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의 동북아시아 및 수도권물류 복합화 네트워크화 중심지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y for Building Inchon Port as Hub for the Centralization of Logistics Integration and Network Building in the Region of Northern-East Asia and the Seoul Capital City Area

  • 서문성 (금강대학교 통상/행정학부)
  • 투고 : 2011.08.30
  • 심사 : 2011.12.29
  • 발행 : 2011.12.31

초록

항만의 기능은 갈수록 다기능 복합화 되어가고 있으며 네트워크 중심지화 되어 가고 있다. 최근의 항만은 배후지 산업이 중요하고 글로벌 물류센터로서의 역할과 주요 산업의 부품 공급 기지로서 기능이 커지고 있고, 금융 중심지 역할도 커지고 있으며, 세계주요 은행의 집적화 기능, 24시간 활용성 있는 첨단 통신 네트워크가 뒷받침 되는 비즈니스를 가능하게하며 문화와 관광명소로서의 기능도 갖춰줘야 된다. 인천항은 이러한 여러 배후 산업 기반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 활용하고 산업의 지역혁신 체계구축과 수도권 지역의 각 산업의 지원과 발전을 위해서 인천항의 동아시아 및 수도권 물류 복합화, 네트워크화 중심지 전략이 필요하다. 서해안 벨트 및 동해안, 남해안 후발 항만의 도약은 인천항 입장에서는 분명히 위협 요인이며, 수도권 물류의 인천항 유도는 필요요인이고,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물동량 증가는 인천 항의 기회 강화 요인이나 인천항은 항만경쟁의 특성상 현재의 인천항의 제반 어려운 여건을 극복하고 한시적인 기간 안에 추구 할 수밖에 없다.

The modern ports have become multi-functionalized and network-centralized over time.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ndustry in the land behind the port area has become very important for port itself. Furthermore, the port functions as a finance center and an integrated function of the main bank of the world. It will be necessary for Inchon port to pursue the policy for building itself as a hub center for logistics integration and building network in the region of Northern-East Asia and Seoul Capital City area in order for Inchon port to support and develop various industries through utilizing each aspect of the industrial complex in these areas. By doing this, it will act as a policy for strengthening competiveness for Inchon port. The sharp increase of cargo movement from rapidly developing Industries in China will become a good opportunity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Inchon port. Howev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ts competitiveness, this policy must quickly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Inchon por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병일, 조철호, "항만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및 사후 행동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54호, 2007.9.
  2. 김병일, 유흥성, 서재환, "인천항의 물류네트워크 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2호, 2009.6.
  3. 모수원, "국내주요항만의 위치변화", 해운물류연구, 제43호, 2004.12.
  4. 박노경, "인천공항의 공간적 네트워크 집중도 측정: 1992∼2001", 물류학회지, 제17집 제2호, 2007.
  5. 박영재, "중국발 해공복합운송(Sea & Air)의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제20집 제3호, 2005.9.
  6. 박용화, 최종규, 김중엽, "공항서비스 품질 경쟁력 평가 연구", 한국항공경영학회 2006춘계학술대회발표집, 2006.2.
  7. 박창호, 강상곤, "인천.평택항만의 물류협력체계 구축 방안", 제9회 경영관련학회 하계통합학술대회발표집, 2007.8.20.
  8. 백범진, "인천항 컨테이너 화물의 국내 기종점 분석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8.
  9. 백종실, "우리나라 해공(Sea & Air) 복합운송체계 구축방안", 물류학회지, 제16집 제3호, 2006.
  10. 안우철, 임성연, 안승범, "인천항 물류애로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로지스틱스연구, 제14집, 2006.
  11. 유광의, "인천국제공항의 동북아 허브화 성공을 위한 전략", 한국항행학회논문지, 제1집 제1호, 1997.
  12. 윤 호, "동북아 물류중심항으로서 인천항의 역할", 물류학회지, 제12집 제1호, 월간 해양한국, 2005.9.
  13. 이권형, 정태원, 최상래, "인천항 수출입자동차 물류경쟁력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유통정보학회지, 제9집 제2호, 2006.
  14. 이언경, 장지선, 길광수, "부가가치창출을 위한 항만 배후단지 유치품목 선정연구", 해운물류연구, 제25집 제3호(통권 제63호), 2009.9.
  15. 정태원, "인천지역의 복합운송체계별 발전방안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6집 제1호, 2007.
  16. 조인환, 유도제, "동북아시아 허브공항으로서의 인천국제공항 경쟁력분석", 관광경영학연구, 제9집 제3호(통권 제25호), 2005.
  17. 추창엽, "동북아시대 인천항 컨테이너부두 활성화 전략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제13집 제1호, 2010.10.
  18. 통계청, "2007년도 시.도별 지역내총생산 및 지출(잠정)", 2008.12.
  19. 통계청, 2008년지역소득 , 2009.12.
  20. 통계청, 2009년 지역소득통계, 2011.7.
  21. 하나금융경영연구소, 하나이슈포커스, 제19호, 2007.8.31.
  22. 한진물류연구원, "동북아 역내 피더 네트워크 강화 방안", 2005.12.
  23. 홍석진, 한옥순, "인천공항 항공물류허브화 구축을 위한 정책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경영학회춘계학술대회발표집. 2007.
  24. 인천공항공사 www.airport.kr/iiac/
  25. 인천항만공사(IPA) www.icp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