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Arousal Control Training Conjugated Heart Rate Biofeedback for National Substitute Archery Players

심박수 바이오피드백기법을 활용한 국가대표 후보 양궁선수의 각성조절훈련 효과 분석

  • 홍성택 (전주대학교 예술체육대학)
  • Received : 2011.08.09
  • Accepted : 2011.09.01
  • Published : 2011.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rousal control training conjugated heart rate biofeedback for national substitute three archery players. The arousal control training programs was develop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3 archery experts and 1 sport psychologist had meetings. The training programs contained as orientation, breathing regulation, progressive relaxation technique, heart rate biofeedback, cognitive restructuring, routine and consisted of 24 weeks. XCOACH was utilized as heart rate biofeedback instrument. The effects was examined on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 archery score and ranking, observation, interviews and self assessment. As the results, the score of subfactor was improved on somatic state anxiety, cognitive state anxiety and self-confidence. As the results of observation, interviews and self assessment, the ability of arousal control was enhanced by using effective psychological skills conjugated heart rate biofeedback.

본 연구는 국가대표 후보 여자양궁선수 3명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심박수 바이오피드백기법을 활용한 각성조절훈련을 양궁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동시에 경기수행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훈련 프로그램은 국내 외 문헌 분석과 스포츠심리전문가 1인, 양궁 지도자 3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최종 선정되었다. 세부 내용으로는 기초이론교육, 호흡조절법, 점진적 이완기법, 심박수 바이오피드백기법, 인지재구성, 루틴 등이며, 총 24주의 훈련기간을 기초훈련단계, 숙련 1 훈련단계, 숙련 2 훈련단계, 실전훈련단계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심박수 바이오피드백훈련기기는 (주)스포닉스에서 개발한 심박수 측정기기(XCOACH)를 사용하였다. 훈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경쟁상태불안검사지, 국내양궁대회에서의 성적 및 기록, 선수 관찰 및 면담과 선수 자기평가 등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분석된 결과, 인지적 상태불안요인과 신체적 상태불안요인의 평균점수는 낮아졌으며, 자신감요인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양궁대회에서의 성적 및 기록 역시 현저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 관찰, 면담, 자기평가의 분석 결과, 본 훈련에 대한 참여도와 효과 인식도가 매우 높았으며, 훈련에 의해 적용된 각성조절방법을 시합 중에 적극 활용하여 심리적 안정과 최상의 수행력을 발휘하였다. 따라서 심박수 바이오피드백기법을 활용한 각성조절훈련은 양궁선수의 심리기술력과 경기력 향상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구, 최재원, "프로 골프 선수들의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4권, 제2호, pp.265-285, 2003.
  2. 강주희, "인지.정서.행동치료를 활용한 불안감소 훈련 프로그램이 배구선수들의 경쟁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33-146, 2007.
  3. 김동희, 최영옥, "여자역도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 개발",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7권, 제6호, pp.735-746, 2006.
  4. 김병준, "골프 심리기술훈련 효과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4권, 제2호, pp.213-233, 2003.
  5. 대한양궁협회, 양궁의 이론과 실제, 세원정밀인쇄주식회사, 미간행물, 2011 예정.
  6. 박범영, "골프선수의 심리기술훈련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5권, 제4호, pp.61-74, 2004.
  7. 박영숙, "양궁선수의 슈팅과정에 나타나는 심박 주기와 뇌파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8. 신정택, 김지수, "스트레스 관리훈련이 여중 선수의 특성불안과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제44권, 제4호, pp.251-295, 2005.
  9. 양창훈, "무선 심박수바이오피드백 기기를 활용한 국가대표 상비군 양궁선수의 각성조절훈련 효과", 1급경기지도자 현장적용 연구 보고서, 체육과학연구원, 2009.
  10. 이현우, "호흡이완훈련기법이 골프선수들의 경쟁상태불안 및 스트레스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7권, 제5호, pp.1203-1212, 2006.
  11. 정우성, "호흡 및 이완훈련이 국가대표 주니어 양궁선수들의 경기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1급경기지도자 현장적용 연구 보고서, 체육과학연구원, 2008.
  12. 정재은, 육동원, 김병현, "심리기술훈련이 국가대표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의 경쟁상태불안과 인지된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8권, 제1호, pp.33-56, 2007.
  13. 조춘호, "단전호흡수련이 양궁슈팅수행 및 호흡 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14. 최만식, "경쟁불안 감소에 대한 점진적 이완훈련과 심박수 바이오피드백훈련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4권, 제2호, pp.97-109, 1993.
  15. 한명우, "심리기술훈련이 쇼트트랙 선수의 경쟁 불안, 기분상태 및 경기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8권, pp.1443-1452, 2002.
  16. 홍길동, "양궁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현장 적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7. 홍길동, 임태희, "양궁선수를 위한 이완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대한체력관리학회, 제3권, 제2호, pp.35-46, 2006.
  18. 홍길동, 이홍식, "뇌전위 피드백을 통한 이완훈련이 양궁수행과 시합 전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8권, 제5호, pp.231-244, 2007.
  19. 홍길동, "중고교 양궁선수용 이완훈련 콘텐츠 개발 및 현장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4호, pp.237-246, 2008.
  20. 홍길동, 오진호, 이기호, "배우의 무대불안 극복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6호, pp.130-139,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6.130
  21. 홍성택, "2009년도 양궁 국가대표선수단 스포츠 심리지원 사례", 2011 한국스포츠심리학회 동계학술대회, pp.21-30, 2011.
  22. A. W. Meyers, J. P. Whelan, and S. M. Murphy, "Cognitive behavioral strategies in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In M. Hersen, R. M. Eisler and P. M. Miller, Progress in behavior modification, Vol.30, pp.137-164, Pacific Grove, CA: Brooks/Cole, 1996.
  23. D. D. Arnheim, Modern principles of athletic training(6th eds.). St. Louis, Mo: Time Mirror/Mosbv, 1985.
  24. D. V. Harris, "Relaxation and energizing techniques for regulation of arousal," in J. M. Williams (Eds.), Applied Sport Psychology, pp.79-98, Palo Alto, CA: Mayfield Publishing, 1986.
  25. E. Jacobson, Progressive relax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8.
  26. H. Benson, J. E. Beary, and M. P. Carol, "The relaxation response," Psychiatry, Vol.37, pp.56-57, 1974.
  27. J. Hasset, A Primer of psychophysiology, San Francisco, W. H, 1978.
  28. K. L. Lichstein, Clinical Relaxation Strategies, New York, Wiley Interscience, 1983.
  29. M. J. Greenspan and D. L Feltz, "Psychological interventions with athletes in competitive situations: A review," The Sport Psychologist, Vol.3, pp.219-236, 1989. https://doi.org/10.1123/tsp.3.3.219
  30. R. Martens, D. Burton, R. S. Vealy, L. A. Bumped, and D. E. Smith,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CSAI-2), Competitive Anxiety in sport, Champaign, IL: Human Kinetics, pp.117-190, 1992.
  31. T. Orick, In pursuit of peak performance, Champaign, IL: Human Kinetics, 1995.

Cited by

  1. The Effect of EEG And Physiological Changes To Participation in Progressive Relaxation Technique Of The University Archery players vol.12, pp.1, 2014, https://doi.org/10.14400/JDPM.2014.12.1.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