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예비평연구
- Issue 35
- /
- Pages.343-368
- /
- 2011
- /
- 1226-7627(pISSN)
DOI QR Code
Comparison of Ethnicity of Joseon People in Korean and Japanese Novels in 1920s
1920년대 한일소설에 나타난 조선인의 민족성 비교
- 최강민 (경희대학교)
- Published : 20110000
Abstract
The Japanese Empire disseminated the inferiority theory of Joseonpeople through colonial discourses as a part of its cultural governancepolicy. In response to this attempt, the national camp of Joseonemphasized the splendid history and nation's cultural tradition to ensurenational identity and ethnic superiority. The discourses over modernityas the governing ideologies in 1920s including civilization, socialevolution and renovation theories have contributed to the production ofthe inferiority theory of Joseon people. This study addressed novelistsYeom Sangseop, Choe Seohae, Nakajima Atsushi and Nakanishi Inosukeand raised a question against the discourse of Japanese superiorityversus Joseon's inferiority. Yeom Sangseop rejected identification withJapanese through the awareness of national identity; Choe Seohaedemolished the ethnicity of Joseon defined as submissiveness throughthe rebellious resistant violence; Nakashima Atsushi disclosed thedeceptive illusion of the campaign 'Japan and Joseon are one body';Nakanishi Inosuke dissolved the fabricated inferiority theory of Joseonpeople. Although their writings could not break down the inferioritytheory of Joseon people reality. their implication in literature history canbe found in that the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to break the binomialantagonistic system of Japanese superiority versus Joseon's inferiority.
일제는 1920년대에 문화통치의 전략에 따라 식민 담론을 통해 조선인의 열등성론을 유포시켰다. 이에 대응해 식민지 조선의 민족 진영은 과거의 찬란했던 역사와 민족 고유의 전통을 강조하면서 민족적 정체성과 민족의 우월성을 확보하려고 했다. 1920년대의 지배적 사상인 문명화 담론, 사회진화론, 개조론이라는 근대성 담론은 조선인의 열등성론을 생산하는 데에 공헌했다. 이 논문에서 다룬 염상섭, 최서해, 나카지마 아쓰시, 나카니시 이노스케는 일제의 일본인 우월 대 조선인 열등이라는 우열성의 담론에 이의를 제기했다. 염상섭은 민족적 정체성의 자각을 통해 일본과의 동일시를 거부했고, 최서해는 불온한 저항적 폭력을 통해 순종성으로 규정된 조선인의 민족성을 무너뜨렸고, 나카지마 아쓰시는 내선일체라는 일제의 식민주의가 지닌 기만적 허상을 폭로했고, 나카니시 이노스케는 날조된 조선인의 열등성론을 해체시켰다. 이들의 글쓰기는 현실 세계에서 조선인의 열등성론을 붕괴시키지는 못했다. 그렇지만 이들의 작업은 일본인 우월성 대 조선인 열등성이라는 이항대립체계를 균열시킬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데에 문학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