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atus, Issues, and Improvement of Korean Childcare Accreditation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현안 및 발전방안

  • Received : 2013.11.14
  • Accepted : 2013.12.24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issues and improvement of Korean Childcare Accreditation and to suggest some developmental directions of Korean Childcare Accreditation.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Korean and accreditation systems abroad and the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accreditation. Finally, we presented some problems about Korean Childcare Accreditation and alternative ways to solve them. In other words, to achieve a true purpose of accreditation, we have to convert a philosophical paradigm and childcare staffs have to be the subject of accreditation. In addition, we need to hold various viewpoints, indicators, and evaluation methods to recognize discrimination and multiplicity of individual childcare centers. And we have to hold cooperative relationships among childcare centers, parents, community, and governmen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운영체계 및 지표를 주기별로 정리하고, 어린이집 평가인증을 실시하고 있는 외국(미국, 호주, 영국)의 사례들을 살펴본 후 현재 우리나라 어린이집 평가인증제가 안고 있는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앞으로 우리나라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발전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어린이집 평가인증제가 안고 있는 문제점 및 개선방안은 어린이집 평가인증 준비과정, 평가인증지표, 평가인증 결과 및 사후관리 측면에 따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본질적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평가인증제도의 철학적 패러다임의 전환, 보육교직원이 주체가 되는 평가, 어린이집 현실을 고려한 평가인증지표의 다양화, 다양한 평가방법 적용, 그리고 정부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어린이집, 가정 및 지역사회, 정부의 사전 협의, 조정 및 협력적 노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옥(2008). 경남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인식과 요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수경(2009). 유치원 평가의 과정과 지표에 대한 교사의 평가위원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강옥주(2008). 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 종사자의 평가인증 지표에 관한 인식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금미숙(2007). 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에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경혜, 김진숙(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과 교사의 반응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6), 85-112.
  6. 김남희(2010). 유아교육평가의 구조적 문제 진단 및 방향 모색을 위한 탐색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9(4), 135-163.
  7. 김동례(2007). 보육시설 종사자가 인식한 평가인증제의 운영과정과 사후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명순(2004). 저소득층 영유아를 위한 보육의 긍정적 효과. 영유아보육과 파트너쉽, 삼성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6월 23일. 서울: 성균관대학교 600주년 기념관 새천년홀.
  9. 김수향, 최연희(2009). 평가인증에 통과한 보육시설의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인식 연구. 아동교육, 18(2), 65-78.
  10. 김순덕(2010). 보육시설 종사자의 평가인증 통과후 인식과 사후관리.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정희(2004). 보육시설 평가 인증제 도입에 관한 의식 조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향은(2008). 평가인증에 참여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경험을 통해 본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효과. 아동학회지, 29(1), 169-188.
  13. 남미경(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활동평가척도의 개발 및 적용. 유아교육연구, 30(1), 147-171.
  14. 남미경, 김남희, 고은미(2009). 델파이 조사를 통한 보육시설 평가인증 과정에서의 조력활동 평가 체제 개발. 영유아교육학논집, 13(5), 141-164.
  15. 남선영(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시설장들의 인식연구: 2005년 평가인증 통과시설 대상.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라소영(2006). 평가인증에 대한 보육시설의 인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류미선(2003).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에 따른 원내자율장학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마미정(2006). 성공적인 보육시설 평가인증 준비과정을 위한 질적 접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3), 111-135.
  19. 문순정(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따른 사후 유지관리 프로그램 필요성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문지희(2003). 영유아 보육시설 평가인증 제도 도입에 관한 실증적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박경희(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 이후 사후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원주시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경희(2012).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과 후 사후유지관리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평가인증을 통과한 40인 이상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복매(2005).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에 관한 시설장의 인식 연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박영숙(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의 인식 : 경기도 용인시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보건복지부(2013). 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서울 : 보건복지부.
  26. 서문희, 이상헌, 임유경(2000).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도입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7. 서은총(2012). 평가인증 방문조력가의 경험이야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여성가족부 보육정책국 보육재정팀(2006). 2006년 보육시설평가인증 시행계획.
  29. 유희정(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 시범운영 결과 및 발전방안. 육아정책 포럼, 2, 6-19.
  30. 이경채(2003). 평가인증제에 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기숙, 강수경(2012). 유아교육기관평가. 서울: 창지사
  32. 이기숙, 김영옥, 박경자(2005). 보육경험과 유아의 인지 및 사회성 발달. 유아교육연구, 25(6), 255-275.
  33. 이기심(2010). 평가인증제도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소재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대균(2005). 한국과 미국, 호주의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비교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9(2), 125-150.
  35. 이미정, 이진희(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표의 영아 대상 적절성에 대한 영아전담 보육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111-135.
  36. 이미정, 이현진(2011). 영아전담어린이집의 평가재인증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요구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0(3), 95-117.
  37. 이숙자 (2005). 여성부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 옥(2002).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도입과 보육의 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주제 발표 자료집, 9-22.
