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Types of Future Keywords and IT Needs by Industry

미래 IT니즈 유형 도출과 산업별 IT니즈 분석

  • Received : 2012.03.09
  • Accepted : 2012.05.18
  • Published : 2012.06.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IT needs internalized in our daily lives through expert FGI,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m by verifying and classifying them through a survey, and also analyze the chief fields of industry for future society by the types of IT needs. Through this analysis, the paper suggests the directivity of future IT technology, and it can be utilized as foundational data to develop IT convergence technology.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result of drawing the keywords through the concrete future IT needs by the detailed activities through the FGI, this study found intellectualization, integration, virtualization, automation, customization, and safety, etc. According to the result of classifying the IT needs through the survey based on that and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this study classified them into emphasis on life automation, emphasis on intellectual authenticity, emphasis on information search and convenience, and emphasis on convergence. And each type showed different general characteristics from one another. And in future society, the area of energy was valued the most, and the importance of industry showed somewhat difference by the types of IT needs.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FGI를 통해 일상생활 속 잠재된 IT Needs를 파악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이를 검증하고 유형화하여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T니즈 유형별 미래사회 중요산업 분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IT니즈 도출 및 산업별 분석 결과를 통해 미래 IT기술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IT융합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먼저, FGI를 통해 세부활동별 구체적인 미래IT니즈를 통해 키워드를 도출한 결과, 지능화, 통합화, 가상화, 자동화, 개인맞춤화, 안전성 등이 도출되었다. 이를 근거로 설문조사를 통해 IT니즈를 유형화하고 특성을 파악한 결과, 생활자동화 중시, 지능형 실감 중시, 정보탐색 및 편의 중시, 컨버전스 중시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유형별로 일반적 특성이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미래사회에서는 에너지 분야를 가장 중요시하고 있으며, IT니즈 유형별로 산업별 중요도가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과학기술예측을 위한 미래사회의 이슈 및 니즈 도출, 정인아이앤디, 2003.
  2.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통합적 미래연구 방법론의 탐색 및 적용,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3. 부산발전연구원 미래경제연구센터(BDI), 미래트렌드와 미래연구방법, 굳디자인연구소, 2007.
  4. 정보통신부(MIC), 정보통신연구진흥원(IITA), IT 기술예측 2020, 참기획, 2006.
  5. 정보통신부(MIC), 정보통신연구진흥원(IITA), IT 기술예측, 필컴애드, 2009.
  6.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미래시나리오 방법론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7.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미래예측방법론,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7.
  8. 지식경제부(MK), 정보통신연구진흥원(IITA), IT 기술예측, 정보통신연구진흥원, 2008.
  9.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과학기술부(MOST), 과학기술예측조사(2005-2030): 미래사회전망과 한국의 과학기술, 미래미디어, 2005.
  1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국가미래지수(SOFI) 작성을 위한 실무매뉴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기술예측센터, 2008.
  1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미래전망과 유망기술발굴 기능고도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9.
  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국가IT 2030 전략 수립을 위한 KOREA 2030 비전과 발전전략,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9.
  13. 한국정보화진흥원(NIA), "2025년 글로벌 미래예측과 전략," 국가미래전략 Brief, 제5호, pp.1-26, 한국정보사회진흥원 미래TF, 2008.
  14. 한국정보화진흥원(NIA), 국가 미래예측 메타분석, 호정씨앤피, 2008.
  15. NIC, Global Trends 2025: A Transformed World, 2008.
  16. E. Lipsey Robert and M. Y. Weiss, Business and Economic Statistic Section, Proceedings Statistical Association, 1971.
  17. J. Reagan, "The Difficult World of Predicting Telecommunication Innovation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ociety, Vol.3, No.2, pp.65-87, 2002.

Cited by

  1. International Benchmarking of Land-to-mobile Interconnection Charges vol.13, pp.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8.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