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민주 (2004). 근로조건 불이익변경의 한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고희준 (2005). 외국인 노동자의 근로조건과 직무만족도가 기업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곽동혁 (2002). 우리나라 정규직 비정규직 근로자간의 격차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곽재호 (2006). 건설업내 외국인 노동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구은경 (2006). 외국인 노동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국가인권위원회 (2011. 10). 이주 인권가이드라인 구축을 위한 실태조사.
- 김선화 (2005). 외국인노동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신정, 이순희, 김숙영, 김애리, 박현태, 이영주 (2008). 이주노동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성인간호학회지, 제20(5), 791-803.
- 김옥수, 백성희 (2003). 노인의 외로움과 사회적지지, 가족기능간의 관계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3(3), 425-432.
- 김왕배 (1995). 한국근로자들의 삶의 질.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창간호.
- 김은주 (1983). 입원환자의 영적 상호작용과 건강상태의 회복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인규 (2003).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근로조건 격차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주환, 김인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현덕 (2003). 외국인노동자 복지실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남숙경, 이상민 (2012).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단축형 척도의 집단간 차이분석: 대상, 성별, 연령, 상담경험 유무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3(1), 341-366.
- 노유자 (1988). 서울지역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Qiality of Life)에 관한 분석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대한민국 출입국 관리국 http://www.immigration. go.kr.
- 람후 뭉크나릉, 진미정 (2010). 한국에 거주하는 몽골 노동자의 분거 부부관계 경험.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2), 21-32.
- 미지도칠 오통도람 (Mijed-Ochir Otgndulam) (2011). 근로조건과 사회적 지지가 몽골 노동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2000).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척도(WHOQOL-BREF)의 개발. 정신의학, 39(3), 571-579.
- 바야르마 (2008). 재한 몽골 노동자의 고용 및 생활실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달순 (2003). 외국인 근로자와 한국 근로자의 근로조건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반월 시화 공단의 근로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박병선 (2007). 알코올중독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형기 (2004). 외국인노동자의 근로 및 사회적 조건과 심리적 적응.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배병렬 (2007). 구조방정식 모델링, 서울: 청람.
- 배병렬 (2011).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서울: 도서출판 청람.
- 백은령 (2003).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설동훈 (1996). 한국사회의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외국인노동자의 유입과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 설동훈 (2001). 한국의 외국인노동자 인권 실태와 대책. 인권과 평화, 2(1), 53-87.
- 설동훈 (2005). 외국인 노동자 보건의료실태 조사 연구. 서울: 국제보건의료발전재단.
- 신도철 (1981). 한국인의 삶의 질 대연구: 주관적 지표에 의한 분석. 서울: 정경문화.
- 신선인 (2008). 정신장애인의 배우자 태도와 재발의 인과적 관계에 관한 탐색. 한국사회복지학, 60(3), 59-82.
- 신성자 (2012). 몽골 이주노동자들의 결혼불안정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학문연구회, 17(3), 211-244.
- 신성자, 이원준 (2012). 재한 몽골 노동자의 직업환경이 건강문제에 미치는 영향과 의료혜택만족도의 매해효과. 한국사회보장학회, 28(3), 179-212.
- 안주엽 (2000). 비정규근로의 실태와 정책과제(1). 한국노동연구원 연구보고서.
- 양옥경 (1994). 삶의 만족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한국사회복지학, 24.
- 우종필 (2012). 구조방정시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아카데미.
- 윤영희 (2011). 외국인 근로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윤정주 (2004). 외국인 근로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경매 (2003). 한국거주 불법신분 조선족들의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명주 (2003). 중년남성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 및 사회적 지지에 따른 삶의 만족도.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이영진 (2007). 국내거주 외국인 보건의료제도 확립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 이인선 (2004).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외국인 노동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재식 (2000). 운전분노에 대한 운전확신과 감각추구 성향의 상호작용 효과: 운전자의 연령대별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3), 389-413.
- 이주연 (2010). 한국사회 이주노동자의 삶의 질과 행복,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심리분과학회 심포지엄,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 자야트 (2002). 동기유발요인이 근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재한 몽골 근로자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장세진 (1992).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사무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정규현, 배규환, 이달곤, 최영명 (2004). 21세기 한국의 사회발전 전략: 성장.복지.환경의 조화. 나남출판.
- 정기선 (1996). 국내 외국인 취업자의 사회심리적 적응.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발표문 요약집.
- 정은희 (2005). 이주노동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조현태 (2008) 외국인 근로자들의 건강실태조사연구.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7(2), 224-227.
- 조흥식, 김진수, 홍경준 (2001). 산업복지론. 서울: 나남출판.
