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조선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National Economic Effects of the Korea Shipbuilding Industry

  • 정영근 (선문대학교 국제경제통상학부) ;
  • 임응순 (호서대학교 경제연구소)
  • 투고 : 2011.07.21
  • 심사 : 2011.12.29
  • 발행 : 2011.12.31

초록

국내 조선산업은 2009년도에는 전 세계 33.1%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였다. 이는 한국이 세계 제1의 조선국가이며, 한국내에서 조선산업은 국민경제발전에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기간산업이며, 한국경제를 이끌어온 조선산업에 대한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형으로 수요유도형 모형과 레온티에프가격모형을 이용하였다. 이들 모형을 이용하면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와 물가파급효과를 살펴볼 수 있다. 분석결과 조선산업에서 1원의 생산이 타 산업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0.7891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0.3742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산업에서 산출액 10억원에 의한 취업유발효과는 3.7808명으로 분석되었으며, 조선산업의 산출물 가격이 10% 상승하면 타산업에 미치는 물가파급효과는 0.0009%로 나타났다.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takes 33.1% of world market. This shows that Korea is number 1 in shipbuilding. Also, this means the shipbuilding industr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the national economic impacts of shipbuilding industry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The study investigates demand-driven model and the Leontief price model.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 added-inducing effect and employ-inducing effect. Also, we estimate the sectoral price effect. The result of this analyses are presented: 0.7891 won in production-inducing effect, 0.3742 won in value added-inducing effect. When 1 won is produced by shipbuilding industry, 3.7808 persons in employ-inducing effect when 1 billion won is produced, and sectoral price effect is 0.0009% due to the 10% increase of price.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승준.유승훈.한상용, "발전부문별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자원경제학회, 제11집 4호, 2002, 581-608.
  2. 김무형.임대봉, "환율과 철강가격의 변화가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8집 제2호, 2008, 107-128.
  3. 박석호, "국내 대형조선업계의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6집 제4호, 2010, 188-206.
  4. 배형일, "한국 조선산업의 경쟁력 진단", CEO information 690호, 삼성경제연구소, 2009.
  5. 심재희.정분도, "한중 간 조선산업 선종별 경합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1호, 2011, 155-183.
  6. 유승훈.임응순.정군오,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9집 제1호, 2008, 134-158.
  7. 임응순.정군오.김의범, "한국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추정", 산업혁신연구, 제27집 제1호, 2011, 89-108.
  8. 임응순.정군오, "한국 미디어 산업의 분석 :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제22집, 2009, 125-149.
  9. 한국은행, 2007년도 산업연관표, 2009.
  10.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2007.
  11. 채종훈, "지역산업연관분석을 통한 한국 조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14집 제1호, 2010, 33-53.
  12. Ghosh, A., "Input-Output Approach to an Allocative System," Economica, Vol. 25, No. 1, 1958, 58-64.
  13. Giarratani, F., "Application of an Interindustry Supply Model to Energy Issues",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 8, 1978, 447-454.
  14. Herendeen, R. A., "An Energy Input-Output Matrix for the United States, 1963" User's Guide, March 4, 1973.
  15. Hoover, E. M., An Introduction to Regional Economics, 2nd ed. Alfred A. Knopt, New York, 1975.
  16. Howe, C. W., and M.G. Smith, "The Value of Water Supply Rreliability in Urban Water Systems",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Vol. 26, 1994, 19-30. https://doi.org/10.1006/jeem.1994.1002
  17. Miller, R.E. and P.D. Blair,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Prentice-Hall, New Jersey.
  18. Wu, R. H. and C. Y. Chen., "On the Application of Input-Output Analysis to Energy Issues", Energy Economics, Vol. 12, No. 1, 1990, 71-76. https://doi.org/10.1016/0140-9883(90)90010-D