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무원들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 및 준비정도

Degree of Recognition and Preparation for the Old Age Life of Public Servants

  • 박현숙 (대전대학교 병원경영학과) ;
  • 임정도 (부산가톨릭대학교 병원경영학과)
  • 투고 : 2012.08.08
  • 심사 : 2012.12.03
  • 발행 : 2012.12.28

초록

부산, 울산,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공무원 중 편의표본 추출한 30대 및 40대를 중심으로 731명을 대상으로 하여 노후 생활에 대한 인식 및 준비정도 등을 조사하였다. 노후의 1차적 부양책임은 본인 및 배우자라는 응답은 83.9%였다. 노후생활 지역은 대도시 근교의 전원생활이라는 응답이 25.9% 였다. 노후생활에 예상되는 경제력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매우 문제가 될 것이다라는 응답이 33.0% 였다. 여가활동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는 그저 그렇다라는 응답이 43.4% 였다. 공무원들이 노후생활 경제력에 대해 나름대로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은 75.0%였다. 노후생활의 공적연금의 충족정도는 부족하다가 56.0%, 적정하다가 17.2%, 모르겠다가 26.8%였다. 공무원들의 노후생활의 공적연금의 충족정도는 부족하다(409명 56.0%)가 이였으며, 공적연금의 충족정도에 따른 노후생활에 대한 경제적 준비내용은 먼저 공적연금 외 경제적 대책 준비정도와 공적연금의 충족정도 군별로 비교한 결과 부동산 투자, 부족분 자녀도움, 자신의 보유자산 이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분석결과, 중년층이 노후의 준비를 하는 데 있어서는 개인 스스로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장 단기적인 관점에서 경제적 신체적 사회적 측면에서 노후 대책을 마련하고 실천해 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였다.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preparation for the old age life of public servan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731 middle-aged public employees in Pusan, Ulsan, Kyeong-Nam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67.2% respondents were women. Over 45-years old were 28.4%, Middle level quality of life were 46.1%, Over 20-years career were 26.7%, Administration staffs were 33.4%, and 7th grade were 31.9%. Second, In Recognition for the old age life, Respondents and their spouse have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the dependent elderly. Preferred life area was suburban rural area. The order of anticipated problems of the old age life was financial problem, health problem, and leisure activity. Third, Actually, in preparation for the old age life, the order of respondents preparation was financial stability, health, and leisure activity. Forth, In the satisfaction degree of public pension for the old age life, the order of respondence was insufficient (56.0%), appropriate (17.2%), and ignorant(26.8%).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선형, 최은희, "안정적 노후준비 가계의 특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Vol.14, No.4, pp.193-212, 2010.
  2. 전귀연, "성인기의 노후준비의식과 노후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28, No.1, pp.13-24, 2010.
  3. 김백수, 이정화, "중년층의 사회적 노후준비 결정 요인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Vol.21, No.3, pp.411-425, 2010.
  4. 보건복지가족부, 노인실태조사, 계명대학교산학협력단, pp.679-684, 2008.
  5. 이재원,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55-60, 2012.
  6. 이소정, 우리나라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인식과 정책적 함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75-80, 2009.
  7. 이인수, 노년기 생활과학, 양서원, pp.115-116, 2001.
  8. 김미, 중년기의 노후준비에 관한 의식조사, 광주보건대학논문집, Vol.17, p.231, 1992.
  9. 배향선, 청․장년층의 노후대책 의식과 노인복지 관련시설 선호 양상, 대구한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72-75, 2007.
  10. 박효영, 청․장년층 직장인의 노후생활 준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53-56, 2009.
  11. 이회경, 중년층 직장인의 노후생활 대책에 관한 의식조사 연구, 대전대학교 경영행정,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95-99, 2003.
  12. 김희정, 청.장년층의 노후 준비의식 및 대책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80-86, 2010.
  13. 이해근,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예비노인의 노후 준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91-100, 2006.
  14. 장민자, 청장년층의 노후생활대책에 대한 의식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74-77, 2003.
  15. 모선희, 현대 노인복지론, 학지사, p.465, 2005.
  16. 박혜성, 도시주부의 자산관리태도.자산적정인지도에 따른 노후경제 대책수행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58-60, 2000.
  17. 고상미, 전원.휴양형 고령자주거시설 건축 계획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96-100, 2011.
  18. 임장순, 도시인의 노후생활 대책에 관한 의식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74-80, 1990.
  19. 최점수, 직장인의 노후생활준비 의식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5-75, 1995.
  20. 김정희, 중년직장인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 및 대책,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54-55, 2008.
  21. 박해연, 병원근로자의 노후준비 의식과 노후대책,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3, 2009.
  22. 신승희,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8-78, 2010.
  23. 김남순, 중년층 근로자의 노후설계 인식에 관한 연구 : 개인적.사회경제적 특성과 정부정책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18-123,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