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학습동기 차이

The Comparison of the Science Gifted and Mathematics Gifted in Attitude Toward Science and Learning Motivations in Sc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투고 : 2012.11.08
  • 심사 : 2012.12.24
  • 발행 : 2012.12.31

초록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 171명을 대상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와 과학학습동기 검사지를 이용해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학습동기를 조사, 비교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과학에 대한 가치관, 과학의 사회적 의미,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 모두 과학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영역 중 과학교과에 대한 선호를 나타내는 문항에서만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에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과학영재학생의 과학교과에 대한 선호도가 수학영재학생의 과학교과에 대한 선호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의 과학학습동기는 주의력, 자신감, 만족감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 모두 높은 동기 수준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과학학습동기 영역 중 관련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는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이 수학영재학생들보다 과학학습을 실제 삶과 더 관련지어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compare of the science gifted and the mathematics gifted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171 students who live in the Seoul city, using Attitude Assessment Tool and Learning Motivation in Science.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collected data are presented as follow; First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cience gifted and mathematics gifted in the attitude, value, social meaning, and attitude toward science subject and learners mostly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bu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the science gifted and mathematics gifted. Science gifted's preference toward science subject is higher than mathematics gifted students. Second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ttention, self-efficacy, and contentment in learning motivation in the science but,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science gifted and mathematics gifted in the relev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신포, 김판수, 유화전 (2003). 초등학교 수학영재 및 일반아동의 정의적 특성 비교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5(4). 441-457.
  2. 고민석, 박병태 (2011).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가 겪는 어려움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10(2), 101-126.
  3. 김판수, 강승희 (2003), 초등학교 수학 및 과학 영재와 일반아동의 학습양식과 성격유형의 차이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5(2), 191-208.
  4. 박수경 (1999). 구성주의적 과학수업이 대기압 개념 획득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217-228.
  5. 서울시교육청 (2011). 관찰․추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매뉴얼.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6. 송현아 (2011). 직업인 되어보기를 활용한 진로 통합과학교육프로그램의 정의적 효과.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7. 안미정, 유미현 (2012).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진로인식, 과학 선호도 및 과학자의 정형화된 이미지 비교. 영재교육연구, 22(3), 527-550. https://doi.org/10.9722/JGTE.2012.22.3.527
  8. 여상인, 변소윤 (2008). 초등과학,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성격유형 분석. 국제과학영재학회지, 2(1), 37-44.
  9. 이수영 (2001). ARCS 전략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관련 동기유발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0. 이신동, 원재권, 김기명 (2007). 초등학교 수학영재, 과학영재, 일반 학생의 학습유형 및 교 수방법 선호도 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6(2), 107-128.
  11. 이운환, 김중욱, 손석락, 송남희, 송명섭, 임청환, 최재환 (1995). 국민학교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조사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4(1), 17-34.
  12. 이인혜 (2011). 과학영재와 수학영재의 학습전략 비교연구: 서울특별시 교육지원청 소재 영재교육원과 영재학급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3. 정진우, 정완호, 김효남 (1994).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14. Baer, J., Kaufman, J. C., & Gentile, C. A. (2004). Extension of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to nonparallel creative product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6(1), 113-117.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601_11
  15. Clements, D. H., & Sarama, J. (2000). Young Children's ideas about geometric shapes.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6(8), 482-488.
  16. Clement, J. (2008). Creative Model Construction in Scientists and Students: The Role of Imagery, Analogy, and Mental Simulation. Dordrecht: Springer.
  17. Csikszentmihayli, M. (1990). The domains of creativity. In M. A. Runco, & R. S. Albert (Eds.), Theories of creativity (pp. 190-214). London: Sage.
  18.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s: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19. Gagne, F. (2005). From gifts to talents: The DMGT as a developmental model. In Sternberg, R. J., & Davidson, J. E. (2nd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pp. 98-119).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Keller, J. M. (1987).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Instruction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10(3), 2-10. https://doi.org/10.1007/BF02905967
  2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Council.
  22.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3.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3), 180-184.
  24. Renzulli, J. S., Reis, S. M., & Smith, L. H. (1981). The revolving door Identification model. Mansfield, CT: Creative Learning Press.
  25. Simonton, D. K. (2004). Creativity in science: Chance, logic, genius, and zeitgeist.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1).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4(1), 1-31. https://doi.org/10.1159/000277029
  27. Sternberg, R. J. (2004) (Eds.). Definitions and comceptions of giftedness.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