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재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 스트레스 분석: 개념도 기법을 활용하여

What Kinds of Rearing Stress Do the Mothers of the Gifted Have?: Us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 투고 : 2012.11.16
  • 심사 : 2012.12.22
  • 발행 : 2012.12.31

초록

본 연구는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영재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영재 자녀를 둔 12명의 어머니들이 지각하고 있는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진술문들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79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고, 이들 79개의 진술문에 대한 비유사성 평정 자료를 사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2차원 개념도 제작에 적합한 .273의 stress 값을 얻었다. 또한 101명의 영재아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도출된 양육 스트레스를 얼마나 공감하고 경험하는가를 물었다. 다차원 척도 분석을 통해 도출된 개별 진술문들의 좌표 값을 이용하여 위계적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범주의 개수는 총 3개로 분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위계적 군집 분석결과 도출된 군집에 대한 명명은 좌표 상에 표시된 진술문들의 상대적 위치, 범주에 묶인 진술문 내용과 연구 참여자들이 카드분류 단계에서 기술한 범주 명을 고려하여 '영재부모로서의 부담과 갈등', '영재성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부정적인 행동 특성', '영재라는 타이틀의 자부심과 그 이면'으로 명명하였다. 영재부모로서의 부담과 갈등 범주가 가장 높은 평균을 보여 이 범주와 관련한 양육스트레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의 진로에 대한 어떠한 구체적인 도움을 주어야 하는지 걱정이다(M=4.65)', '자기주도적인 사람으로 성장하기를 바라면서도 불안한 마음에 자녀의 행동에 개입하는 것이 많지는 않은지 생각해 보게 된다(M=4.60)', '초등학교 시절에서 영재과정을 마친 후, 다음 단계에서도 영재로 선발되기 위해 뒷받침을 잘 해 주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M=4.46)', '시간적, 물질적 투자의 부재로 인하여 자녀가 소질을 더 계발하지 못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있다(M=4.44)', '부모의 높은 기대 때문에 자녀에게 부담을 주는 것 같아 미안하다(M=4.43)' 등의 항목들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평균을 보여 이와 관련한 영재어머니들의 스트레스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 자녀 및 부모교육과 관련하여 그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gifted students' mothers' rearing stress based on the concept mapping method. For this, 12 gifted students' mothers solicited, gathered and analyzed related statements, and then did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stress value was .273 which was appropriate for the two level concept mapping study. In addition 101 mothers of gifted students rated for the rearing stresses they experienc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79 concrete statements were solicited and as a result of concept mapping were categorized as 'burden and conflict as mothers of the gifted', 'possible negative characteristics due to the giftedness', and 'self-esteem and pressure by the title of the gifted'. Especially following items showed relatively high average: worrying about how to give the child a specific help for his/her career(M=4.65); worrying that she might be intervening too much in their child's behaviors(M=4.60); getting pressured supporting the child to get involved in the gifted education system continually(M=4.46); worrying if her child is not developing his/her talent enough due to the lack of time and money(M=4.44); being concerned that her high expectations might be putting her child under too much pressure (M=4.43). Implications of the study related to gifted education practices we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은주 (2003). 초등학교 영재아동 및 일반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 구미숙 (2004). 영재유아 어머니와 일반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 비교.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3. 김동춘 (2003). 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어머니 양육태도 비교.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4. 김성원, 최성연 (2002). 영재아의 부모특성이 영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71-681.
  5. 김정화 (2004). 부모의 교육참여와 자녀의 영재성과의 관계 연구.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6. 김정휘, 백영승 (2001). 영재자녀는 부모가 만든다. 교육연구 18, 61-109.
  7. 문윤희, 한기순 (2010). 창조적 성취자를 키운 동서양 양육자의 특성비교. 영재교육연구, 20(2), 395-426.
  8. 민경해 (2006). 영재 자녀 학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9. 민보경 (2010). 중학교 과학 영재아 부모들의 요구에 기초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0. 박혜원, 김윤주 (2009). 영재아동과 일반아동 부모의 양육특성. 영재교육연구, 19(3), 433-456.
  11. 신숙재 (1997).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 효능감이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2. 안지영 (2000).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3. 양미선 (2000).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산후 우울증과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4. 양소희 (2007). 영재교육기관과 일반교육기관 아동 어머니의 교육관과 양육태도 및 영재인식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강남대학교.