  39. 이완정, 허린강(2012). 보육교사의 평가인증경험과 동기부여적 자아개념.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자료집. 99-104.
  40. 이은해, 유희정, 김온기(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 시범 사업 평가 및 사후관리. 육아정책개발센터 연구보고서. 30-31.
  41. 이정숙(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이재완, 류수현(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관한 보육시설장의 인식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5, 361-381.
  43. 이혜숙(2008).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과 평가인증에 따른 직무만족도.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장상란, 서현아(2009). 평가인증 후 어린이집 종사자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및 사후관리 실태. 생태유아교육연구, 8(3), 191-222.
  45. 전춘애, 이미숙(2002). 보육시설의 구조적, 과정적 변인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115-124
  46. 정재은, 정은정(2012). 어린이집 평가인증 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30(1), 67-94.
  47. 조미환, 성은영(2012). 어린이집 평가인증 참여에 따른 평가인증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강원도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2(2), 101-119.
  48. 조현옥, 최인화(2011).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비교-2차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301-324.
  49. 조형숙, 김현주(2005). 유아교사를 위한 집단멘토링 의미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227-263.
  50. 중앙보육정보센터(2013. 10. 7). 보육컨설팅. http://central.childcare.go.kr
  51. 채혜선, 현정희(2008). 보육시설평가인증 참여유무에 따른 보육교사의 자기평가 전문성 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52, 63-84.
  52. 최경애, 양옥승(2004).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의 개발 및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24(5), 5-23.
  53. 최일선, 이기숙, 강숙현, 기현주(2000). 미국 , 영국 , 호주의 유아교육기관 평가제도 비교. 영유아교육연구, 3(1), 99-118.
  54. 최지현, 박혜원(2000). 보육환경(보육시설 및 교사)이 영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논문집, 2(1). 73-87.
  55. 탁옥경(2009). 자연 어린이집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6. 탁옥경, 배지희(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 과정에 참여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7(4), 327-353.
  57. 하영례(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준비과정의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4), 25-47.
  58. 하영례, 고경필(2007). 평가인증제를 준비하는 교사의 '어려움' 분석-평가인증지표 7개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51, 127-153.
  59. 홍은숙, 부성숙(2011). 보육시설 평가인증 재인증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조사. 발도르프교육연구, 3(2), 79-97.
  60. 한국보육진흥원(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 (2013. 10. 7). https://www.kcpi.or.kr/
  61. 황인숙(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에 관한 조사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황채영(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사후유지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자율장학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황해익(2009). 질적수준 제고를 위한 유아교육기관평가. 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03-126.
  64. 황해익, 조준오, 김병만(2012). 보육컨설턴트의 역할과 자질 및 보육컨설팅 요구 영역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3), 187-208.
  65. ACEAQA(2013a). Introducing the National Quality Framework. (2013, October 7). http://www.acecqa.gov.au/national-quality-framework/introducing-the-national-qualityframework.
  66. ACEAQA(2013b). Guide to Assessment and Rating for Services. (2013, October 7). http://fi les.acecqa.gov.au/files/Assessment%20and%20Rating/Guide%20to%20Assessment% 20and%20Rating%20for%20Services_130109.pdf.
  67. Booth, C., & Kelly, J.(2002). Child car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toddlers with special need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7(2), 171-196. https://doi.org/10.1016/S0885-2006(02)00144-8
  68. Doherty-DeKowski, G.(1995). Quality matters : excellen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Don Mills, Ontario: Addison-Wesley Publishers Limited.
  69. Field, T.(1992). Quality of infant day-care and grade school behavior and performance. Child Development, 62(4), 863-870.
  70. Goffin, S.(2002). 영유아 교육기관의 인정제: 한국, 일본, 미국, 영국, 호주. 2002년 삼성복지재단국제학술대회: Succeeding with accreditation, 259-286.
  71. NAEYC(2013a). Overview of the Four Steps. (2013, October 7). http://naeyc.org/academy/pursuing/ fourstepoverview.
  72. NAEYC(2013b). NAEYC Early Childhood Program Standards and Accreditation Criteria & Guidance for Assessment. (2013, October 7).http://www.naeyc.org/files/academy/file/AllCriteria Document.pdf
  73. OFSTED(2012). Framework for the regulation of provision on the Early Years Register. www.ofsted.gov.uk/resources/120288.
  74. Oscar, a. B., Terry, M., Diane, E., Richard M. C., Donna, B., & Margaret, B.(2006). Quality of prekindergarten: what families are looking for in public sponsored program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7(4), 619-642.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1704_6

Cited by

  1. 충청북도 어린이집의 평가인증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분석 vol.32, pp.5, 2013, https://doi.org/10.7466/jkhma.2014.32.5.15
  2. 2013년도 어린이집 평가인증 운영체계 개선에 따른 성과평가와 개선안 vol.11, pp.1,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501
  3.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시간과 심리적 어려움에 관한 연구 vol.12, pp.1,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203
  4. Recognition and importance of childcare teacher on childcare support policies in Busan vol.36, pp.6, 2013,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6.018
  5.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child care teacher’sperception and practice about the 3rd index of child care centeraccreditation system vol.36, pp.6, 2016,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6.022
  6. Perceptions of the participants in the third accreditation demonstration project on the accreditation system index and the post-management of accredited childcare centers vol.12, pp.2, 2013, https://doi.org/10.16978/ecec.2017.12.2.011
  7. 어린이집 강점평가지표 개발 및 타당화 vol.14, pp.6,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8.14.06.143
  8. Effects of the Cumulative Number of Visiting Education on Children's Foodservice Hygiene Management vol.28, pp.6, 2013, https://doi.org/10.17495/easdl.2018.12.28.6.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