense Publishers.
  18. Jung, S. (1996). The logic of discovery: An interrogative approach to scientific inquiry, New York: Peter Lang.
  19. Kuhn, D., Amsel, E. & O'Loughlin, M. (1988).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skill.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0.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1. Lawson, A. E. (2000). How do humans acquire knowledge? and what does that imply about the nature of knowledge? Science & Education, 9, 577-598. https://doi.org/10.1023/A:1008756715517
  22. Lawson, A. E. (2004). T. rex, the crater of doom, and the nature of scientific discovery. Science & Education, 13, 155-177. https://doi.org/10.1023/B:SCED.0000025564.15210.ab
  23. Magnani, L. (2001). Abduction, reason, and science process of discovery and explanation. New York: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
  24. Siegel, H. (1989). The rationality of science, critical thinking and science education. Synthese, 80(1), 9-42. https://doi.org/10.1007/BF00869946

Cited by

  1.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of Plate Boundaries and Their Conception Revision According to Their Reasoning Patterns vol.35, pp.5, 2014, https://doi.org/10.5467/JKESS.2014.35.5.385
  2. Analysis on the Trends of Science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Students' Science Learning in Korea vol.35, pp.4,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751
  3. An Investigation o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Difficulties in Practice of Inquiry-based Experiment vol.59, pp.5, 2015, https://doi.org/10.5012/jkcs.2015.59.5.434
  4. 오목렌즈로 관찰되는 상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이해 vol.35, pp.5,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5.0871
  5. K-WISC-IV에 나타난 과학학습 부진아, 일반아, 과학학습 우수아의 인지 특성 비교 연구 vol.39, pp.3, 2013, https://doi.org/10.21796/jse.2015.39.3.418
  6. 귀추적 추론 모형을 적용한 초등 과학 수업의 입자 개념 형성 효과 vol.37, pp.1,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025
  7.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과학교육 질적 연구동향 분석 vol.10, pp.3, 2013,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3.290
  8. 초등학생들의 과학 글쓰기에 나타나는 과학적 추론의 학년별 차이 vol.38, pp.6, 2018,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6.839
  9. 과학교육론 교재에서 나타나는 귀납, 연역, 가설연역, 귀추의 의미 혼선 vol.43, pp.1, 2013, https://doi.org/10.21796/jse.2019.43.1.79
  10. Participation patterns of elementary students in scientific problem finding activities vol.5, pp.1, 2013, https://doi.org/10.1186/s41029-019-0039-6
  11. 문제의 구성을 강조한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탐구 문제와 과학적 추론의 관련성 탐색 -삼투 현상 탐구 활동을 중심으로- vol.40, pp.1,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