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리

Search Result 46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State and Preserving Conditions of Sarira Reliquary in Mireuksaji Stone Pagoda in Iksan, Korea (익산 미륵사지 석탑 사리구의 현황과 매장환경 분석)

  • Lee, Dong-Sik;Choi, Yoon-Sook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28 no.1
    • /
    • pp.75-86
    • /
    • 2012
  • Iksan Mireuksaji Stone pagoda was built A.D. 639 when King Moo was governing Baekje, in which Sarira has been enshrined in a hole dug in the stereobate for 1,370 years. In South Korea, about 150 cases of Sarira have been found so far. In this connecti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how to manage it and on its genesis, but there have been no data on environments to which it has been exposed. In this study, accordingly, researches were made into environments to which Sarira has been exposed as well as into how much it has been damaged under the environments. Sarira in wooden pagodas was influenced greatly by water, but that in stone pagodas by saturated relative humidity. Thus, Sarira in the container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outside temperature for 1 to 2 days, but had no any reaction to humidity. The time it took for the humidity in a Sarira container to reach its maximum, varied depending upon the humidity of the day when Sarira was enshrined. In the case of this pagoda, the humidity reached its maximum 30 days later.

지혜 깊어지는 건강: 지도 밖에서 만나는 건강 -하동 토지길 봄바람 따라 사뿐사뿐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v.35 no.4
    • /
    • pp.34-39
    • /
    • 2011
  • 지리산이 뻗어 내린 그 길 위를 파르티잔의 이야기들을 들으며 걷다 보면 평사리 있다/ 하동 지난 꽃들이 속삭대는 그 길을 걷다 보면 민족의 소리 강이 살아 숨 쉬는 거기 평사리 있다/ 봄이면 평사리엔 꽃들 피는데 그것도 무더기로 피어내는데 (중략) '평사리 봄밤'이라는 최영욱 시인의 시가 있다. 지리산을 넘어온 아침 안개가 섬진강 강바람의 재주에 슬며시 숨소리를 죽인다. 늦잠에서 막 깨어난 악양 무딤이들판(평사리들)이 '토지'의 서희 아씨처럼 화사한 자태를 드러낸다.

  • PDF

방사선 조사 건고사리의 습열조리 중 연화속도

  • 성태화;김미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49.1-149
    • /
    • 2003
  • 방사선에 의한 식품 저장은 이미 그 건전성과 경제적 타당성이 인정되어 세계 여러나라에서 실용화되고 있다. 고사리(Pteridium aquilinum)는 참고사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양치식물로서 봄철에 어린잎과 줄기를 삶아 물에 담구었다가 건조시켜 저장하였다가 이용하고 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건고사리는 수확, 건조 및 저장 중에 비위생적인 관리 등에 의해 미생물의 증식 및 해충의 발생 등으로 품질이 크게 저하되어 저장상 많은 어려움을 안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방사선 조사된 건고사리는 불림시 연화현상이 나타났으므로, 본 실험에서는 Co-60감마선을 건고사리에 조사하여 습열조리 조건에 따른 연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즉, 건고사리에 조사선량을 0, 3, 5, 7kGy로 달리 하여 조사하였고 조리온도, 조리 시간에 따른 연화정도 및 연화에 따른 활성화 에너지를 분석하였다. 결과 조사선량이 높을 수록 경도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조리온도, 시간 및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활성화에너지는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건고사리의 가열 조리시 에너지가 감소 됨 이 확인되었다.

  • PDF

Physical Habitat Assessment of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in the Han River Basin (한강수계에서 배가사리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의 물리적 서식지 평가)

  • Hur, Jun-Wook;Park, Jin-Woo;Lee, Sang-Uk;Kim, Jeo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977-981
    • /
    • 2010
  • 한강수계에서 배가사리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의 물리적 서식지 평가를 위하여 2008년 10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11개 지점을 선정하여 어류 채집을 실시하였다. 모든 지점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10과 39종 3,886개체였다. 한국고유종은 배가사리 및 참갈겨니 Zacco koreanus 등 22종(61.8%)이 출현하였다. 출현어종 중 개체수 구성비가 가장 높은 종은 피라미 Z. platypus로 25.8%를 차지하였고, 다음은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16.5%, 배가사리 15.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모든 지점에서 채집된 배가사리는 8~10 cm이 가장 많았다. 또한 물리적 서식지는 수심 0.4~0.5 m, 유속 0.2~0.9 m/s, 하상재료 모래(0.1~1.0 mm)~호박돌(100.0~300.0 mm) 및 서식처 유형은 유수역(run)으로 나타났다.

  • PDF

The first record of Bidens radiates var. radiates in Korea (한국 미기록 식물: 삼잎구와가막사리 (Bidens radiata var. radiata))

  • Hong, Suk-Pyo;Kim, Sun-Yu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8 no.4
    • /
    • pp.503-507
    • /
    • 2008
  • During the systematic study of the genus Bidens L. (Asteraceae) in Korea, we found two specimens collected from Bujeon Plateau, Hamgyungnam-do, which are recognized as a new taxon (B. radiata Thill. var. radiata) for the flora of Korea. The Korean name for this taxon is newly designated as 'Sam-ip-gu-wa-ga-mak-sa-ri'. The close relative of this taxon is B. radiata Thill. var. pinnatifida (Turcz. ex DC.) Kitam., but B. radiata var. radiata can be distinguished from B. radiata var. pinnatifida by having mostly 3-parted and lanceolate lobe of leaf. The key for varieties of B. radiata is given.

