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감

Search Result 93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스마트월(Smart-Wall): 원격 다지점 공간의 초실감 가상연결 기술

  • Kim, Do-Yeong;Gang, Jin-A;Lee, Mi-Su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2
    • /
    • pp.34-40
    • /
    • 2015
  • 본고에서는 실감 영상회의와 몰입형 텔레프레즌스의 수준을 넘어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원격 다지점(Multi-point)의 공간을 초실감적으로 가상 연결할 수 있는 스마트월(Smart-Wall) 기술 개념에 대해 살펴본다. 여기서 초실감이란 UHD-4K/8K급 또는3차원 이상의 초실감 영상기술과 사람의 모든 발성대역을 재현할 수 있는 슈퍼와이드밴드 기반 초실감 음성처리 및 동급 수준의 미디어 통신 기술을 적용한 사용자의 서비스 인지품질 수준을 의미한다. 이러한 초실감 수준의 현장감과 몰입감을 멀리 떨어진 1:1 또는 다지점 간 사용자들에게 안정적인 고품질로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월 핵심기술의 확보는 초실감 스마트워크 뿐 아니라 동급의 원격교육, 원격의료 서비스와 제품에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원격 다지점 공간을 초실감으로 가상연결 하는 스마트월 기술은 사용자가 마치 현장에 있는 것처럼 실감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핵심기술로써, 실감 ICT 올림픽에 접목이 되면 현장에 참석한 것 이상의 실감있는 대면 대화, 인터뷰 및 협업작업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실감 ICT 올림픽에서 가장 인기있는 세계 최초의 기가미디어급 미래서비스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다차원 실감미디어를 이용한 실감방송 기술

  • Ho, Yo-Seong;Yun, Seung-Uk;Kim, Seong-Yeol
    • Information Display
    • /
    • v.6 no.6
    • /
    • pp.30-37
    • /
    • 2005
  • 실감방송이란 다차원 실감미디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몰입감을 줄 수 있는 미래형 방송서비스를 일컫는다. 여기서 다차원 실감미디어란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극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요소정보로 인간의 오감을 통해서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차원 실감미디어를 이용하여 현재 실감방송연구센터(RBRC) 에서 개발하고 있는 실감방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다양한 요소기술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Trend of Multimedia based Realistic Contents Delivery System (다중미디어 실감 전송시스템 기술동향)

  • Huh, J.D.;Yun, J.K.;Oh, H.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6
    • /
    • pp.180-191
    • /
    • 2013
  • 사용자에게 현장감, 사실감 및 몰입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이미 저작된 실감미디어를 기존 인터넷 기반방송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쉽게 체험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중미디어를 위한 실감 전송시스템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관련 기술로는 실감미디어 전송 미들웨어 기반 미디어게이트웨이 플랫폼. MPEG-V 국제 표준 규격을 준수하는 실감효과 재현 시스템 및 4D 극장, 체험관, 실감게임, 교육, 홈엔터테인먼트, 홈시어터, 스마트홈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하다.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prospect users' intentions to adopt TSI technologies (실감공간기술 잠재적 사용자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 Kim, Min-Gyu;Kim, Joo-H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685-69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로저스의 개혁확산이론(Rogers, 2003)과 데이비스의 기술수용모형(Davis, 1989)을 바탕으로 실감공간기술에 대한 잠재적 사용자의 태도를 분석하였다. 개혁확산이론과 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한 선행 연구들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의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찰할 수 있었다. 개혁확신이론을 통해서는 개인의 심리적 수준은 물론 인구통계학적 수준, 사회적 수준 등 다양한 요인과 그 하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기술수용모형을 통해서는 개혁확산이론을 통해 도출된 다양한 변인들이 실감공간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는 가설을 설계할 수 있었다. 개혁확산 이론과 기술수용모형을 통해 이미 설명된 기존의 뉴미디어들과 달리 실감공간기술이 개발 진행 중이라는 점과 그 다양한 발전 가능성이라는 특징을 고려했을 때, 실감공간기술의 확산을 어떻게 예측하고 설명할 수 있는지 고찰하는 것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감공간기술에 대한 잠재적 사용자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실감공간기술의 다양한 활용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 PDF

Development, limitations, and prospects of digital equipment for immersing realistic content (실감형 콘텐츠 몰입을 위한 디지털 장비 개발과 한계 및 전망)

  • Jung, Yu Seul;Woo, So hyeon;Jeon, Hae Joo;Han, Jeo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10a
    • /
    • pp.502-504
    • /
    • 2022
  • Find out what kinds of equipment development and types of realistic content, which maximizes human five senses to provide a similar experience, and find out the growth potential of the realistic content industry and how to experience the perfect immersion experience. And study which method is the best development.