- 차츠랄 (Tsatsral B.) (2003. 8). 재한 몽골 근로자의 고용실태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미영 (2003). 사회적 낙인이 화장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상순 (1990). 일, 지역, 성인의 영적 안녕, 희망 및 건강상태에 관한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최재윤 (2011). 외국인노동자의 무료진료 및 2차 진료실태에 관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11.10. 301-338).
- 통계청. KOSIS Database(http://www.nso.go.kr).
- 하은희, 이승길, 최재욱, 홍윤철 (2002). 한국인 근로자들의 근로실태, 산업재해 및 건강실태, 산업보건, 6, 151-178.
- 한혜진, 오진주, 최정명, 이현주, 윤순녕 (2003). 산업재해 장애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우울 및 삶의 질,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2(2), 300-350.
-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에 있어서 적합도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7.
- 홍세희 (2007). 구조방정식 모형의 이론과 응용. 서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홍세희 (2011). 구조방정식 모형: 증급, S & M 러서치 그룹. 138.
- 홍세희, 황매향, 이은설 (2005). 청소년용 진로장벽 척도의 잠재평균분석. 교육심리연구, 19(4), 1159-1177.
- 황성동 (2005). 알기 쉬운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 Baldree, K. S., Murphy, S. P. & Power, M. T. (1982). Stress identification and coping pattern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Nursing Research, 31(2), 109-111.
- Berry, J. W. (1992).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in a new society, International Migration, 34, 176-188.
- Burchhardt, C. S. (1985). The impact of arthrities on quality of life. Nursing Research, 34(1), 11-16.
- Carni, E. (1988). Issues of hope and faith in the cancer patient. Journal of Religious and Health, 27(4), 285-290.
- Carson, V. B. (1980). Meeting the spiritual needs of hospitalized psychiatric patients. Perspective in Psychiatiric Care, 18(1), 17-20.
-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 Cohen & Hoberman.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as buffer of life stress. Psychological Bulletin, 98, 398-403.
- Cousins, N. (1989). Head first: the biology of hope. New York: E. P. Dutton.
- Dalkey, N. C., & Roureke, D. L. (1973). The Delphi procedure and rating quality of life factors in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The Quality of Life Concept.
- Ferran, C. J. & McCann, J. (1989). Longitudinal analysis of hope in community-based older adults.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3(5), 293-300.
- Gooddwin, R. & Plaza, S. H. (2000). Perceived and received social support in two cultures: collectivism and support among British and Spanish student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7(2), 282-291.
- Grffin, J. & Soskolne, V. (2003).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Thai migrant workers in Israel. Social Science & Medicine, 57, 769-774.
- Gerth, K. A. (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hope and level of coping response and other variable in patients with cancer. Oncology of nursing Forum, 84(1), 42-54.
- Hair, J. F. Jr., Anderson, R. E., Tatham, R. L. and, Black, W. C. 2006. Multimedia data analysis, 6 th ed., Prentice-Hall International.
- Johnson, J. P., McCauly, C. R., & Copley, J. B. (1982). The quality of life hemodialysis and transplant patients. Kidney International, 22, 286-291.
- Kuo, W. H & Tsai, Yung-Mei. (1986). Social networking, hardiness and immigrant's mental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7(2), 133-149.
- Lynch, W. (1965). Images of hope: imagination as healer of the hopeless. Baltimore: Helican Press.
- Merton, T. (1967). No man is an island. New Yord: Image Books.
- Mitchell, A., Logothetti, T. J., & Kantor, R. E. (1973). An approach to measuring the quality of life in EPA. The Quality of Life Concept.
- Noh, S. & Avison, W. (1996). Asian immigrants and the stress process: A Study of Koreans in Canada. Journal of Health & Socail Behavior, 37(2).
- Nowotny, M. L. (1989). Assessment of hope in patients with cancer: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Oncology Nursing Forum, 16(1), 57-61.
- O'wein, D. C. (1989). Nurses' perspectives on the meaning of hope in patients with cancer:a qualitative study. Oncology Nursing Forum, 16(1), 75-79.
- OECD (1976). Measuring social well-being. OECD, observer, 64, 36-37.
- OECD (1982). The OECD List of social indicators(Part II: Selected Social Indicator Disaggregations), 17-46. Paris
- OECD (2000-2001). OECD Annual Report.
- Roberts, R. C. (1982). Spirituality and human emotion. Grand Rapids, MI: Wm, B. Erdmans Publishing.
- Siegel, B. (1986). Love, medicine and miracle. London: Rider
- Stoner, M. H. (1988). Measuring hope. In M. Frank-stromborg(Eds). Instrument for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140. Norwalk: Conneticut: Appleton & Lange.
- Travelbee, J. (1971). Interpersonal aspects of nursing (2nd Eds.). Philadelphia: F. A. Davis Co.
- Zastrow, Charles (1992). The practice of social work(4th ed). Wadsworth,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