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간 인구이동의 예측을 통한 우리나라 시도별 장래 인구 추계: 다지역 코호트-요인법의 적용

Subnational Population Projections of Korea Based on Interregional Migration Forecasting: A Multi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 Lee, Sang-I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 Dae-Heo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01.26
  • 심사 : 2012.02.21
  • 발행 : 2012.02.29

초록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다지역 코호트-요인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시도별 장래 인구 추계를 실행하는 것이다. 마르코프 연쇄 모델과 Rogers의 다지역 인구 추계 모델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실행 가능한 다지역 코호트-요인법의 프레임워크를 설정하였다. 이 프레임워크를 우리나라 데이터에 적용하여 2005~2030년에 대한 5년 단위의 시도별 인구 추계를 실행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중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추계치를 기존 통계청의 추계치 및 경험 데이터와 비교해 본 결과 제안된 추계 기법의 방법론적 타당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본 연구의 방법론은 미래의 지역간 인구이동 매트릭스를 산출한다는 측면에서 추계 결과의 유용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래의 지역간 인구이동에 대한 정보는 지역별 인구변동을 이해하고 실질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 전체의 인구변동 보다는 인구 이동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하위 지역 인구들의 진화 과정을 더욱 강조하는 다지역 관점의 중요성을 예증하고 있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subnational population projections of Korea based on a multi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This objective is accomplished by: (i) establishing a viable framework to implement the multi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with reference to the Markov chain model and Rogers' multiregional population projection model; (ii) applying the established framework to subnational population projections of Korea, 2005~2030. The main results are twofold. First, the proposed method turns out to be highly valid in a methodological sense, which is seen from a high level of coincidence between the estimated and the observed. Second, the projection results turn out to be highly useful in the sense that interregional migration flow matrices are resulted for projection periods. The projected migration flows are expected to provide invaluable information for an understanding of future population change and for a formulation of policy alternatives. This study is strongly inspired by the multiregional perspective emphasizing the evolution of multiple regional populations interconnected by interregional migration flows rather than the overall national chang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