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신포, 김판수, 유화전 (2003). 초등학교 수학영재 및 일반아동의 정의적 특성 비교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5(4). 441-457.
- 고민석, 박병태 (2011).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가 겪는 어려움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10(2), 101-126.
- 김판수, 강승희 (2003), 초등학교 수학 및 과학 영재와 일반아동의 학습양식과 성격유형의 차이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5(2), 191-208.
- 박수경 (1999). 구성주의적 과학수업이 대기압 개념 획득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217-228.
- 서울시교육청 (2011). 관찰․추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매뉴얼.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 송현아 (2011). 직업인 되어보기를 활용한 진로 통합과학교육프로그램의 정의적 효과.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 안미정, 유미현 (2012).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진로인식, 과학 선호도 및 과학자의 정형화된 이미지 비교. 영재교육연구, 22(3), 527-550. https://doi.org/10.9722/JGTE.2012.22.3.527
- 여상인, 변소윤 (2008). 초등과학,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성격유형 분석. 국제과학영재학회지, 2(1), 37-44.
- 이수영 (2001). ARCS 전략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관련 동기유발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이신동, 원재권, 김기명 (2007). 초등학교 수학영재, 과학영재, 일반 학생의 학습유형 및 교 수방법 선호도 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6(2), 107-128.
- 이운환, 김중욱, 손석락, 송남희, 송명섭, 임청환, 최재환 (1995). 국민학교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조사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4(1), 17-34.
- 이인혜 (2011). 과학영재와 수학영재의 학습전략 비교연구: 서울특별시 교육지원청 소재 영재교육원과 영재학급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 정진우, 정완호, 김효남 (1994).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 Baer, J., Kaufman, J. C., & Gentile, C. A. (2004). Extension of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to nonparallel creative product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6(1), 113-117.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601_11
- Clements, D. H., & Sarama, J. (2000). Young Children's ideas about geometric shapes.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6(8), 482-488.
- Clement, J. (2008). Creative Model Construction in Scientists and Students: The Role of Imagery, Analogy, and Mental Simulation. Dordrecht: Springer.
- Csikszentmihayli, M. (1990). The domains of creativity. In M. A. Runco, & R. S. Albert (Eds.), Theories of creativity (pp. 190-214). London: Sage.
-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s: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 Gagne, F. (2005). From gifts to talents: The DMGT as a developmental model. In Sternberg, R. J., & Davidson, J. E. (2nd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pp. 98-119).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Keller, J. M. (1987).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Instruction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10(3), 2-10. https://doi.org/10.1007/BF02905967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Council.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3), 180-184.
- Renzulli, J. S., Reis, S. M., & Smith, L. H. (1981). The revolving door Identification model. Mansfield, CT: Creative Learning Press.
- Simonton, D. K. (2004). Creativity in science: Chance, logic, genius, and zeitgeist.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1).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4(1), 1-31. https://doi.org/10.1159/000277029
- Sternberg, R. J. (2004) (Eds.). Definitions and comceptions of giftedness.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