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감되어 있는 성폭력 가해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Sexual Offender in Prison

  • 한인영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 김진숙 (조선대학교 행정복지학부) ;
  • 김지혜 (남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1.04.30
  • 심사 : 2011.08.19
  • 발행 : 2011.09.30

초록

본 연구는 교도소와 치료감호소에 수감되어 있는 성폭력 가해자의 경험에 대한 연구로서 이론적으로는 성폭력 가해자의 경험의 본질구조를 살펴보고자 했고 실천적으로는 성폭력 가해자들의 재범을 막고 치료적 감호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사회복지실천 개입의 근거 자료를 구축하고자 했다. 연구는 Van-Manen(1990)의 분석틀을 원용하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으로 수행했고 연구에는 7명의 성폭력 가해자가 참여했다. 자료는 심층면담으로 수집했으며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론의 피해자라는 인식, 카인의 표식, 견본생활(show window)로 인한 성찰기회의 상실, 구별짓기(distinction)를 통한 집단차별화, 허물을 벗고자 하는 형이상학적 존재의 발현, 과학적 관리기술의 역이용, 상상계(the Imaginary)로부터의 미분화(undifferentiation), 도치된 소통으로 나타난 성행위, 통제받음의 반동형성으로서 지배영역을 찾음, 아동의 성마저 상품화하는 자본주의 속성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 성정체성 사회화과정에서의 왜곡, 억눌린 욕망의 화신으로 각인된 부상, 상실된 어머니의 순결성 회복, 산산이 부서진 이름으로서의 가족 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a research of experience of sexual offenders who are in confinement in prisons and forensic facilities is to theoretically investigate fundamental structures of their experiences and to practically construct basic data to present intervention programs of sexual offender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hermeneutical and phenomenological methods invoked of the analytic framework of Van-Manen (1990) about seven sexual offender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results of the interpretation are shown as perception that they were victims of public opinion, the mark of Cain, loss of opportunity of examination caused by show window, collective differentiation through distinction, expression of metaphysical being that wants to slip out of the skin, counterplot of scientific management techniques, undifferentiation from the Imaginary, sexual acts shown as inverted communication, discovering dominant domain as forming reaction to being controlled, not being free from capitalistic attributes in which even children's sex is commercialized, distortion in socialization of sexual identity, paternity stamped as embodiment of suppressed desire, recovery of lost virginity of mother through children, and family as a name broken to piec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