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ioration Diagno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in Seungansaji Temple Site, Hamyang, Korea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의 풍화훼손도 진단과 보존처리

  • Lee, Myeong Seo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oi, Hee Su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Ji Young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 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 Duk (Seojin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Co. Ltd.)
  •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최희수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김지영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김선덕 (서진문화유산(주))
  • Received : 2011.09.30
  • Accepted : 2011.11.01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located in Seungansaji temple site consists mainly of medium to fine-grained biotite granite and granitic gneiss, and partly macrocrystalline gneiss, muscovite gneiss and gabbro. The surface of the stone pagoda is extensively colonized by lichen and moss due to surrounding trees and lawns, and severly deteriorated. Therefore, a comprehensive deterioration diagnosis has been carried out and conservation treatment was conducted in this study. For the conservation treatment, dry cleaning is performed throughout all the surface of the pagoda for naturally grown lichen and biological contaminants using a soft brush and wooden knife. Crustose lichen strongly adhere to the surface was removed by wet cleaning using distilled water. Also, protective railings were reinstalled to an appropriate height with taking the distance from the stone pagoda into account. Finally, the ground around the stone pagoda was repaired with clay sand, and dike was installed with a natural gradient to facilitate water drainage.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은 중립 내지 세립질의 흑운모화강암과 화강편마암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거정질편마암, 백운모편마암, 반려암질암이 혼용되었다. 이 석탑은 주변의 수목 및 잔디에 의해 전면에 걸쳐 지의류와 선태류 등이 서식하고 있어 석탑 표면이 심하게 훼손되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 석탑에 대한 종합적인 풍화훼손도 진단과, 이를 근거로 보존처리를 수행하였다. 보존처리에서는 석탑의 전면에 걸쳐 자생하는 지의류 및 오염물 등에 대해 부드러운 솔과 나무칼을 사용하여 건식세정을 실시하였고 이때 고착지의류 등 잘 제거되지 않는 부분은 증류수를 이용한 습식세정으로 제거하였다. 또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보호난간을 석탑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적당한 높이로 재설치하였으며, 석탑 주변의 지반은 마사토로 정비하고 배수흐름을 원활하게 하기위해 자연구배를 두고 자연측구를 설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