  • PDF

스마트 시대에서의 실감 미디어 기술 동향

  • Seo, Ung-Chan;Kim, Gi-Il;Jeong, Jun-Seo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5
    • /
    • pp.79-87
    • /
    • 2013
  • 실감 미디어(Realistic Media)란 사용자 만족을 위해 몰입감과 현장감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현장의 모든 감각의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를 의미하며 실감미디어 기술은 고품질의 시각, 청각 정보는 물론 촉감 등 다감각 정보의 생성, 처리, 저장, 변환, 전송, 재편등에 관한 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 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다양한 실감미디어 서비스들이 출현하고 서비스되고 있어 실감미디어 산업은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우리 정부에서는 미국, 일본, 유럽 등의 기술을 따라잡고 독자적인 기술력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가코리아(2012)' 사업을 필두로 다양한 정책 사업을 진행 중에 있는대 현 시점에서는 해외 기술에 비하여 2-3년의 격차가 존재하고 있으나 무선 인프라, 스마트폰 기반의 콘텐츠 시장 형성 등 기반 인프라가 우수하고 방송, 교육, 광고, 공공 서비스 등 타 산업분야와 융복합 등 기반 기술 확보부분에서 기술 선점 가능성이 남아있으며 다양한 분야로 사업 확대가 용이하여 시장성이 높아 차세대 전략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 변화는 단순 시청의 단계를 넘어 미디어 미디어 서비스의 부가 정보를 얻고자 하며 직접 미디어 서비스에 참여하기를 원한다. 특히 실감미디어 분야에서 2D 미디어에서도 3D 입체 미디어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3D 입체 미디어를 기반으로 실감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4D미디어를 선호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아바타 4D 영화의 흥행이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도 4D 미디어를 소화해낸 사용자는 오감과 감성에 기반한 미디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요구할 것이며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실감미디어 산업의 빠른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미 영화 산업은 3D 산업으로 진입해 있으며 4D 산업으로 급속히 변모중에 있고 스마트 시장의 등장에따라 스마트 기기 및 인프라를 기반으로 실감미디어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장 역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실감미디어 산업의 시장규모와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를 알아보며, 어떠한 형태의 실감미디어 콘텐츠 서비스가 존재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국내외에서 적용되는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실감미디어 콘텐츠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on the Use of Realistic Content in Science Class (과학 수업에서의 실감형 콘텐츠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 Cha, Hyun-Jung;Yoon, Hye-Gyoung;Park, Jeongwoo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1 no.3
    • /
    • pp.480-500
    • /
    • 2022
  •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and demands on the use of realistic content were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in using realistic content in science classes. Specificall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investigated: (1) What kind of realistic content and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 it in science classes? (2) What are the perceptions and difficul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use of realistic content in science classes? (3) What are the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lated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the use of realistic content in science classes?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inly used digital textbooks and realistic content provided by the "Science Level Up" site, and the content types could be classified into "exploration type," "visit type," and "production typ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ntioned the educational advantages of using realistic content to help students understand scientific content, induce interest and curiosity, and become immersed in a sense of reality. Several difficulties related to the use of realistic content were mentioned. Among them, the lack of high-quality educational content suitable for science classes and a lack of examples of specific class cases that use realistic content stood out. Thirdly,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teacher expertise to use realistic cont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emphasized the need for information on quality realistic content; teacher training centered on specific class cases; instructional models that can be applied by realistic content type; and information on the purchase, us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necessary devices. Reflecting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more effective use of realistic content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were discussed.

MPEG-V를 중심으로 본 실감 미디어 표준화 동향

  • Bae, Hyo-Cheol;Yun, Gyeong-R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3
    • /
    • pp.11-17
    • /
    • 2015
  • 4D 영상은 3D 영상에 바람, 의자의 움직임, 물의 튀김 등과 같은 다양한 특수 효과들을 같이 제공하여 보다 사실적인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처럼 사용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시간 공간적 제약 없이 몰입감과 현장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오감정보와 감성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를 실감미디어라 한다. 실감 미디어는 시간 공간적 제약 없이 사용자에게 사실적인 느낌을 제공하며, 이를 위해 가상공간에서의 실감효과를 실제 공간의 하드웨어를 통해 실감효과를 실현하고자 하는 노력은 아직까지도 계속 되고 있다. 이러한 실감효과는 미디어를 청취할 때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등의 인간의 오감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마치 사용자가 실제 현장에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실감 미디어를 비롯한 가상공간 콘텐츠를 실제 소비 환경과 상호 연동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대해 정의하고 있는 MPEG-V 표준화의 구성 및 범위와 최근동향 및 변경 점에 대해 살펴본다.

Trends and Prospects in Super-realistic Metaverse Visualization Technologies (초실감 메타버스 시각화 기술 동향과 전망)

  • W.S. Youm;C.W. Byun;C.M. Kang;K.J. Kim;Y.D. Kim;D.H. Ahn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9 no.2
    • /
    • pp.24-32
    • /
    • 2024
  • Wearable metaverse devices have sparked enthusiasm as innovative virtual computing user interfaces by addressing a major source of user discomfort, namely, motion-to-photon latency. This kind of latency occurs between the user motion and screen update. To enhance the realism and immersion of experiences using metaverse devices, the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 in stereoscopic image representation must be resolved. Ongoing research aims to address current challenges by adopting vari-focal, multifocal, and light field display technologies for stereoscopic imaging. We explore current trends in research with emphasis on multifocal stereoscopic imaging. Successful metaverse visualization services require the integration of stereoscopic image rendering modules and content encoding/decoding technologies tailored to these services. Additionally, real-time video processing is essential for these modules to correctly and timely process such content and implement metaverse visualization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