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Historical Research on the Costume of Memorial Service Officials at Yeongwol King Danjong Cultural Festival

단종 제향 복원을 위한 재관(齋官) 복식 고증

  • Lee, Eun-Joo (Dept. of Content Converg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이은주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2.08.23
  • Accepted : 2012.11.05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A historical research on the costume of memorial service officials during the period of late 18th century, King Jeongjo period, is performed for an accurate reconstruction of the memorial service for King Danjong, which is a part of King Danjong Cultural Festival held at Yeongwol. This paper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s follows: 1. Jangneung memorial service is held only on Hansik day and the procedure follows the rule based on Gukjooryeui(國朝五禮儀). The service was first held in 1791 for King Danjong and his royal followers. 2. The rule based on Chunkwantonggo(春官通考), defines the king's tomb memorial services and attendees. King Danjong's memorial service follows the rule regarding its attendees and the attendees include high-ranki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local confucian scholars, and service men. 3. The costume of attendees for the King Danjong's memorial service is as follows: 1)Dangsangkwan(堂上官) and Danghakwan(堂下官) wear Sangbok(常服), which consisted of Samo(紗帽), Heukdanllyeong(黑團領), Pumdae(品帶), and black boots(黑靴). 2)Local confucian scholars wear their uniform consisting of Yukeon(儒巾), Dopo(道袍), Sejodae, and black boots. 3)Service men wear their uniform consisting of Jeonjakeon(典字巾), red-robe with rounded collar called Hongui(紅衣), Kwangdaw hoe(廣多繪), and Uuhae(雲鞋).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 영월군 (2010), 장릉 단종제례 조사연구 보고서, pp. 1-126.
  2. 이현진 (2008),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서울: 일지사, pp. 284-320.
  3. 李肯翊, 燃藜室記述, 卷4, 端宗朝故事本末.
  4. 宣祖實錄, 卷15, 宣祖14년 1월 辛未.
  5. 宣祖實錄, 卷164, 宣祖36년 7월 戊寅.
  6. 光海君日記, 卷31, 光海君 2년 7월 戊辰.
  7.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藏書閣 名品選, 경기: 한국학중앙연구원, p. 176.
  8. 莊陵配食錄(奎5489), 卷上, 正壇三十二人
  9. 莊陵配食錄(奎 5489), 卷下, 別壇二百三十六人. 莊陵史補(奎3684), 卷 4, 類編1 兩陵崇奉事實[正壇配食忠臣三十二人].[別壇死事諸臣一百八十二人].[北別壇四十四人].[南別壇六人] .
  10. 正祖實錄, 卷32, 正祖15年2月丙寅.
  11. 자료검색일 2012. 5. 12, http://cafe.daum.net/01035073846/ZYqH/985
  12. 김문식 (2009), 조선시대 國家典禮書의 편찬 양상, 藏書閣, 21, p. 89.
  13. 國朝五禮儀, 卷1, 吉禮 四時及俗節朔望享諸陵儀.
  14. 國朝五禮序例, 卷1, 吉禮 時日.
  15. 春官通考, 卷17, 吉禮 陵寢 厚陵辨祀時日.
  16. 春官通考, 卷17, 吉禮 陵寢 健元陵.
  17. 春官通考, 卷23, 吉禮 陵寢 四時及俗節朔望享諸陵儀.
  18. 莊陵史補(奎3684), 卷4, 類編1 兩陵崇奉事實.
  19. 春官通考, 卷17, 吉禮陵寢.
  20. 오희복 (1992), 관료기구 및 관직명 편람, 서울: 여강출판사, p. 427
  21. 오희복 (1992), 관료기구 및 관직명 편람, 서울: 여강출판사, p. 426.
  22. 正祖實錄, 卷18, 正祖 8年 11月 己未.
  23. 莊陵史補(奎3684), 卷4, 類編1 兩陵崇奉事實.
  24. 자료검색일 2012. 2. 16, http://sillok.history.go.kr
  25. 莊陵史補(奎3684), 卷首, 圖 莊陵圖.
  26. 春官通考, 卷17, 莊陵 祭服[同健元陵].
  27. 春官通考, 卷17, 健元陵 齊服.
  28. 春官通考, 卷17, 健元陵 時日.
  29. 續大典, 卷3, 17.
  30. 국립중앙박물관 (2008), 조선시대 초상화 II,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135.
  31. 국립중앙박물관 (2008), 조선시대 초상화 II,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189.
  32. 국립중앙박물관 (2011), 초상화의 비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141.
  33. 松澗貳錄, 卷服着, 002b.
  34. 단국대학교 石宙善紀念博物館(2004), 名選中,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p. 69.
  35. 고부자 (2001), 상암동 출토 全州李氏益炡(1699∼1782) 유물연구, 韓國服飾, 19, p. 132.
  36. 英祖實錄, 卷61, 英祖 21年 6月 丁酉.
  37. 小田幾五郞(2005), 象胥紀聞, 栗田英二역, 서울: 이회, p. 151.
  38. 日省錄, 正祖 19年 閏2月 16日.
  39. 이은주 (2008), 조선시대 무관의 길짐승흉배제도와 실제, 服飾, 58(5), pp. 102-117.
  40. 이강칠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서울: 현암사, p. 415.
  41. 고부자 (2002), 朝鮮時代피륙[織物]의 무늬, 서울: 檀國大學校石宙善紀念博物館, p. 4.
  42. 박성실 (2004), 서울 상암동 출토 全州李氏 密昌君 服飾 考察, 韓國服飾, 22, p. 123.
  43.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卷4, 服食裁量辨證說.
  44. 윤미화 (1982), 氅衣類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pp. 96-97.
  45. 成海應, 硏經齋全集外集, 卷43, 儀章類 巾服攷 氅衣.
  46. 국립중앙박물관 (2002), 朝鮮時代風俗畵,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46.
  47. 고부자 (2001), 상암동 출토 全州李氏益炡(1699∼1782) 유물연구, 韓國服飾, 19, p. 141.
  48. 이은주 (2011),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10), pp. 135-150.
  49. 肅宗嘉禮都監儀軌(奎13078), 175b.
  50.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p. 170-175.
  51. 李裕元, 林下筆記, 卷15, 文獻指掌編白衣之禁.
  5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p. 66.
  53.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circled2$} 복식․ 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 p. 109.
  54. 고부자 (2001), 상암동 출토 全州李氏益炡(1699∼1782) 유물연구, 韓國服飾, 19, p. 135.
  55. 자료검색일 2012. 2. 16, http://sillok.history.go.kr
  56. 尹愭 (1999), 朝鮮朝成均館의 校園과 太學生의 生活像, 李敏弘역,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p. 104.
  57. 尹愭 (1999), 朝鮮朝成均館의 校園과 太學生의 生活像, 李敏弘역,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p. 82., '守僕六人典字巾眞紅團領色鮮新'.
  58. 太學志 雜識, '入學時 守僕團領典設司掌鋪陳'.
  59. 文化公報部․文化財管理局 (1981), 朝鮮時代 宮中服飾, 서울: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p.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