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Computer-using Subjects for Design in Department of Interior Architecture-related

국내 실내건축 관련학과의 설계관련 컴퓨터이용과목 개설현황에 관한 조사연구

  • 정지석 (대구한의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Received : 2011.05.31
  • Accepted : 2011.08.05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is study is investigation into the number of major subjects and computer-using subjects in department of interior architecture-related in 2008 & 2010 year. We arranged and analyzed collected data by searching homepages of subjects to survey and was able to reach conclusions as follows : Firstly, the number of department of interior architecture-related has decreased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t the same time in 2010 than 2008. Secondary, computer-using subjects tended to open lower grades than higher grades, so students used to control computer softwares easily. Thirdly, the purposes of computer-related subjects divide to four parts, 2dimensional-drafting, 2dimensional presentation, 3dimensional design, 3dimensional presentation(modeling and rendering included). Fourthly, from average 4.7 to 4.3 subjects have opened each the two year(2008, 2010) in college and from average 4.7 to 2.5 subjects in universities. and each 4(or5) subjects in college and 2(or 3) subjects in universities are opened mostly. Fifthly, Computer-related subjects tend to decrease the number of opening those subjects in universiti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be opened four computer-related subjects at least in order to design by using computer softwares.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애, 건축설계교육 교수학습을 위한 교과과정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호주 시드니대학과 시드니공업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5권 제1호(통권243호), 2009.1
  2. 김영애, 연구 중시 건축설계스투디오의 특성에 대한 연구-미국, 및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5권 제1호(통권243호), 2009.1
  3. 이도영 외 1명, 국외 우수 건축학과들의 통합설계수업 사례연구-미국과 영국의 공통기초 및 핵심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4권 제5호(통권235호), 2008.5
  4. 송준호, 전문대학 전공심화과정의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설계전공의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대학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3권 제6호(통권224호), 2007.6
  5. 이도영 외 2명, 우리나라 대학의 건축설계수업 내용 및 형식에 대한 요구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3권 제4호(통권222호), 2007.4
  6. 김예상, 건축교육의 변화와 그 미래를 다시 생각한다, 건축, 2007.4
  7. 김동준 외 1명, 미국 건축대학의 설계교육 시스템에 관한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3권 제3호(통권221호), 2007.3
  8. 김덕수 외 1명, 건축교과의 상대적 중요도에 대한 실무건축가들의 인식,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3권 제2호(통권220호), 2007.2
  9. 김영애, 미래사회의 대응하는 건축 설계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2권 10호(통권216호), 2006.10
  10. 정순오, 전문대학 건축교육의 미래 전망, 건축, 2006.8
  11. 이종원 외 1명, 기초디자인 교육과정에서의 표현기법 설계교육 모델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6권 제1호(통권 제50집), 2006.10.26-27
  12. 정지석, 디지털 디자인 도구를 이용한 건축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vol.20 no.9, 2004. 9
  13. 이대송, 디지털디자인을 통한 형태생성과 역사적 아방가르드의 동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003.4
  14. 정태용, 건축설계실무 교과모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권 12호, 2003
  15. 조대희, 건축설계교육에 있어서 실무수행능력 배양 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권 12호, 2004
  16. 이상헌, 근대적 건축설계교육의 기원과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 대학에서의 스튜디오 교육방식의 발전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권 3호, 2006
  17. 김용식, 통합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한국교육과정학회 편), 서울 : 교육과학사, 2002
  18. 이선영, 국제기준에서 본 한국 설계교육의 현황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 6호, 2002
  19. 이선영 외 1인, 건축학교육 인증제도도입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 10호, 2002
  20. 김영애, 건축설계 스튜디오 프로그램의 통합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5권 2호, 1999
  21. 오명원, 단계별 디지털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건축설계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연세대 석론, 1999
  22. 전영일, 국내외 대학 CAAD 교육 현황과 제언, 대한건축학회지 vol.34 no.4, 1990.7
  23. 각 2년제 대학, 4년제 대학교 건축, 실내건축관련학과 홈페이지
  24. http://stat.kcue.or.kr/한국대학교교육협의회 고등교육통계
  25. http://www.academyinfo.go.kr/대학알리미
  26. http://www.kcue.or.kr/한국대학교교육협의회
  27. http://www.kcce.or.kr/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8. http://www.kedi.re.kr/한국교육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