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Limestone Powder added Concrete for Environment-Friendly Concrete

석회석미분말을 첨가한 친환경 시멘트콘크리트의 내구 특성

  • 최우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토목건설공학과) ;
  • 박철우 (강원대학교 공학대학 토목공학과) ;
  • 정원경 ((주) 삼우아이엠씨 기술연구소) ;
  • 전범준 ((주) 삼우아이엠씨 기술연구소) ;
  • 김규선 (한국시설안전공단 특수교통합유지관리센터)
  • Received : 2012.03.19
  • Accepted : 2012.06.26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During the manufacturing of Portland cement, CO2 gas is also necessarily produced through both decarbonation of calcium carbonate and kiln burning. By partially replacing the Portland cement with limestone powder, which is an inert filler in a concrete mixture, CO2 consumption can be reduced in a construction fiel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undamental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limestone powder added concrete. Experimental variable was the replacement ratio of limestone powder from 0% to 25% with 5% increment. Durabilit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resistance to freeze-thaw, alkali-silica reaction and de-icing chemical in addition to the properties of fresh concrete. From test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the addition of limestone powde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esistance to freeze-thaw reaction and de-icing chemical. The addition of limestone powder reduced the occurrence potential of alkali-silica reaction by reducing an alkali content in Portland cement.

시멘트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로 인하여 콘크리트를 활용하는 건설산업의 친환경성이 문제시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석회석미분말로 시멘트를 대체하는 기술의 기초연구로서 석회석미분말을 함유한 콘크리트의 내구특성에 관하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험변수는 석회석미분말의 시멘트 치환률을 0%에서 25%까지 5%씩 중가하였으며 동결융해 저항성, 제설염 저항성 및 알칼리-실리카반응 저항성 등의 내구특성과 기초적인 경화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석회석미분말의 사용으로 인한 동결융해저항성, 제설제염 저항성 등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알카리-실리카반응성의 억제를 위하여도 긍정적으로 검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경택, 유원위, 한상묵, "석회석미분말 혼입 모르타르의 강도 발현 및 황산염 침해에 대한 저항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제16궈 3호, 2004, pp.303-310. https://doi.org/10.4334/JKCI.2004.16.3.303
  2. 구봉근, 라재웅, 류택은, 이재범, 이현석, 이기호, "석회석미분말 혼합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 저항 특성",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제14권 2호, 2002, pp.75-80.
  3. 구봉근, 이재범, 이현석, 박주원, "석회석미분말과 슬래그 미분말을 혼합한 콘크리트의 내구성",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제15권 2호, 2003, pp.82-85.
  4. 국토해양부, "고속도로 공사 전문 시방서", 2009.
  5. 김성권, 홍승호, 허인, 윤경구, "국내 광물성 혼화재의 종류 및 혼입률에 따른 알칼리-실리카 반응 특성",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제23권 1호, 2011, pp.49-55. https://doi.org/10.4334/JKCI.2011.23.1.049
  6. 김성권, 홍승호, 허인, 윤경구, "국내 광물성 혼화재의 종류 및 혼입률에 따른 알칼리-실리카 반응 특성",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제23권 1호, 2011, pp.49-55. https://doi.org/10.4334/JKCI.2011.23.1.049
  7. 이병덕,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내구성에 공기량, 제설제, 노출 조건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제12권 2호, 2010, pp.107-113.
  8. 최우현, 박철우, 김승원, 정원경, 전범준, "석회석미분말을 첨가한 시멘트콘크리트의 강도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논문집, 2011, pp.1384-1387.
  9. 최우현, 박철우, 김승원, 정원경, 전범준, 김용재, "석회석미분말을 함유한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 특성",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1, pp.190-193.
  10. 한라콘크리트 주식회사, "석회석미분말의 품질 및 석회석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제조와 역학적 특성 및 시공지침에 관한 연구" 최종보고서, 2003.
  11. 한상묵, 오향국, "석회석미분말을 혼입한 초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복합재의 특성",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제8권 2호, 2003, pp.23-30.

Cited by

  1. Characteristics of alkali–silica reaction according to substitution ratios of limestone powder in cement mortar vol.19, pp.sup8, 2015, https://doi.org/10.1179/1432891715Z.0000000001725
  2. Effects of Replacement Ratio and Fineness of GGBFS on the Hydration and Pozzolanic Reaction of High-Strength High-Volume GGBFS Blended Cement Pastes vol.27, pp.2, 2015, https://doi.org/10.4334/JKCI.2015.27.2.115
  3. Effects of Limestone Powder and Silica Fume on the Hydration and Pozzolanic Reaction of High-Strength High-Volume GGBFS Blended Cement Mortars vol.27, pp.2, 2015, https://doi.org/10.4334/JKCI.2015.27.2.127
  4. 석회석 혼입량에 따른 콘크리트의 역학적 및 내구특성 vol.21, pp.3, 2017, https://doi.org/10.11112/jksmi.2017.21.3.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