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assifications of Ecological Districts for Estuarine Ecosystem Restoration; Examples of Goseong Bay Estuaries, South sea, Korea

하구 생태 복원을 위한 생태구역 구분; 남해 고성만 고성천 인근 하구의 예

  • An, Soon-Mo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Yong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oi, Jae-Ung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
  • 안순모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이상룡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최재웅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Received : 2011.04.27
  • Accepted : 2011.05.18
  • Published : 2011.05.31

Abstract

Estuarine ecosystem responds sensitively to natural and anthropogenic perturbations. l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the change when the perturbation occurs as well a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ing of estuarine ecosystem for a proper management of the area. In this study, the estuarine habitat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ecological districts so as to the switch from one district to another district could be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change due to the perturbations. Total 16 ecological districts was defin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barrage, salinity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The defined ecological districts were applied to small estuaries in Goseong bay, south sea of Korea (Baedun, Guman, Maam, Goseong) to distinguish different regions which might have characteristic bottom topography, inclinations of river bottom, sediment characteristics, salinity structure and area of vegetation. Total 7 out of 16 ecological district was identified in this region; NFB (natural, fresh, bare), NHB (natural, high salinity, bare), NLV (natural, low salinity, vegetated) in natural (without barrage) estuaries and CFB (closed, fresh, bare), CFV( closed, fresh vegetated), CLV (closed, low salinity, vegetated), CHB (closed, high salinity, bare) in closed (with barrage) estuary. A comparison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biota between CHB and CLV demonstrated the effect of barrage on estuarine ecosystem. The height and sediment characteristics of CHB and CLV were similar but the average salinity was lower in CLV than in CHB due to the barrage, which produced favorable condition for the Phragmites australis in CLV. Information regarding the ecological districts in various sizes and location could be useful for predicting the ecosystem change due to natural and anthropogenic perturbations and for preparing management actions.

연안 하구는 인위적인 개발압력이 상존하며 자연적인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이다. 따라서 보존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서는 하구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인위적 혹은 자연적 변화에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를 아는 것이 필요하다. 하구 생태계 변화의 방향과 현 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서 비오톱(biotope)과 하구 타입 분류(typology)를 이용하여 "생태 구역"을 정의하였다. 하구댐의 유무, 염분특성, 식생유무에 따라 16개의 생태 구역을 정의하였고, 고성만에 위치한 고성천 인근 4개 하구(배둔, 구만, 마암, 고성) 생태계에서 지형, 하상경사, 퇴적물 특성, 염분 구조, 식생 면적 등을 통해 생태구역 구분을 시도하였다. 고성천 인근 하구에는 총 16개 생태구역 중 7개가 구분되었다. 자연형 하천인 구만천, 마암천, 배둔천의 상류에는 NFB(natural, fresh, bare)가 나타나고 있으며, 기수 지역에는 NLV(natural, low salinity, vegetated)가 그리고 갯벌에는 NHB(natural, high salinity, bare)가 나타났다. 폐쇄형인 고성천의 경우 담수지역에는 CFB(closed, fresh, bare), 이후 하구쪽으로 CFV(closed, fresh vegetated)가 나타났다. 갈대가 넓게 서식하는 하구댐 안쪽지역은 CLV(closed, low salinity, vegetated)가 나타나며, 거산방조제 바깥쪽은 CHB(closed, high salinity, bare)가 나타났다. 고성천의 CHB와 CLV 지역은 방조제가 하구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염분이 비교적 높고, 수심이 갚은 수로나 갯벌이 존재하던 CHB 지역이 하구둑에 의해 고염분 지역과 단절되면서 염분이 감소하고, 조석의 영향이 줄어들면서 침수가 줄고, 결국 갈대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으로 바뀌게 되며, CLV로 바뀐 것으로 여겨진다. 국내의 여러 하구에 나타나는 생태구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각 생태구역의 출현 분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자료는 인위적, 자연적 변화에 의한 하구 생태계 변동을 예측하고 관리/대응 방안을 마련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생태구역 변화는 생태구조와 가능의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생태계 역할 및 가치의 변화를 수반하며, 생태 구역 변화를 야기하는 사업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근거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하구생태계 요소 평가기술 및 복원

Supported by :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References

  1. 안순모 등, 2007. 훼손된 하구 습지 복원. 차세대환경기술개발 사업 연차 보고서. 환경부.
  2. 안순모, 이상룡, 2009. 하구생태계 복원기술개발 연차보고서. 국토해양부. 53p.
  3. 안순모, 이재학, 우한준, 구본주, 이형곤, 유재원, 제종길, 2006b. 새만금 방조제공사로 인한 조하대 환경과 저서동물 군집 변화 Ocean and Polar Research. 28(4): 369-383. https://doi.org/10.4217/OPR.2006.28.4.369
  4. 안순모, 이지영, 정신재, 2006a. 낙동강 하구 갯벌에 생육하는 세모고랭이(Schoenoplectus triqueter)의 생체량 및 탄소, 질소함량의 계절 변화. 한국습지학회지. 8(3): 39-49.
  5. 지속가능발전위원회, 2006.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
  6. 해양수산부, 2005. 해양환경공정시험법.
  7. 허낙원, 이지영, 최재웅, 안순모, 2011. 남해안 주요 하구 갯벌 퇴적물에서 탈질소화를 통한 질소 영양염 제거와 계절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In press.
  8. Bart, D., J.M. Hartman, 2003.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Phragmites australis expansion in a New Jersey salt marsh: an experimental approach. Oikos. 89(1): 59-69.
  9. Borja, A., 2005. The Europeanwater framework directive: a challenge for nearshore, coastal and continental shelf research. Continental Shelf Research 25: 1768-783. https://doi.org/10.1016/j.csr.2005.05.004
  10. Borja, A., Bricker, S.B., Dauer, D.M., Demetriades, N.T., Ferreira, J.G., Forbes, A.T., Hutchings, P., Jia, X., Kenchington, R., Marques, J.C., Zhu, C.B., 2008. Overview of integrative tools and methods in assessing ecological integrity in estuarine and coastal systemsworldwide. Marine Pollution Bulletin, 56: 1519-1537.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08.07.005
  11. Borja, A., Heinrich, H., 2005. Implementing the european water framework directive: the debate continues. Marine Pollution Bulletin 50: 486-88.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05.01.002
  12. Borja, A., Perez, V., Franco, J., 2000. A marine biotic index to establish the ecological quality of soft-bottom benthos within European estuarine and coastal environments. Marine Pollution Bulletin 40: 1100-114.
  13. Chambers, R.M. T.J. Mozdzer, J.C. Ambrose, 1998. Effects of salinity and sulfide on the distribution of Phragmites australis and Spartina alterniflora in a tidal saltmarsh. Aquatic Botany. 62(3), 161-169. https://doi.org/10.1016/S0304-3770(98)00095-3
  14. COAST, 2002, Guidance on typology, reference conditions and classification systems for transitional and coastal waters. http://www/eutro.org.
  15. Connor, D.W., 2004. The marine habitat classification for Britain and Ireland. Version 04. 05 JNCC, Peterborough (internet version). Available from: www.jncc.gov.uk. Marine Habitat Classification.
  16. Ducrotoy, J.P., 2010. The use of biotopes in assessing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tidal estuaries in Europe.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86(3): 317-321. https://doi.org/10.1016/j.ecss.2009.05.023
  17. Olenin, S., Ducrotoy, J.P., 2006. The concept of biotope in marine ecology and coastal management. Marine Pollution Bulletin 53: 20-9.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06.0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