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 of the Parental Beliefs, Parental Attitude and Parental Behavior of Parents on the Multiple Intelligences of Preschoolers

부모의 양육신념,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 하순련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 서현아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3.06.15
  • Accepted : 2013.10.17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parental beliefs, parental attitudes and parental behaviors of parents with preschool children and th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in an attempt to help preschoolers to gain multiple-intelligence experiences in an integrated manner in consideration of their interests, needs, strengths and weaknesse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elected parents who had preschool children,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look for connections among the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chool girls were ahead of the preschool boys in linguistic intelligence, musical intelligence and spatial intelligence, and the latter surpassed the former in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Second,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among the preschoolers in multiple intelligences according to age was analyzed, and those who were at the Western age of five were ahead of the four-year-olds in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and naturalist intelligence. Third, the parental attitude of the parents was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for the multiple intelligences of the preschoolers, followed by parental behavior. Parental beliefs just had a very small impact on their multiple intelligences.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y that parents should be helped to improve their parental attitude and parental behavior to boost the multiple intelligences of their preschool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부모의 양육신념과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의 각 변인들의 중요성에 관한 충분한 이해와 또한 이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유아의 흥미와 관심, 강점과 약점 등 유아의 구체적인 욕구를 중심으로 유아의 다중지능 경험을 보다 통합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성별구분에 따라 언어지능, 음악지능,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지능, 음악지능, 공간지능은 여아가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나 논리수학지능은 남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연령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연령구분에 따라 전체 다중지능가운데 논리수학지능, 신체운동지능, 자연지능에서 만 5세 유아가 만 4세 유아와 비교하여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셋째, 유아부모의 양육신념, 양육태도, 양육행동이 유아 다중지능의 각 하위변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유아 다중지능의 가장 큰 변인은 유아부모의 양육태도였으며, 그 다음이 유아부모의 양육행동이었으며, 양육신념은 극히 영향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다중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숙(2007).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강정순(2007). 어머니의 행동유형 및 양육태도와 유아의 인성지능. 육아지원연구, 2(2). 153-168
  3. 고율희(2001). 자녀의 성, 어머니의 취업여부 및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양육신념과 양육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경혜(1993). 자녀의 지적 특성, 양육, 교육에 대한 부모의 신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경희, 정금자(2008). 아동의 음악적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아동과 권리, 12(1). 77-102.
  6. 김수연(2009). 4-5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양육행동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8(2).313-324.
  7. 김숙경(2001). 유아의 다중지능 평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정원(2002). 지각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7(3).247-261.
  9. 김지현(2000). 유아의 정서지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창복(2004).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다중지능영역과의 관계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향자(2000). 유아의 다중지능과 가정환경변인과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혜은(2009). 다중지능 이론의 비판적 성찰. 인간발달연구, 16(4). 1-19.
  13. 김희진(1995). 자녀양육에 대한 한국과 미국 어머니들의 신념 비교 연구. 유아교육연구, 15(2).5-22.
  14. 성영혜(1996). 현대사회와 부모.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15. 송순, 송희옥(2003). 양육행동에 대한 어머니 신념과 아동의 자기능력 지각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2(4). 417-432
  16. 안영진, 고연경(2007). 다중지능에 기초한 프로젝트 스펙트럼에 따른 유아의 강점 구체화와 부모인식 변화 과정 고찰, 유아교육, 보육행정연구, 11(4). 135-154.
  17. 오선영, 채영문(2006). 어머니의 양육태도, 양육신념과 유아의 공격성. 한국아동미술학회지, 5.115-137
  18. 유구종, 조희정(2007). 유아교육에서의 다중지능 접근 활동과 평가를 통한 통학교육 방안. 홀리스틱교육연구, 11(1). 51-72.
  19. 윤종희(2007). 한국인의 이상적 아동관에 나타난 양육신념체계와 양육행동 탐색을 위한 생태학적 연구. 인간발달연구, 14(1). 65-83.
  20. 윤현숙(2007).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다중지능 그리고 또래놀이상호작용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1(4). 389-405.
  21. 이원영(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이주화(2010).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유아 다중지능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태종(2004). 학습양식에 입각한 교수-학습 방법. 창의력개발연구, 7. 89-105.
  24. 이현숙, 유연옥(2010).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유아의 자기통제력의 관계. 미래유아교육연구, 17(4). 239-260.