불가사리와 조개껍질을 이용한 슬러지 탈수보조제 개발

  • 이재광;유대현;이병진;이면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310-31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폐수산자원인 불가사리와 조개껍질 분말을 이용한 탈수보조제(물리개량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불가사리와 조개껍질을 이용한 탈수보조제는 유가자원 소모라는 기존의 탈수보조제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폐자원의 자원화라는 이점이 있으며 탈수케이크의 함수율을 효과적으로 낮추어 주어 소각등의 후속공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뿐만아니라 천연 비료로 사용되어지는 불가사리의 활용이라는 점에서 탈수슬러지 퇴비화등 자원 재이용에의 적용성 또한 증대시킬 수 있다.

  • PDF

방사선 조사 건고사리의 불림조작 조건에 따른 복원력 및 물리적 특성

  • 성태화;김미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48.2-149
    • /
    • 2003
  • 고사리(Pteridium aquilinum)는 참고사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양치식물로서 온대지방과 열대지방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이른봄부터 늦가을까지 산야에 생육되며 북극 남아프리카 지역을 제외한 전세계에 광범위하게 자생하고 있다. 고사리는 봄철에 어린싹을 삶아 물에 담구었다가 먹거나 건조시켜 저장해서 이용하는데 현재 유통되고 있는 건고사리는 수확, 건조 및 저장 중에 비위생적인 관리 등에 의해 미생물의 증식 및 해충의 발생 등으로 품질이 크게 저하되어 저장상 많은 어려움을 안고 있다. 방사선에 의한 식품 저장은 이미 그 건전성과 경제적 타당성이 인정되어 세계 여러나라에서 실용화되고 있으며 특히 건조 채소류의 살균, 살충을 위한 방사선의 이용은 제품의 재수화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량이 비교적 많은 건고사리에 Co-60 감마선을 조사하여 건고사리 조리전 필수 조리조작인 불림조작 조건에 따른 복원력 및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건고사리에 조사선량을 0, 3, 5, 7kGy로 달리 하여 조사하였고 침지온도, 침지 시간에 따른 수분함량, 부피, 수화 복원력, 색상, 조직감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조사선량이 높을수록 부피 증가율, 수화 복원력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조직감 중 경도는 침지온도, 시간 및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건고사리를 불리기 위해 드는 시간이 단축되어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Karyotype Analysis of an Endemic Korean Torrent Catfish Liobagrus hyeongsanensis(Siluriformes: Amblycipitidae) (한국 퉁가리속 고유종 동방자가사리 Liobagrus hyeongsanensis의 핵형 분석)

  • Cho, Yun Jeong;Park, Jong Young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9 no.2
    • /
    • pp.89-93
    • /
    • 2017
  • For the karyotype analysis of Liobagrus hyeongsanensis, an endemic Korean torrent catfish, ten females and five males were used from Yangbuk-myeon, Gyeongju-si, Gyeongsangbukdo, Korea. The diploid number of chromosomes was 42, and its karyotype consisted of 30 metacentrics and 12 submetacentrics; 84 FN (fundamental number), with having no polyploidy and sexual dimorphism. The chromosome number was the same as other closely-related species, L. mediadiposalis and L. somjinensis, but their karyotypes showed a clear difference by species. Such result may be related to chromosomal rearrangements by Robertsonian rearrangement with geographical isolation.

Species-specific Marker Development for Environmental DNA Assay of Endangered Bull-head Torrent Catfish, Liobagrus obesus (멸종위기어류 퉁사리의 환경 DNA 분석을 위한 종 특이 마커 개발)

  • Yun, Bong Han;Kim, Yong Hwi;Sung, Mu Sung;Han, Ho-Seop;Han, Jeong-Ho;Bang, In-Chul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34 no.3
    • /
    • pp.208-217
    • /
    • 2022
  • We wanted to develop a real-time PCR assay capable of detecting Liobagrus obesus in environmental DNA (eDNA) extracted from freshwater samples using a pair of species-specific primers and probe for the endangered fish, L. obesus. The species-specific primers and probe wer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between 65 species of freshwater fish living in the Republic of Korea within the cytochrome b (cytb) gene of mitochondrial DNA. The species-specific primers and probe, in the real-time PCR assay, showed high specificity as only the L. obesus genomic DNA (gDNA) was found to be positive in the specificity verification using 65 species gDNA of freshwater fish in the Republic of Korea. In addition, in the detection limit analysis using the serial dilution concentrations of L. obesus gDNA, it was found that it was possible to detect up to 0.2 pg, showing high sensitivity. Afterwards, using the species-specific primers and probe, real-time PCR assay was performed on freshwater samples obtained from 8 stations in the mid-upper basin of Geum River. As a result, the cytb gene of L. obesus was detected in total 5 stations including all 3 stations where this species was collected at the time of field survey. Therefore, the species-specific primers and probe developed in present study, and the real-time PCR assay using them, can accurately detect the cytb gene of L. obesus from eDNA samples, which can be utilized to monitor the existing habitats of this species and to discover potential new habitats.

Study on Seed Germination of Bldens tripartita L. and Bidens frondosa L. (가막사리(Bidens tripartita L.)와 미국가막사리(Bidens frondosa L.)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몇가지 요인)

  • Shin, Hye-Jung;Shin, Jong-Sup;Kim, Ji-Hoon;Kim, Hak-Yoon;Lee, In-Jung;Shin, Dong-Hyun;Kim, Kil-Ung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17
    • /
    • pp.53-57
    • /
    • 1999
  •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such as light and darkness, phytohormone and seed coat, influencing on seed germination of Bidens tripartita L. and B. frondosa. The seeds of both species were germinated when seed coat was damaged and weakened. $GA_3$ and BA stimulated germination of both species but ABA and IAA had no effect on germination of them, which ranged 50.0% to 80.0%. In B. forndosa, when inner layer of seed coat was removed, germination was highly promoted up to 96.7% compared with 10.0% germination rate in another treat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