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isk Factor Classification and Weight Estimation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

도시재생사업의 리스크요인 분류 및 중요도 산정

  • 조재경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현창택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 윤유상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 김윤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차용운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12.02.21
  • Accepted : 2012.05.02
  • Published : 2012.07.31

Abstrac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ingeing the shape of mixed-use development, due to the nature of the business, involve risk factors such as protracted business conflict among participations, subjects, complex approval and permission procedure, frequent policy changes, etc. Therefore, systematic risk management is needed to effectively manage the numerous risk factors that may occur during the process course of project. However, risk management of large and complex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s in the introduction stage yet and somewhat one time risk management plan has been established.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systematic risk manage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hered numerous risk factors, risk factor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preceding studies and case studies were presented. Also risk factors a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business propulsion phase, by estimating the importance for these, step by step emphasis on managed subjects of risk management was proposed.

대규모 복합개발 형태로 추진되는 도시재생사업은 사업의 특성상 사업이 장기화, 참여주체들 간의 갈등요소, 복잡한 인 허가 과정, 잦은 정책변화 등의 리스크요인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사업 진행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수많은 리스크요인들을 사전에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적인 리스크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도시재생사업과 같은 대규모 복합개발사업의 리스크관리는 아직 도입단계로 주로 일회적인 리스크관리계획이 수립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많은 리스크요인들이 내재된 도시재생사업의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 도시재생사업의 리스크요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도시재생사업의 추진단계에 따라 리스크요인을 분류하고 그에 대한 중요도를 산정하여, 단계별 중점 리스크요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나인수.이상경.심교언.안건혁 (2008). "도시재생사업 입체.복합 공간개발 위험분류체계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도시설계학회, pp.399-408
  2. 박규영.양문석.김선규(2009). "도시재생사업 건설단계의 참여주체별 위험인지 체크리스트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0(4), pp.67-76
  3.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2007). 문화공간조성을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4. 유원희 (2011). FIDIC Silver Book을 활용한 해외건설공사 계약 단계 리스크 평가모델,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이강욱∙홍화욱∙박희대∙한승헌 (2011). "입체복합공간 개발사업의 프로그램 성과관리 체계 구축",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2(1), pp.141-152
  6. Al-Bahar, J. F., Crandall, K. C. (1990). "Systematic Risk Management Approach for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ment, ASCE, 116(3), pp.553-566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90)116:4(553)
  7. Arnold M., Ruskin. W., Eugene Este (1995). Project Mangement-What ever engineer should know about, 2nd Edition, Revised and Expanded Marcel Dekker, Inc.
  8. Fellow, R. F. (1989). The Management of Risk,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 No.111, The Chartered Institute of Building
  9. Flanage, R., Stevens S. (1990). Risk Analysis Quantity Surveying Technique : New Directions, BSP Professional Books
  10. He Zhi (1995). "Risk management for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13(4), pp.231-237 https://doi.org/10.1016/0263-7863(95)00015-I
  11. Nigel. J. S. (1998). Managing Risk in Construction Project, Blackwell Science.
  12. Project Management Institute(PMI) (2000).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PMBOK), PMI, Newtown Square, PA.
  13. Roberts, P., Sykes, H., (2000). Urban Regeneration : A Handbook, SAGE Publication
  14. Wideman, R. (1996). Project and Program Risk Management: A Guide to Managing Project Risks and Opportunities, PMBOK Handbooks, PMI, Newtown Square, PA.

Cited by

  1. Assessment of Risk Management Practices of CM Enterprise: The Need for an Enterprise-level Risk Management Framework vol.15, pp.3,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3.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