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법무부, 출입국.외국인 정책 통계월보 7월호, 법무부, 2012.
- 김순양, 이지영, 남경선, "저숙련 외국인노동자의 사회적 배제와 정책적 대응", 아태연구, 제15권, 제2호, pp.1-30, 2008
- 윤인지, 송영호,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통일문제연구, 제55권, pp.143-192, 2011.
- T. Scharf, C. Philipson, and A. E. Smith, "Social exclusion and quality of life of excluded older people," Working with Older people, Vol.9, No.3, pp.32-35, 2005. https://doi.org/10.1108/13663666200500049
- R. Levitas, C. Pantazis, E. Fahmy, and D. Gordon,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Bristol Institute for Public Affairs University of Bristol, 2007.
- 김태수, "외래인에 대한 배제적 측면의 고찰", 한국정책연구, 제9권, 제2호, pp.305-326, 2009.
- 이태정,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배제 연구", 사회연구, 제10권, pp.139-178, 2005.
-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No.6, pp.1069-1081, 1989.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 최재성, 강영숙, 김진욱, "빈곤층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21권, pp.309-341, 2009.
- A. Weinberg and J. Ruano-Borbalan, Comprendre l'exclusion, Sciences Humaines, Vol.28, 1993.
- 문진영, "한국의 사회적 배제 성격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2권, 제2호, pp.87-107, 2010.
- 심창학, "사회적 배제 개념의 의미와 정책적 함의", 한국사회복지학, 제44권, pp.178-208, 2001.
- 문진영, "사회적 배제의 국가간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3호, pp.253-277, 2004.
- 이중섭, 이용교,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청소년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7호, pp.1-27, 2009.
- 강신욱, "사회적배제 개념의 정책적 적용을 위한 이론적 검토", 동향과전망, 제66호, pp.9-31, 2006.
- 황정미, 김이선, 이명진, 최현, 이동주,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 (I): 한국사회의 수용현실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 김희정, 한국의 관주도형 다문화주의,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7.
- 홍순복, "세무공무원이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298-305. https://doi.org/10.5392/JKCA.2010.10.4.298
- 노민옥, 박경란, "중년기 직장 남성의 생활스트레스 및 대처행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55-269, 2008. https://doi.org/10.5934/KJHE.2008.17.2.255
- 이갑숙, 임왕규,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291-306,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291
- 조혜숙, 최수일,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313-32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313
- 한경혜, 조원지, "직업 역할 및 아버지 역할이 남성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6권, pp.1-20, 2001.
- D. Umberson and W. R. Gove, "Parenthood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Family Issues, Vol.10, No.4, pp.440-462, 1989. https://doi.org/10.1177/019251389010004002
- 박영자, "다문화시대 한반도 통일.통합의 가치 및 정책방향", 국제관계연구, 제17권, 제1호, pp.299-333. 2012.
- 김양호, "중년남성의 건강과 사회관계망 특성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03-126, 2005.
- 박미석, "중년기 남녀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4권, pp.19-33, 1996.
- 조옥희, 김경신,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관련 변인에 따른 심리적 복지",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29. 2005.
- 이영석, 최외선, "여성단체활동자의 역할갈등과 심리적복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1호, pp.201-218, 2011.
- S. M. Wilson and G. M. Peterson, "Life Satisfaction among Young Adult from Rural Families," Family Relations, Vol.37, pp.84-91, 1988. https://doi.org/10.2307/584435
- 통계청, 사회조사보고서, 통계청, 2011.
- 김동회, 하규수, "외국인근로자의 문화적응과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187-20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187
Cited by
- Effects of B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on Psycological Adaptation vol.13, pp.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