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rens' Experience in the Forest Kindergarten

숲유치원에서의 유아의 경험 세계

  • 전주영 (신라대학교 유아교육과) ;
  • 손원경 (신라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3.08.15
  • Accepted : 2013.10.20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ave a more perfect understanding of forest kindergartens, to examine educational values important for the actualization of forest kindergarten education an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forest kindergartens. To serve the purpose, it was necessary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to closely observe the experiences of preschoolers in a forest kindergarten and grasp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the world of experiences among the preschoolers in the forest kindergarten consisted of the following three fields: The first was the field of real nature. The preschoolers found their own nature in the forest kindergarten. The second was the field of aesthetics. The preschoolers acquired aesthetic experiences in the forest kindergarten. And the last was the field of genuine play.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education: First, it's important to provide enough time to preschoolers. Second, it's important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preschooler's activity spaces. Third, it's important to see the meaning of genuine play and things to play with in a new light.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a forest kindergarten could serve as a meaningful space to provide happiness for preschoolers.

본 연구는 숲유치원에서의 유아의 경험 세계를 살펴보고 그 안에 내재된 유아교육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를 통해 앞으로 숲유치원이 나아가야 할 긍정적 방향성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2년 3월 넷째 주부터 2012년 11월 셋째 주까지 참여관찰, 면담, 문서 수집, 사진과 비디오 촬영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는 부산시 H유치원 만5세반 24명의 유아와 유아들의 어머니 7인, 원장과 담당교사 2인, 숲해설가 2인이다. 연구자는 본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본 연구의 현장인 숲유치원의 상황적인 맥락을 고려하며 유아들을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숲유치원에서의 유아들의 경험 세계를 본성의 장, 심미의 장, 참 놀이의 장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숲유치원이 유아들에게 타고난 본성을 드러내어 아름다움을 느끼고 참 놀이에 깊이 몰입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희(2012). 숲유치원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유림어린이집 숲 체험 활동 사례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원도민일보(2012. 1. 12). 숲유치원이 온다. http://www.kado.net/ (출력일 2012년 1월 12일).
  3. 김은숙(2011). 한국 숲유치원 교육의 실제. (사)숲유치원협회 2011년도 원장연수자료집, 113-123, 2월 8일. 대전: 대전 만인산 푸른 학습원.
  4. 나성식(2004). John Dewey 교육론의 유아교육적 함의.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류덕연(2011). 숲 체험활동 및 연계활동을 통한 유아의 경험적 변화에 대한 의미.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손원경, 전주영(2011). 자연친화적 실외 환경 놀이에서의 영아의 경험 세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3), 143-164.
  7. 송주은(2011). 숲유치원에 대한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양옥승(2002).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에서 유치원의 자유놀이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 연구, 20(1), 55-73.
  9. 양은주(2002). 듀이 예술철학을 통해 본 교육적 경험의 의미. 교육과정평가연구, 3(1), 47-62.
  10. 오소영(2010). 숲유치원에서의 문학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오희천(2012). 하이데거 존재의 의미. 서울 : 종문화사.
  12. 유혜령(1998). 교수매체 환경과 유아의 경험양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18(1), 131-152.
  13. 이명환(2008). 독일의 숲유치원. 숲과 문화, 17(1), 74-87.
  14. 이명환(2009). 숲유치원 국내 도입의 문제점 및 전망. 녹색희망 숲유치원.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자료집.
  15. 이성자(2010). 숲유치원 운영 사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인원, 최기영(2007). 자유 숲놀이에 나타난 유아놀이 경험.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273-301.
  17. 임재택, 이소영, 김은주(2012). 숲유치원 운영실태 및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1(2), 57-85.
  18. 장희정(2009). 국내 숲유치원 교육 어떻게 추진되고 있나. 숲과 유아교육, 18(3), 23-29.
  19. 조규성(2010). 아이들은 숲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숲에 대한 아이들의 기억에 관한 질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조형숙, 김현주, 박은주, 김민정(2005). 유아교사의 자연친화 교육활동 경험의 의미탐색. 유아교육학논집, 9(1), 157-178.
  21. 주소영(2009). 아이들의 놀이터, 자연을 돌려주자. 숲 . 마음 . 행동. 서울 : 숲과 문화.
  22. 중앙일보(2011. 11. 14). 숲유치원 활성화 단계. http://joongang.joinsmsn.com/ (출력일 2011년 11월 15일).
  23. 최정애(2009). 숲체험 활동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추수진(2008). 유치원 자유선택활동에서의 놀이의 자유.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한유미(2010). 숲유치원의 해외 동향 및 국내 도입 과제.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60, 1-18.
  26. 홍은주(2003). 자연환경구성활동의 교육적 의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홍혜란(2001). 숲체험교육의 사례. 환경연합국제협력위원회 편. 사회 환경 교육의 현황과 전망. 제4차 국제환경 심포지엄 자료집.
  28. 황윤세, 양옥승(2002).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유아교육에 대한 함의. 열린유아교육연구, 7(2),335-355.
  29. Bogdan, R. & Biklen, S. K. (2010). 교육의 질적 연구 방법론(조정수 옮김). 서울 : 경문사(원판2007).
  30. Leavitte, R. L. (1994). Power and emotion in Infant-toddler day care.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1. Malaguzzi, L. (1996). 어린이들의 수많은 언어(오문자, 김희진, 박은혜 옮김). 서울: 다음세대.
  32. Mara, S. S.(1992). 유아교육 과정의 재개념화(신옥순, 염지숙 역). 서울 : 창지사(원판 1992).
  33. Mason, C.(2008). Home education: The Original Home Schooling Series By Charlotte Mason. United States of America: Wilder Publications.
  34. Merriam, E. (1994). Observation, Description, Analysis. NY : University of Columbia Press.
  35. Spradley, J. P. (1988).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법(이희봉 옮김.). 서울: 대한교과서(원판 1980).
  36. Wilson, E. (2010). 바이오 필리아(안소연 옮김). 서울 : 사이언스 북스(원판 1986).
  37. Wilson, E. (2011). 인간 본성에 대하여(이한음 옮김). 서울 : 사이언스 북스(원판 2004).

Cited by

  1. 유아의 어린이집 재원시간과 또래 유능성이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vol.36, pp.1, 2013, https://doi.org/10.5723/kjcs.2015.36.1.85
  2. Effect of Forest Program on Atopic Dermatitis in Children - A Systematic Review - vol.20, pp.2, 2016, https://doi.org/10.34272/forest.2016.20.2.001
  3. Status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Utilizing Forest - Based on the 2015 - 2016 Regional Healthcare Plans in Korea - vol.20, pp.4, 2013, https://doi.org/10.34272/forest.2016.20.4.004
  4. Perception on Forest Prenatal Education for Pregnant Women Using Focus Group Interview vol.21, pp.2, 2017, https://doi.org/10.34272/forest.2017.21.2.002
  5. 숲 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 학부모의 기대감과 유아의 다중지능향상에 미치는 영향 vol.21, pp.5, 2013, https://doi.org/10.5762/kais.2020.21.5.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