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istory and Law of Child-care in Korea

한국 보육의 역사 및 관련법과 현황

  • 조복희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
  • 강희경 (서일대학교 사회복지과) ;
  • 김양은 (우송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한유미 (호서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3.08.15
  • Accepted : 2013.10.21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pare basic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child-care by figuring ou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history, laws, and current status in Korea. First of all, in the section of child-care history, the overall trend of child-care affaires were examined by classifying it into stage 1-Child Welfare Act, stage 2-Early Childhood Education Promotion Act, stage 3-Initial Period of Child-Care Act and stage 4-Complete Revision of Child-Care Act. Second, as for child-care related laws, basic laws such as Infant and Child-Care Act, and related laws such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and Child Welfare Act and other related laws such as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and Work Family Balance Assistance Act, act on Support for Disabled Children's Welfare and Social Welfare Services Act, the information related to child-care was specified. Third, as for current status of child-care, general status, status of child-care centers and children, and types of child-care centers were examined respectively.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육사업의 성과와 과제를 조망하기 위한 보육백서 발간 작업의 일부로서 우리나라 보육의 역사와 보육관련 법들의 주요 특징을 알아보고, 보육현황을 소개함으로써 향후 발전적인 보육정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적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목적을 둔다. 먼저 보육역사 부분에서는 1기 아동복리법 시기, 2기 유아교육진흥법 시기, 3기 영유아보육법 초기, 4기 영유아보육법 전면 개정 이후 등으로 구분하여 전반적인 보육사업의 흐름을 고찰하였다. 둘째, 보육 관련 법 부분에서는 기본법인 영유아보육법과 보육관련법인 유아교육법과 아동복지법 그리고 기타 관련법으로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남녀고용과 일 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장애아동복지지원법, 사회복지사업법에서의 영유아보육 관련 내용을 열거하였다. 셋째, 보육현황 부분에서는 일반 현황, 어린이집 운영 및 보육아동 현황, 어린이집 유형 별 현황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2004). 육아지원정책방안 : 제46회 국정과제회의 보고.
  2. 기획재정부(2013).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직장어린이집 활성화 방안.
  3. 김남식(2009). 우리나라 보육정책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공보육 논의를 중심으로. 21세기사회복지연구, 6(1). 1-15.
  4. 김종해, 백선희, 이미정, 이원영, 임재택(2005). 한국 유아교육, 보육 관련법과 제도의 역사와 미래. 한국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
  5. 보건복지부(2009). 아이사랑플랜.
  6. 보건복지부(2012). 보육통계.
  7. 보건복지부(2012). 2012 보육사업안내.
  8. 백은영(2012). 우리나라 보육정책 변천과정에서 살펴본 보육공공성. 21세기사회복지연구, 9(1) 195-215.
  9. 서문희,, 김혜진(2012). 2012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10. 서문희, 안재진, 유희정, 이세일(2008). 보육정책 개편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11. 서문희, 양미선, 김은설, 최윤경, 유해미, 손창균, 이혜민(2012). 2012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보고.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12. 서문희, 최윤경, 김문정(2011). 2011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13. 양미선, 임지희(2012). 국공립어린이집 설치.운영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14. 여성가족부(2007). 2007 보육사업안내.
  15. 양옥승(2010). 유아교육법의 실효성에 대한 평가 연구. 유아교육연구. 30(6), 315-329.
  16. 오화영(2007). 영유아 보육제도 도입과정에 관한 담론분석 : 젠더정치(Gender politics)의 관점에서.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이성우(2006).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정책 변천에 관한 연구: 보육교사 보육시설 보육종사자에 관한 정책을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순형, 이혜승, 이성옥, 황혜신, 이완정, 이소은, 권혜진, 이영미, 정윤주, 한유진, 성미영(2005). 보육학개론. 서울 : 학지사.
  19. 이일주(2008). 유아교육법과 영유아보육법의 통합 방안. 한국유아교육학회 2008년 정기 학술대회자료집, 317-332.
  20. 정혜선(2003). 환경변화에 따른 보육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한국교육개발원(2013). 보육.육아교육 지원에 관한 9가지 사실과 그 정책적 함의.
  22. 한국사회복지법인어린이집 연합회(2012). 사회복지법인어린이집 공보육 강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23. 현외성(2006). 한국사회복지법제론. 서울 : 양서원.
  24. 메디컬 투데이(2012. 09. 11).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01228
  25. 시사인(2013. 04. 26).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168

Cited by

  1. The marketization of childcare and elderly care, and its results in South Korea pp.1461-7234, 2019, https://doi.org/10.1177/0020872818796123
  2. A historical review of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law and the law system- vol.9, pp.2, 2013, https://doi.org/10.16978/ecec.2014.9.2.006
  3.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Infant and Child Care Law and its source vol.34, pp.6, 2013, https://doi.org/10.18023/kjece.2014.34.6.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