  25. 이혜란(2001). 유아의 창의성과 양육환경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장영숙(2002). 유아의 다중지능과 어머니의 다중지능과의 관계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7(2).259-278.
  27. 장영숙, 강경석, 송경희(2003). 유아의 다중지능과 양육태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247-269.
  28. 전경숙(1992). 부모-아동간 신념의 일치도와 아동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능력지각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전선재(2003).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 발달 및 창의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정대현(2003). 유아용 다중지능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조귀남(2004). 유아의 가정환경과 다중지능의 상관관계 연구. 동아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조덕제(2001). 아동이 인지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영역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조혜진(2002).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유아의 다중지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최경미, 김혜순(2010). 유아의 사회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9(4). 261-275.
  35. 최민자(2004). 유아의 다중지능과 양육환경과의 관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최영희(2003).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과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팜 프윽 마잉(2008).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다중지능의 관계: 베트남과 한국의 비교.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8. 하대현(1998). H, 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의 교육적 적용. 교육심리연구, 12(1). 73-100.
  39. 한유미, 권희경(2006).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자녀의 성취 및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 아동권리연구, 10(4). 751-769
  40. 허자(2004).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유아의 다중지능과의 관계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홍계욱(1994).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모자애착행동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2. 황윤한, 조영임(2005). 학습양식으로서의 다중지능이론. 다중지능교육연구, 2(1). 31-54.
  43. Amoto, P. R., & Fowler, F. (2002). Parenting practices, child adjustment and family diversi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4, 703-716.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2.00703.x
  44. Becker, W. C. (1964).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rver. NY: Russell Sage.
  45. Bell, B. S. (1979). Parent, child and reciprocal influences. American Psychologist, 34, 821-826. https://doi.org/10.1037/0003-066X.34.10.821
  46.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https://doi.org/10.2307/1129836
  47. Crase, S., Clark, S., & Pease, D. (1978).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manual.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48. Feldman, D. H. (1980). Beyond universals in cognitive development. Norwood, NJ: Ablex.
  49. Fishbein, M., & Ajzen, I. B. (1975). I belief, attitude. intens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ssachusetts: Addison Wesley.
  50. Gardner, H. (1993). Multiple intelligence: The theory in practice. 김명희 역(1998). 다중지능의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51. Gardner, H. (1983). Flame of mine: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마음의 틀. 이경희 역(1993). 서울: 문음사.
  52. Goodnow, J. J. (1988). Parent's ideas, actions, and feelings: Modeland methods from developmental and social psychology. Child Development, 59, 286-320. https://doi.org/10.2307/1130312
  53. Hargreaves, A. (2003). 지식사회와 학교교육. 곽덕주, 양성관, 이지현, 이현숙, 장경윤, 조덕주, 황종배 공역(2011). 서울: 학지사.
  54. Luster, T., Rhoades, K., & Hass, B. (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values and parenting behavior: A test of the Kohn hypothesi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 139-147. https://doi.org/10.2307/352375
  55. Miller, S. A. (1988). Parents' 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9(2). 259- 285. https://doi.org/10.2307/1130311
  56. Parke, R. D. (1978). Children's home environment: Social and cognitive effects. In I. Aitman, & F. J. Wohlwill(Eds.), Children and the environment (pp. 69-94), New York: Plenum Press .
  57. Sameroff. A. J., & Feil, L. A. (1985). Parental concepts of development. In I. E Sigel(Ed), Parental Belief Systems: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Children(pp.83-105). NJ: Earbaum.
  58. Sigel, I.E. (1985). A conceptual analysis of beliefs. In I. E. Sigel(Ed.), Parental Belief Systems(pp. 345-371). Hillsdale, NJ : Earbaum.
  59. Schaefer, E. S. (1959). A circump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Social and Psychology, 59, 226-235. https://doi.org/10.1037/h0041114

Cited by

  1.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전통육아에 대한 이미지 분석: Q방법론적 접근 vol.10, pp.5,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5.273
  2. The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Happiness Perceived by Adolescent vol.18, pp.4, 2013, https://doi.org/10.15703/kjc.18.4.201708.149
  3. 유아의 다중지능이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vol.17, pp.4, 2013, https://doi.org/10.21213/kjcec.2017.17.4.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