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on Recognition Types and Preferences of Animation Audiences

애니메이션 수용자의 인식유형과 취향에 관한 주관성연구

  • 현승훈 (목원대학교 영화영상학부)
  • Received : 2011.11.15
  • Accepted : 2012.03.09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is a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on recognition types and preferences of animation audience. Therefore, Q-methodology was used as a methodology of this study.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fin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of audience on animation genres. The features of each type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First was an artistic and literary value-oriented type that explored storytelling and descriptive value. Second was a pictorial and aesthetic value-oriented type that explored visual beauty such as characters and Mise en scene. Third was a visual and entertainment value-oriented type that explored entertainment factors and attractions. Thu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preference types, it was inferred that digital image generation audience with an active preference that can create and consume images have developed a tendency that independently consumed their preferences based on thoroughly personal or subjective preferences rather than classified and accepted their preferred culture as their symbolic expressions of hierarchical position. In this aspect, Q-methodological consideration that is useful to analyze the subjectivity of audience could be a significant work. Nevertheless, this study alone could not reveal various generative contexts of specific preferences. It seems to have more significant results by applying various qualitative or quantitative methodologies together with this study and analyzing recognition types and preferences of audience.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수용자의 인식유형과 취향에 관한 주관성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써 Q방법론(Q-methodology)을 사용하였다. Q방법론은 인간의 태도와 행동을 연구하기 위해 철학적, 심리학적, 통계적 그리고 심리측정과 관련된 개념을 통합한 방법론으로서 인간의 주관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특수한 통계기법이다. 기존의 양적방법론인 R방법론이 차이의 심리학(differential psychology)에 기본 가정을 두고 수용자 간의 차이를 수용자가 특정한 변인에 대해 얻은 개별적 특성의 차를 반영하는 것이라면, Q방법론은 의미성에 있어서 수용자 개인의 내적 차이 즉, 주관성의 개별 특성을 근거로 한다. 따라서 매체, 혹은 영상 장르에 대한 수용자의 주관적 인식특성을 연구함에 있어 Q방법론은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Q방법론을 사용한 결과 애니메이션 장르에 대해 수용자들의 다양한 선호유형별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각 유형별 특징은 먼저 스토리텔링과 서사적 가치를 추구하는 문학, 서사적 가치 지향형, 캐릭터와 미장센 등과 같은 영상미를 추구하는 회화, 심미적 가치 추구형, 그리고 마지막으로 오락적 요소와 볼거리를 선호하는 대중 오락적 가치 지향형 등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선호 유형의 구분을 통해 추론할 수 있었던 것은 영상의 생산과 소비가 가능한 능동적 취향의 디지털영상세대 수용자들은 계급위치의 상징적 표현으로써 자신들의 취향문화를 구분하고 받아들이기 보다는, 철저히 개인적 혹은 주관적 성향에 따라 주체적으로 기호를 소비하는 듯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면에서 수용자의 주관성을 분석하는 데에 유용한 Q 방법론적 고찰은 의미 있는 작업이 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만으로는 구체적 취향의 다양한 생성 맥락까지는 밝혀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와 함께 다양한 질적 혹은 양적 방법론을 함께 적용하여 수용자의 인식유형 및 선호도를 분석해 본다면 좀 더 유의미한 결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1998.
  2. 김흥규, Q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3. 김홍규,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서강대언론문화연구소, 1992.
  4. 데니스 맥퀘일, 양승찬, 이강형 역,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나남, 2008.
  5. 박동순 외, 매스미디어와 수용자,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6. 이강수, 수용자론, 한울아카데미, 2001.
  7. 피에르 부르디외, 최종철 역, 구별 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상/하 새물결, 2005.
  8. 허버트 갠즈, 강현두 역, 대중문화와 고급문화, 나남, 1998.
  9. 권혜원, 최샛별, 예술영화 취향의 구별 짓기, 한국사회, 12권 1호(2011), pp.27-64.
  10. 김흥규, Q 방법론의 유용성 연구, 주관성연구, 통권 1호(1996), pp.15-33.
  11. 소요환, 애니메이션 속성이 관람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 : 네티즌 평 점. 리뷰 게시판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13호 (2008), pp.115-131.
  12. 소요환, 애니메이션 관객의 집단별 관람동기와 선택기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권 12호(2008), pp.109-117.
  13. 송금옥, 김영인, 현대패션에 표현된 취향 지향적 룩의 조형적 특성과 미적 가치, 디자인학 연구, 18권 4호(2005), pp.195-204.
  14. 조광익, 이동재, 베블런 다시 읽기, 관광학연구, 33권 7호 (2009), pp.11-30.
  15. 김도희, "디자이너의 조형적 취향의 일관성과 결과물 사이의 상관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11, 02).
  16. 이혜민, "팬덤의 내부분화와 갈등 - 서태지 팬 사이트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4, 08).
  17. 조도형, "스타시스템의 컨버전스화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0, 08).
  18. Jenkins, H., Textual poachers: Television fans and participatory culture (Studies in culture and communication), Routledge, 1992.
  19. Stephenson, W., The study of behavio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3.
  20. Fiske, J., "The cultural economy of fandom," In L.A. Lewis (ed.), The adoring audience: Fan culture and popular media, Routledge, 1992, pp.30-49.
  21. Jenson, J., "Fandom as pathology: The consequences of characterization," In L.A. Lewis (ed.), The adoring audience: Fan culture and popular media, Routledge, 1992, pp.84-106.
  22. Lewis, G. H., "Taste culture and their composition: Towards a new theoretical perspective", In E. Katz and T. Szecsko (eds.), Mass media and social change, Sage, 1981, pp.201-217.
  23. Hill, John, "UK film policy, cultural capital and social exclusion," Cultural Trends, Vol.13 No.2(2004), pp.29-39. https://doi.org/10.1080/0954896042000267134
  24. Katz-Gerro, Tally, "Cultural consumption research: Review of methodology, theory, and consequence," International Review of Sociology, Vol.4 No.2(2004), pp.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