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ren's Perception about Rest and Naps in Early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Based on the View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아동권리 존중 측면에서 본 휴식 및 낮잠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

  • 이순희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서영숙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 Received : 2013.08.15
  • Accepted : 2013.10.21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ren's recognition and needs about rest and naps at child care education centers, in the view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The participants were 40 children(20 4 year olds and 20 5 year olds), attending B Public Child Care Education Center in Seoul. The research methods were accomplish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in project activities and interviews with semi-structured questions. The collections of this process which were recorded document materials and video materials were analyzed by transcribed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the children's recognized rest showed time for family together, time for fun play, time required when they were very stressful and angry, and time for eating delicious meals. Second, children recognized that nap time in the child care center was time for a forced nap, time for listening to quiet music, and time for feeling good after a nap. Third, as for the needs to take a rest and a nap for children, they wanted to rest when they came together at full day class after their friends had returned home, they wanted a special area except the classroom, and they wanted to be cared for by familiar adults.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study,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oposed in terms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of enjoying a rest and a nap.

본 연구는 아동권리 존중 측면에서 어린이집에서의 휴식 및 낮잠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과 요구는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국공립 B어린이집 원아 만4세 20명, 만5세 20명으로 총40명이다. 연구방법은 면담조사와 프로젝트활동 중에서 참여관찰로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수집한 관찰기록, 녹음자료, 동영상자료의 전사본을 내용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유아가 인식하는 휴식의 의미는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 재미있는 놀이하는 시간, 힘들고 화날 때 필요한 시간, 맛있는 음식을 먹는 시간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어린이집에서의 낮잠에 대해 유아들은 자기 싫은데도 자야하는 시간, 조용한 음악 듣는 시간, 자고나면 기분이 좋아지는 시간으로 인식하였으며 셋째, 어린이집에서의 휴식 및 낮잠에 대해 유아들은 친구들이 귀가 후 종일반에 모였을 때 쉬고 싶어 하였으며, 교실 외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고, 휴식할 때 친숙한 성인의 보호를 요구했다. 이 결과를 통해 유아들의 휴식 및 낮잠을 즐길 수 있는 권리를 존중하는 측면에서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숙, 서영숙(2012).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 항목: 보육교사가 인식한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의 실행내용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33-162.
  2. 김지희(2012). 아동의 생활시간과 놀이시간 양태연구: 방과 후 보호자 유무에 따른 비교. 대한가정학회, 50(8), 13-19. https://doi.org/10.6115/khea.2012.50.8.013
  3. 서문희(2013). 2012 보육실태조사 결과 발표. 육아정책연구소,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5월 10일).
  4. 서영숙, 서혜정, 김진숙(2009b). 유아권리와 권리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유아교육, 보육행정연구, 13(3), 213-232.
  5. 신지현(2004). 유아기자녀를 둔 부모의 아동권리 인식조사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우남희(2004). 권리와 한국의 조기교육. 한국아동권리학회, 8(2), 189-207.
  7. 이슬기(2008). 어린이집에서의 낮잠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실제. 육아지원연구, 3(1), 147-170.
  8. 이종희, 조은진, 김송이(2009). 놀이. 아동학회지, 30(6), 309-321.
  9. 장지현, 이완정(2011). 유아 어머니의 아동권리존중 실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동과 권리, 15(3), 391-407.
  10. 조춘해, 정희옥(2002). 초등학교 저학년아동의 쉬는 시간 놀이에 관한 문제기술연구. 교육연구, 14(1), 86-105.
  11. 황옥경(2012). 영유아기 권리에 대한 유엔의 권고 분석: 유엔아동권리위원회의 일반논평을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16(1), 27-49.
  12. Barbie norvell, Nancy Ratcliff, & Gilbert Hunt (2009). Give me a Break. Childhood Education,2009-10 winter, 66-69.
  13. BBC NEWS (2007. 12. 11). National Strategy on Play Pledged. (http// : news.bbc.co.uk/ 2/hi/uk_news/education/7139023.stm).
  14.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2013). General comment No. 17 (2013) on the right of the child to rest, leisure, play, recreational activities, cultural life and the arts (art. 31). UN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CRC).
  15. EMILEY STAKE (2011. 12. 11) A Child's Right to Play in Africa.
  16. Johnson, J, E. Christie, J. F, & Wardle, F. (2005). Play, development, and early education, Boston, MA : Pearson.

Cited by

  1. 어린이집 내 장난감도서관 구성에 대한 유아들의 이야기 vol.12, pp.2, 2016,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2.201
  2. Metaphors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concerningyoung children’s rights and teachers’ rights vol.36, pp.3, 2016,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3.004
  3. A study of children's' empowerment through the distribution of power in a context of project learning vol.37, pp.1, 2013,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