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cal Compositions of Glass Beads from Tombs of Hakso-ri Site, O'chang

오창 학소리유적 토광묘내 유리구슬의 화학적 특성 - 37호 및 40호 -

  • Received : 2011.09.30
  • Accepted : 2011.11.10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Four glass beads from Hakso-ri site, O'chang were analyzed for thirteen oxides with SEM/EDS and lead isotope ratios with TIMS respectively. These samples were classified to potash glass system($K_2O-CaO-SiO_2$) with HCLA(High CaO, Low $Al_2O_3$). However three samples with above 4% for lead could be classified to potash-lead ($K_2O-PbO-CaO-SiO_2$)glass system and it seemed that coloring agent for greenish blue was Cu. Lead isotope ratio data for four samples did not make a group but scattered to the space respectively. It needs more study for compositions and lead iosotope data of potash-lead glasses with regions and ages.

오창 학소리I유적의 토광묘에서 유리구슬 시료 4점을 입수하고 각각 13종의 산화물을 분석하였다. 토광묘에서 출토된 유리구슬의 화학조성에 따른 유리 계통을 정리하였고 어떤 발색제가 기여하였는지를 확인하였으며 구슬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의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토광묘에서 녹청색 유리 4점은 모두 $K_2O-CaOSiO_2$ 계통이며 동일한 농도범위이어서 같은 원료를 사용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중 3점은 PbO 함량이 4% 이상으로서 포타쉬납유리 계통($K_2O-PbO-CaO-SiO_2$)으로 볼 수 있다. 유리의 녹청색은 Cu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일부 철의 역할도 있었을 것이다. 납동위원소비 분포는 모두 흩어져있어 동일 지역에서 가져온 납을 사용했다고 볼 수 없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