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ositional Viewpoint Of Camera Appears In Animation Picture Screen (Revolves Around Nonverbal Communication)

애니메이션 영상화면에 나타난 카메라의 구도적 관점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 장동렬 (한서대학교 디지털영상연구센터/영상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13.11.01
  • Accepted : 2013.11.27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a compositional viewpoint of camera appears in animation feature films through nonverbal communication approach; analyzing the approach would reveal more effective interaction between receivers' and actants' communication. The content of study includes semiological analysis of one of Hayao Miyazaki's master pieces, Howl's Moving Castle, in terms of descriptive structure and interpretation of screen. The semiological analysis methods in this study composes with sequence analysis, actant analysis, disjunction and conjunction analysis, and "shot" in media semiology analysis. Through these analyses, a conclusion has been drawn that a characteristic of interactive symbol connects audience and feature films. This study applies nonverbal communication in compositional viewpoint of camera to bring more effective approach for communication among actants, animation feature films, and receivers.

본 논문은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의 접근방법을 통해 애니메이션작품을 카메라의 구도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수용자와 행위자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모색하기 위한 접근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내용으로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대표작 중에 하나인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서사구조와 영상화면 해석의 측면에서 기호학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기호학적 분석방법으로는 시퀸스 분석, 행위주 분석, 이접 연접분석 그리고 미디어 기호학의 '숏'을 이용한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상호작용하는 부호적 특성이 관객과 작품을 연결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카메라의 구도적 관점에서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의 적용방법을 사용하여 애니메이션 영상화면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행위자, 작품, 수용자간의 소통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윤희,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2. 백선기,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3. 박연웅, 스토리보드의 이해,동양문고, 2006.
  4. 김성도, 구조에서 감성으로, 고려대학교출판부, 2003.
  5. 존 피스크. 강태완, 김남선 옮김. 커뮤니케이션학이란 무엇인가,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6. 백선기,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7. 유르겐 트라반트. 안정오 옮김, 기호학의 전통과 경향, 인간사랑, 2001.
  8. 김윤배,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기호학적 생성구조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9. 서창원, "감성정보로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이 갖는 의의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10. Fiske, J, Teleision Culture, London: Methuen, 1987.
  11. Fiske, J, 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Boston: Uniwin Hyman, 1989.
  12. Fiske, J, Reading the popular, Boston: Uniwin Hyman, 1989
  13. Fiske & John Hartely, Reading Television, London New York: Rountledes, 1988.
  14. Jensen, K. & Jankowski, N, A Handbook of Qualitative Methodologis for mass Communication Research, London and York: Rountledes, 1991.
  15. Selby, K & Ron Cowdery, How to study Television, London: Macmilan,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