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Program Model for Enhancing Creativity through SRD Program

SRD Program을 통한 창의성 신장 프로그램 모형 개발

  • 신승기 (경북금락초등학교) ;
  • 박판우 (대구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배영권 (대구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2.08.01
  • Accepted : 2012.09.10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In these days, most countries effort is to raise competitive people for increasing creativity. Korea also decided human character "Global Creative Person" and prepare for the future. Therefore many universities and laboratories suggest various educational model for increasing creativity. One of the educational model for increasing creativity is Computer Education. That is good at increasing creativity, especially programming education because it is a more effective education. Thu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program for increasing creativity through developing "SRD Program". SRD Program is for increasing creativity and it applies to Scratch Programming, Robot Programming, and Digital Kit. Furthermore, SRD Program is developed and is based on Bruner's Spiral curriculum.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increasing diverse programs for enhancing creativity and there are expectation for raising "Global Creative Person" through SRD Program.

최근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창의성 신장을 위한 경쟁력 있는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개정된 2009 교육과정에서 '글로벌 창의인'을 학교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설정하여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교육을 추구하고 있다. 이에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해 각 대학과 연구기관에서는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창의성을 신장에 효과적인 교육적인 모형중 하나가 컴퓨터교육 분야이다. 특히 프로그래밍 교육은 창의성 교육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RD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창의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SRD 프로그램은 스크래치 프로그래밍-로봇 프로그래밍-디지털 키트를 적용하여 창의성을 신장하고자 하는 교육모형이며, 브루너의 나선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창의성 신장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증가하기를 제안하고 SRD 프로그램을 통하여 '글로벌 창의인'을 길러내는데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9.
  2. 유정수, 이민희, "두리틀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이 창의성, 문제해결력, 프로그래밍 흥미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제13권, 제4호, pp.443-450, 2009.
  3. 전성균, 이영준, "초등학생의 확산적 사고 촉진을 위한 CPS프로그래밍 수업의 효과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15권, 제2호, pp.1-8, 2012.
  4. 송정범, 조성환, 이태욱,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이 학습자의 동기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323-332, 2008.
  5. 유승환, 문외식, "수월성 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로봇프로그래밍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59-66, 2007.
  6. 박정호, 김철, "초등학교에서 디키활용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사례", 한국정보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자료, pp.171-174, 2010.
  7. 김성훈,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스크래치 교재 개발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8. 진성수, MCU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문제 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9. 박경재, EPL과 로봇 프로그램 교육의 창의성 신장 효과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10. 이혜승, 창의적 학습양식 및 창의성 계발의 효능에 대한 영재학생들의 인식조사(초등학교 영재교육기관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11. 김종훈, 김종진, 김성빈, "정보통신 기술교육 수업을 위한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6호, pp.88-99, 2006.
  12. 정동명, 창의적 발상기법 기반의 창의공학설계, 생능출판사, 2008.
  13. 김영채,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교육과학사, 2004.
  14. 김춘일, 창의성 교육, 그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99.
  15. 신문승, 강충열, "초등학교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초등교육연구, 제22권, 제3호, pp.113-135, 2009.
  16. 전우천, 정보영재교육 개론, 돋을새김, 2010.
  17. 김성경,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창의적 사고 기법의 적용,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18. 김호진, 창의적 사고 기법이 사회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9. 이완석, 창의적 사고기법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0. J. S. Bruner(이홍우 역), 브루너 교육의 과정, 배영사, 1973.
  21. 이홍우, 지식의 구조와 교과, 배영사, 2000.
  22. Bruner Jerome S, Toward a theory of Instruction, W. W. Norton, 1966.
  23. 서미숙, 나선형 교육과정의 표현방식을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이 중학생의 작곡활동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24. 김재희, 나선형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
  25. 이미현, 구덕회, "초등학생을 위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 방법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동계 학술발표 논문집, 제15권, 제1호, pp.249-252, 2009.
  26. 김종진, 현동림, 김승완, 김종훈, 원유헌,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로고와 스크래치 교재 개발 및 비교 실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 7호, pp.459-469,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7.459
  27. 이은경, 이영준, "로봇 활용 프로그래밍 학습이 창의적 문제해결성향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 제33권, 제2호, pp.102-136, 2008.
  28. http://www.diki-3000.org.
  29. M. Resnick, J. Maloney, A. Monroy-Hernandez, N. Rusk, E. Eastmond, K. Brennan, A. Millner, E. Rosenbaum, J. Silver, B. Siverman, and Yasmin Kafai, "Scratch: Programming for All," Communication Of The ACM, Vol.52, No.11, pp.60-67, 2009. https://doi.org/10.1145/1592761.1592779
  30. http://scratch.mit.edu.
  31. Ralph W. Tyler, Basic Principles of Curriculem and Instru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9.
  32. 이종승, Tyler 교육과정과 수업의 원리, 교육과학사, 1991.
  33. B. S. Bloom(임의도외 역), 교육목표 분류학, 교육과학사,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