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al-Time Multimedia Clock using Particle System

파티클 시스템을 활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시계:구상적 이미지를 통한 시간의 형상화

  • 임진호 (대전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전공)
  • Received : 2012.02.23
  • Accepted : 2012.04.12
  • Published : 2012.05.28

Abstract

The newly developed field of media art is quickly making progress to include various and up-to-date forms of expression. Unlike in traditional ar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art and the viewer has become vastly important, in which the viewer is an active agent who participates and interacts with the artwork. These digital artworks can now be readily observed in everyday places and things, rather than being confined solely in the gallery space. By encouraging open interaction with the public, media art has become more accessible. Accordingly, this thesis examines the construction of a real-time multimedia clock piece using particle systems. Time has always been a significant theme in the realm of traditional art, which continues to be explored extensively in various forms of expression. In an attempt to express the continuity of time and the state of being value of existence based on technological skills, the thesis presents an artwork that uses the popular medium of a clock while also providing both usability and emotional satisfaction for the viewer's sensibility through interaction.

새롭게 등장한 미디어아트는 디지털미디어 시대에 맞추어 새롭고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전통예술과 다르게 관객이 적극적 주체가 되어 작품에 참여하고 상호작용하게 되면서 관객과의 소통이 크게 중요해졌다. 이러한 디지털 예술작품들이 이제는 단순히 갤러리에서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접하는 장소 및 물품에서도 그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더욱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미디어아트의 대중적 접근을 쉽게 만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을 통해 파티클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시계 작품을 구성하는 연구를 하였다. 시간은 오랜 기간 동안 전통예술 영역에서 중요한 테마로 활용되어왔으며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시간의 연속성과 그에 따른 존재의 가치를 테크놀로지 기술을 바탕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시계라는 대중적 매체를 활용하고 사용성과 관객의 상호작용에 의한 감성적 만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작품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종석, 황선정, 진성모, "아두이노를 이용한 Interactive Tapestry 개발 및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제12권, 제5호, pp.423-426, 2011.
  2. 서정자, "디지털 시대의 테크놀로지 예술 확장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제12권, 제2호, pp.227-230, 2011.
  3. 이의영, 이현진, "미디어아트에서 아날로그적 감성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제12권, 제5호, pp.411-415, 2011.
  4. 유현정, "매체의 발달과 시간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제7권, 제1호, pp.113-121, 2006.
  5. 이영우, 비디오아트, 문예마당, 2000.
  6. 서경자, 현대 타이포그래피에 표현된 시간관과 공간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시각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7. W. T. Teeves, Paticle System : A Technique for Modeling a Class of Fuzzy Objects, ACM Transactions on Graphics, 1983.
  8. 임찬, 윤재선, "움직임 감지 기반의 파티클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거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64-66, 2011.
  9. 이영훈, 뉴미디어아트와 시간, 도서출판 재원, 2004.
  10. 바실리칸딘스키, 차봉희 역, 점. 선. 면, 열화당, 2000.
  11. 루돌프아른하임, 김춘일 역, 미술과 시지각, 서울 기린원, 1991.
  12. http://www.makingthing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