  15. 유기성 (2009). 영재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행동, 양육 효능감의 관계 분석.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16. 윤여홍 (2008). 영재자녀와 부모와의 관계패턴. 영재아이, 8, 22-23.
  17. 이신동 (2002). 영재와 평재 부모의 배경과 양육특성 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1(2), 29-45.
  18. 이영순 (2006). 영재학부모와 일반학부모의 인적, 사회적, 문화적 자본의 비교.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19. 이정용 (2010). 영재판별에서 관찰-추천 시스템의 방향 탐색: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여.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20. 이희영, 안삼태, 최태진 (2003). 영재아 부모들의 고민 유형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15(2), 193-205.
  21. 전경원 (2000). 영재교육학. 서울: 학문사.
  22. 정찬석 (2005). 청소년 내담자가 지각한 상담의 도움 측면 탐색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3. 정찬석, 이은경, 김현주 (2004). 청소년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의 도움경험 분석: 개념도 연구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21-35.
  24. 조복희, 한유미 (1995). 영재의 발달특성과 어머니의 양육특성. 대한가정학회지, 33(2), 89-101.
  25. 지승희, 박정민, 임영선 (2005). 인턴상담원이 지각하는 개인상담 수퍼비전에서의 도움 및 아쉬운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75-90.
  26. 태진미 (2009). 영재부모지원의 새로운 접근. 영재교육연구, 19(2), 303-332.
  27. 하종덕 (2008). 영재아 부모의 성격유형과 양육태도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8(2), 293-311.
  28. 한기순, 태진미, 양태연 (2010). 영재 어머니의 심리상태 관찰을 위한 투사적 접근. 영재와 영재교육, 9(1), 5-26.
  29. Bloom, B. (1985).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New York: Ballantine.
  30. Braggett, E. J., Ashman, A., & Noble, J. (1983). The expressed needs of parents of gifted children.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1, 80-84. https://doi.org/10.1177/026142948300100208
  31. Clark, B. (1997). Growing up gift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32. Deater-Deckard, K. (1998). Parenting stress and child adjustment: Some old hypotheses and new Questions.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5, 314-332.
  33. Delisle, J. R. (1992). Guiding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youth. New York: Longman.
  34. Foster, S. M. (1993). Meeting the needs of gifted and talented preschoolers. Children Today, 22(3), 28-31.
  35. Fouse, B., Beidelman, V., & Morrison, J. (1995). Keeping peace with parents of the gifted. Gifted Child Today, 18, 39-41.
  36. Freeman, J. (2010). Gifted lives: What happens when gifted children grow up. New York: Routledge.
  37. Goertzel, V., & Goertzel, M. G. (1962). Cradles of eminence. Boston: Little Brown & Co.
  38. Gol, A. R., & Cook, S. W. (2004). Exploring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cop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 155-171. https://doi.org/10.1521/jscp.23.2.155.31021
  39. Johnsen, J. A., Biegel, D. E., & Shafran, R. (2000). Concept mapping in mental health: Uses and adaptations.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3, 67-75. https://doi.org/10.1016/S0149-7189(99)00038-5
  40. Kane, M., & Trochim, W. M. (2006).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California: Sage.
  41. Pianta, R. C., & Egeland, B. (1990). Life stress and parenting outcomes in a disadvantaged sample: Result of the mother-child interaction projec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 329-336.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1904_4
  42. Silverman, L. K. (1997). Family counseling with the gifted. In Colangelo, N., & Davis, G. A.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2nd ed., pp. 307-320). Boston: Ally & Bacon.
  43. Silverman, L. K. (2002). Asynchronous development. In M. Neihart, S. M. Reis, N. M. Robinson, & S. M. Moon (Ed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What do we know? (pp. 145-153).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44. Stratton, C. W. (1988). Mothers's and Fathers' Perception of Child Deviance: Roles of Parent and Child Behaviors and Parent Adjust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6), 909-915. https://doi.org/10.1037/0022-006X.56.6.909
  45. Trochim, W. M. (1989).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2, 1-16. https://doi.org/10.1016/0149-7189(89)900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