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English Edutainment Animation for Preschoolers

영.유아를 위한 영어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 고찰

  • 김한재 (중부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11.08.15
  • Accepted : 2011.09.12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As importance of English has been getting more important with globalization, English education for preschoolers has drawn more attention from parents who were born in 1970's and 1980's. Demands for English education are very intense mainly because parent generation has experienced importance of English through own career and they have only one or two children, resulting parents' willingness to invest more on children's education. In order to response high demands for English education, Korean public education system has introduced more intense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for younger children and put more weights on English education even for preschoolers. Even though there are numbers of studies to support effectiveness of English education for pre-school age children, adaption of English education for them without through preparation may cause unwanted results on children's learning experience. Hence, it is imperative to develop guideline for English education targeting pre-school age children based on through stud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justify English education for preschoolers based on various theories for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effectiveness of edutainment animation for English education, and provide basic guideline to develop edutainment animation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visits how each theory emphasizes importance of language education in preschool age children and analyzes well-known edutainment animation titles by comparing them per characteristics. Furthermore, specifically from participation-inducing animation for education, each component, such as characters, story structure, & story telling methods, has been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paper, basic guidelines to develop edutainment animation are developed by suggesting teaching tools for English education for preschoolers.

오늘날의 세계화 도래와 함께 국제적, 사회적으로 영어의 필요성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를 체감하며 자란 7, 80년대생이 자녀를 가지기 시작하면서 영어 조기교육 열풍이 점점 확산 되고 있다. 이는 최근 자녀수가 감소함에 따라 자녀의 환경과 교육에 아낌없이 투자하려는 심리와 맞물려 부모들의 영어조기교육에 대한 기대가 더욱 높아졌다. 이러한 사회적인 필요에 의해 초등학교 교육과정까지 영어교육을 도입한 공교육을 선두로 조기에 영어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학자들의 주장이 힘을 입어 그 대상을 영 유아까지 포함하게 된것이다. 이처럼 어린 연령대의 아이들을 위한 영어조기교육의 경우, 긍정적인 결과를 가지고 올 수도 있지만, 부정적인 영향을 가지고 올 수 있어도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교육지침의 설립이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는 언어습득의 이론적 배경들을 설명하여 영 유아의 조기언어교육 타당성을 제시하고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의 교육적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유통되고 있는 2 ~7세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DVD 타이틀 가운데 이미 베스트셀러로 인정받고 있는 영어교육용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들을 유형별로 묶어 비교해보았다. 더 나아가 여러 유형 중 참여 유도형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분석 및 진행형식,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선택된 스토리텔링 구성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영어교육용 엔터테인먼트 애니메이션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지 비교해보고 분석하여 언어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타이틀을 유아들의 수준과 연령에 맞게 제작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장치가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틀을 제시하는 데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