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인숙(2007).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강정순(2007). 어머니의 행동유형 및 양육태도와 유아의 인성지능. 육아지원연구, 2(2). 153-168
- 고율희(2001). 자녀의 성, 어머니의 취업여부 및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양육신념과 양육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경혜(1993). 자녀의 지적 특성, 양육, 교육에 대한 부모의 신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경희, 정금자(2008). 아동의 음악적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아동과 권리, 12(1). 77-102.
- 김수연(2009). 4-5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양육행동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8(2).313-324.
- 김숙경(2001). 유아의 다중지능 평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정원(2002). 지각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7(3).247-261.
- 김지현(2000). 유아의 정서지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창복(2004).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다중지능영역과의 관계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향자(2000). 유아의 다중지능과 가정환경변인과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혜은(2009). 다중지능 이론의 비판적 성찰. 인간발달연구, 16(4). 1-19.
- 김희진(1995). 자녀양육에 대한 한국과 미국 어머니들의 신념 비교 연구. 유아교육연구, 15(2).5-22.
- 성영혜(1996). 현대사회와 부모.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 송순, 송희옥(2003). 양육행동에 대한 어머니 신념과 아동의 자기능력 지각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2(4). 417-432
- 안영진, 고연경(2007). 다중지능에 기초한 프로젝트 스펙트럼에 따른 유아의 강점 구체화와 부모인식 변화 과정 고찰, 유아교육, 보육행정연구, 11(4). 135-154.
- 오선영, 채영문(2006). 어머니의 양육태도, 양육신념과 유아의 공격성. 한국아동미술학회지, 5.115-137
- 유구종, 조희정(2007). 유아교육에서의 다중지능 접근 활동과 평가를 통한 통학교육 방안. 홀리스틱교육연구, 11(1). 51-72.
- 윤종희(2007). 한국인의 이상적 아동관에 나타난 양육신념체계와 양육행동 탐색을 위한 생태학적 연구. 인간발달연구, 14(1). 65-83.
- 윤현숙(2007).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다중지능 그리고 또래놀이상호작용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1(4). 389-405.
- 이원영(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이주화(2010).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유아 다중지능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태종(2004). 학습양식에 입각한 교수-학습 방법. 창의력개발연구, 7. 89-105.
- 이현숙, 유연옥(2010).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유아의 자기통제력의 관계. 미래유아교육연구, 17(4). 239-260.
- 이혜란(2001). 유아의 창의성과 양육환경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영숙(2002). 유아의 다중지능과 어머니의 다중지능과의 관계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7(2).259-278.
- 장영숙, 강경석, 송경희(2003). 유아의 다중지능과 양육태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247-269.
- 전경숙(1992). 부모-아동간 신념의 일치도와 아동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능력지각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전선재(2003).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 발달 및 창의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정대현(2003). 유아용 다중지능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조귀남(2004). 유아의 가정환경과 다중지능의 상관관계 연구. 동아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덕제(2001). 아동이 인지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영역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혜진(2002).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유아의 다중지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최경미, 김혜순(2010). 유아의 사회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9(4). 261-275.
- 최민자(2004). 유아의 다중지능과 양육환경과의 관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최영희(2003).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과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팜 프윽 마잉(2008).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다중지능의 관계: 베트남과 한국의 비교.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하대현(1998). H, 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의 교육적 적용. 교육심리연구, 12(1). 73-100.
- 한유미, 권희경(2006).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자녀의 성취 및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 아동권리연구, 10(4). 751-769
- 허자(2004).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유아의 다중지능과의 관계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홍계욱(1994).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모자애착행동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황윤한, 조영임(2005). 학습양식으로서의 다중지능이론. 다중지능교육연구, 2(1). 31-54.
- Amoto, P. R., & Fowler, F. (2002). Parenting practices, child adjustment and family diversi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4, 703-716.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2.00703.x
- Becker, W. C. (1964).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rver. NY: Russell Sage.
- Bell, B. S. (1979). Parent, child and reciprocal influences. American Psychologist, 34, 821-826. https://doi.org/10.1037/0003-066X.34.10.821
-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https://doi.org/10.2307/1129836
- Crase, S., Clark, S., & Pease, D. (1978).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manual.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 Feldman, D. H. (1980). Beyond universals in cognitive development. Norwood, NJ: Ablex.
- Fishbein, M., & Ajzen, I. B. (1975). I belief, attitude. intens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ssachusetts: Addison Wesley.
- Gardner, H. (1993). Multiple intelligence: The theory in practice. 김명희 역(1998). 다중지능의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 Gardner, H. (1983). Flame of mine: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마음의 틀. 이경희 역(1993). 서울: 문음사.
- Goodnow, J. J. (1988). Parent's ideas, actions, and feelings: Modeland methods from developmental and social psychology. Child Development, 59, 286-320. https://doi.org/10.2307/1130312
- Hargreaves, A. (2003). 지식사회와 학교교육. 곽덕주, 양성관, 이지현, 이현숙, 장경윤, 조덕주, 황종배 공역(2011). 서울: 학지사.
- Luster, T., Rhoades, K., & Hass, B. (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values and parenting behavior: A test of the Kohn hypothesi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 139-147. https://doi.org/10.2307/352375
- Miller, S. A. (1988). Parents' 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9(2). 259- 285. https://doi.org/10.2307/1130311
- Parke, R. D. (1978). Children's home environment: Social and cognitive effects. In I. Aitman, & F. J. Wohlwill(Eds.), Children and the environment (pp. 69-94), New York: Plenum Press .
- Sameroff. A. J., & Feil, L. A. (1985). Parental concepts of development. In I. E Sigel(Ed), Parental Belief Systems: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Children(pp.83-105). NJ: Earbaum.
- Sigel, I.E. (1985). A conceptual analysis of beliefs. In I. E. Sigel(Ed.), Parental Belief Systems(pp. 345-371). Hillsdale, NJ : Earbaum.
- Schaefer, E. S. (1959). A circump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Social and Psychology, 59, 226-235. https://doi.org/10.1037/h0041114
Cited by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전통육아에 대한 이미지 분석: Q방법론적 접근 vol.10, pp.5,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5.273
- The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Happiness Perceived by Adolescent vol.18, pp.4, 2013, https://doi.org/10.15703/kjc.18.4.201708.149
- 유아의 다중지능이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vol.17, pp.4, 2013, https://doi.org/10.21213/kjcec.2017.17.4.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