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리 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국외 8개국 지리지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the Regional Geographies of Eight Countries for Improving 'the Geography of Korea'

  • 권용우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 손정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 안영진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 이강원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 이현주 (토지주택연구원 계획설계연구실) ;
  • 이호상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 Kwon, Yong-Woo (Department of Geography, College of Social Sciences,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Sohn, Jung-Yul (Department of Geography, College of Soci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Ahn, Young-Jin (Department of Geography, College of Social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Kang-Wo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Hyeon-Joo (Planning & Design Research Division, Land & Housing Institute) ;
  • Lee, Ho-Sang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01.13
  • 심사 : 2012.02.27
  • 발행 : 2012.02.29

초록

본 연구는 국외지리지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한국지리 발전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럽의 영국, 프랑스, 독일, 북미의 미국, 아시아의 일본, 중국, 그리고 아랍권의 터키와 파키스탄 등 총 8개국의 지리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지리지는 각 국가를 대표할 수 있는 지리지로 선정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체계, 형식, 내용 등 세부적인 측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지리 발전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내용적, 형식적, 사업적 측면에서 각각 정리하였다. 이들 여러 가지 시사점들은 궁극적으로 한국지리가 한 단계 발전된 모습으로 지역성을 규명하고 독자저변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발전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Geography of Korea' by analyzing the regional geographies of other countries. For this purpose, the regional geographies of eight countries are used: the United Kingdom, France, and Germany in Europe, the United States in America, Japan and China in Asia, and Turkey and Pakistan in Arab. After we select the representative regional geography for each country, its general characteristics, structure, style, and contents are analyzed.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Geography of Korea' are summarized in terms of the contents, style, and publication project. These implications suggest that 'the Geography of Korea' needs to be improved by explaining the regional identity in a more refined way and by attracting more reade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