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eeds Assessment for Urban Agricultural Program

도시농업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장보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최윤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황정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1.08.09
  • Accepted : 2011.09.24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s assessment for urban agricultural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Citizens at urban cities said that educational program of 'shortage of farming technology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wanted to be given 'farming technology' of urban agriculture education area more than other education areas. The citizens asked for urban agricultural program with both theories and practice education than existing urban agricultural program that relied upon basic theory education. And, they wanted urban agricultural program that was based on 'farming technology' to consist of practice education and theory education at the ratio of 80 and 20 and to be professional and differentiated. The citizens preferred 3 to 6 months of education period the most, and more than 95 percent of them wanted to join the program when it is developed.

Keywords

References

  1. 권광식, & 최덕천. (2005). 도시농업클러스터 지원을 위한 협동조합네트워크. 한국협동조합연구, 23(1), 59-77.
  2. 김용수, 김수봉, 이영민, & 권용일. (1999). 아파트 거주민의 텃밭 이용실태 및 의식분석. 한국정원학회지, 17(4), 139-148.
  3. 강기남, 이종근, 김기황, & 이만형. (2007). 텃밭을 이용한 도시농업의 활성화 방안.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26(1), 167-176.
  4. 김성수, 정지웅, 임형백, 고운미, 김정태, 이성, et al. (2004). 귀농자들의 농촌정착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1(1), 53-65.
  5. 김태균, 조재환, 박문호, & 최태길. (2009). 체재형 주말농장에 대한 소비자 선호 분석-대구광역시 도시민을 대상으로-. 농업경영 . 정책연구, 36(3), 795-809.
  6. 나영은. (2010), 에너지 자립을 위한 도시농업 활성화 추진정책 방안. 한국환경농학회지, 29(3), 304-308.
  7. 황정임, 최윤지, 이상영, 조록환, 박덕병, 장보경 et al. (2010). 도시농업 실태 및 의식조사 결과. 수원: 농촌진흥청.
  8. 박용범, 조병의, & 김수옥. (2008). 생활농업으로서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연구-도시생활농업 제도화 및 성과관리 방안-. 수원: 농촌진흥청
  9. 오대민, & 최영애. (2010). 자연과의 만남으로 나와 세상을 치유하는 도시농업. 서울: 학지사.
  10. 오인경, & 최정임. (2008).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법론. 서울: 학지사
  11. 이창우. (2005). 생태도시와 도시농업. 전국귀농운동본부 강의자료. 4. 15.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2. 장동헌. (2009), 도시농업 육성의 정책적 함의. 산업경제연구, 22(2), 979-994.
  13. 장동헌. (2006), 생태지향형 도시농업에 관한 연구-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장동헌. (2007). 도시농업의 영농실태와 존속 가능성 모색. 지역사회연구, 15(4), 79-102.
  15. 장동헌, & 소순열. (2005). 도시농업의 경영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서울시 농업을 사례로-. 전북대학교 농대논문집, 36, 86-102.
  16. 장동헌, 소순열, & 유찬주. (2006). 도시농업의 인식 및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전주시 도시민을 사례로-. 지역사회연구, 14(3), 91-105.
  17. 장준호, 김은옥, & 조지은. (2010), 도시농업관련 프로그램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안양시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논문집, 35(2), 61-70.
  18. 전국귀농운동본부(http://www.refarm.org/)
  19. 부산귀농학교(http://www.busanrefarm.org/)
  20.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http://cafe.naver.com/dosinongup/)
  21. 인천시농업기술센터(http://agro.incheon.go.kr/)
  22. 서울도시농업네트워크(http://cafe.daum.net/cityagric/)
  23. 수원시농업기술센터(http://nongup.suwon.ne.kr/)
  24. 부산시농업기술센터(http://nongup.busan.go.kr/)
  25. 경기도 광주시농업기술센터(http://www.ggj.or.kr/)

Cited by

  1. 서울시 옥상농원의 실태분석 및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vol.15, pp.5, 2011, https://doi.org/10.13087/kosert.2012.15.5.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