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tate and Preserving Conditions of Sarira Reliquary in Mireuksaji Stone Pagoda in Iksan, Korea

익산 미륵사지 석탑 사리구의 현황과 매장환경 분석

  • 이동식 (국립문화재연구소 미륵사지석탑보수정비사업단) ;
  • 최윤숙 (익산시 유적전시관)
  • Received : 2012.02.13
  • Accepted : 2012.03.05
  • Published : 2012.03.20

Abstract

Iksan Mireuksaji Stone pagoda was built A.D. 639 when King Moo was governing Baekje, in which Sarira has been enshrined in a hole dug in the stereobate for 1,370 years. In South Korea, about 150 cases of Sarira have been found so far. In this connecti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how to manage it and on its genesis, but there have been no data on environments to which it has been exposed. In this study, accordingly, researches were made into environments to which Sarira has been exposed as well as into how much it has been damaged under the environments. Sarira in wooden pagodas was influenced greatly by water, but that in stone pagodas by saturated relative humidity. Thus, Sarira in the container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outside temperature for 1 to 2 days, but had no any reaction to humidity. The time it took for the humidity in a Sarira container to reach its maximum, varied depending upon the humidity of the day when Sarira was enshrined. In the case of this pagoda, the humidity reached its maximum 30 days later.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백제 무왕대인 639년에 축조되었고 탑 안에 봉안된 사리유물은 1,370년 동안 석탑 심주석 사리공의 매장환경 속에 존재하였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사리유물은 150여 건에 이른다. 그러나 사리유물의 수습 및 유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지만 사리유물이 어떠한 환경에 노출되었는지에 대한 데이터 분석은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리유물의 노출환경에 대한 훼손도를 평가함과 동시에 매장환경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사리구의 매장환경을 분석한 결과 목탑의 경우는 물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석탑은 포화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리구 내부의 환경은 1~2일 정도 완충된 외부의 온도에 비교적 민감한 영향을 받지만, 습도와는 무관한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사리구 내부의 포화습도에 도달되는 기간은 사리를 봉안하는 날의 외부습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탑은 30일이 소요되는 시점에 100% 포화습도에 이르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미륵사지석탑사리장엄 ". 국립문화재연구소, p12-13, (2009).
  2. 고유섭, "한국탑파의 연구 ". 동화출판공사, (1975).
  3. 장경호, "백제 사찰건축에 관한 연구 ".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4. 천득염, "백제계 석탑의 조형특성과 변천에 관한 연구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5. 이동식, "益山 彌勒寺址石塔의 變形과 無機汚染物質에 의한 損傷 메커니즘 解釋 및 制御實驗".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31-69, (2010).
  6. 국립문화재연구소, "미륵사지석탑 해체조사보고서 IV". 국립문화재연구소, p323-330, (2011).
  7. 천득염, "인도시원불탑의 의미론적 해석-불탑건축의 전래와 양식에 관한 비교론적 고찰I". 건축연사연구, 2, p89-90, (1993).
  8. 김희경, "舍利莊嚴具의 意味와 意匠". 한국의 미 23, 중앙일보사, p182, (1981).
  9. "登封嵩岳寺塔地宮淸理簡報". 河南省古代建築保護 硏究所, 文物, p14-25,(1992).
  10. 주경미, "中國 古代 佛舍利莊嚴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5-10, (2002).
  11. 자천정민, "일본고대목탑기단의 구축기술복원과 심초 설치형식의 변천에 관한 연구". 백제연구, 44, p00-00, (2006).
  12. 이동식, "益山 彌勒寺址石塔의 變形과 無機汚染物質에 의한 損傷 메커니즘 解釋 및 制御實驗".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206-243, (2010).
  13. 황진주, 한민수, 강소영,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내 액체 성분분석 ". 국립문화재연구소, p113-114,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